정말 가슴 아픈 사진들...

 

 

 

 

 

제 친구가 이 사진들을 보내줬는데, 정말..... 이사진들 보고 울뻔 했어요...
제가 이 아이들에게 해줄수 있는게 없다는 생각이 들어 정말 죄책감을 느꼈어요...
우린 정말 행복한거예요

오늘 우연히 학교 에서 구로야나기테츠코의 '토토의 눈물'을 읽게 �는데,
이 책 꼭 읽어 보세요. 음식은 물론, 마실 물도 없어 그나마 귀한 흙탕물이라도 매우 고맙게 마시는 아이들...영양실조에 걸려 말을 하나도 못하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보니 정말, 정말 가슴이 찢어지듯 아팠어요....

 

 

 

 

소똥을 먹는 장면

 

이 사진. Kevin Carter이 저 사진을 찍고 플레처 상을 받았다네요. 근데 저 사진.... 저 사진 속의 저 아이..... UN에서 나눠주는 음식을 얻으러 가려고 저 몸으로 1km 이나 떨어져 있는 곧으로 가고있는데.... 저 아이가 죽기만을 기다리는 저 새. 죽으면 쪼아먹으려고..... 그 후론 저 아이가 어떻게 �는지 아무도 모른데요...정말 충격적인것은, Kevin Carter이 저 사진을 찍고 바로 그 자리를 떠났다는 것이에요.... 제발 저 아이좀 도와주지..... 많이 화가 나네요. 저 사진을 찍고 우울증으로 Kevin Carter은 3일 후에 자살을 했고.....


Please God, please help those kids. Let them be rescued from those suffer.

            
기독교 세계선교 역사 및 전망

근대 선교는 크게 3시대로 구분 할 수 있는데

근대 선교 운동은 1790년경 시작되어 현재까지 약 210여 년간 지속되어왔습니다. 각 시대 마다 선교운동의 특징이 있었고, 당시의 상황과 각 시대적 특성에 맞는 선교사역을 필요로 해왔습니다. 근대 선교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에는 그러한 선교운동을 일어나게 된 어떠한 요소들이 있었는가? 근래의 선교운동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선교운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오늘날 세계의 동향과 세계선교의 동향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우선 근대 선교는 크게 3시대로 구분 할 수 있는데 그 3시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대선교의 3 시대 (Three Eras of Modern Mission)
랄프 윈터 (Ralph D. Winter) 박사는 '네 사람, 세 시대, 두 과도기: 근대 선교' (Four Men, Three Era, Two Transitions: Modern Missions)라는 그의 글에서 근대 선교를 3 시대로 구분하였다.

첫 시대는 (1792년-1910년): 윌리엄 케리 (William Carey)에 의해 시작되어 주로 구라파인들이 활약한 해안 선교시대 (Coastlands)를 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시대는 (1865년부터 1980년까지)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주로 미국인들이 활약한 내지 선교 시대 (Inland areas)입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대 (1934년부터 현재까지)는 도날드 맥가브란 (Donal McGavran)과 카메런 타운센드 (Cameron Townsend)가 시작하였고 주로 제삼세계인들이 담담하게 될 '간과된 이들', '감추인 족속들' (Bypassed, "Hidden People"), [곧 미전도 족속들 (Unreached People)]을 선교시대라고 하였습니다.

2. 다음으로 근대 선교운동의 배후 요소들 (Significant Background Factors)과 선교회의 모형 (Missions Matrix)은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 근대 선교운동의 배후 요소들 (Significant Background Factors)로

1) 지리적 발견 (Geographical Exploration), 2) 과학의 발달 (Development of Science), 3) 응용기술 (Applied Technology), 4) 종교적 부흥 (Religious Revival) 5) 노예제도 (Slavery), 6) 정치변혁 (Political Revolutions), 7) 천년에 대한 기대 (Millenial Expectations), 8) 경제성장 (Economic Growth)을 들 수 있습니다.

3. 21세기 세계의 동향 (Trends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들리 우드베리 박사는 그의 글 'A View from A Fraying Chiar'에서 세계의 동향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습니다:

가. 일반적인 동향 (General Trends)

1) 개발 도상국에서의 인구폭발과 개발국에서의 인구증가 정체: 서기 2025년까지 세계 인구는 83억 1천 200만이 될 것인데 그 중 49억 3천 900만 명이 아시아에, 15억 1천만 명이 아프리카에 7억 4천 300만 명이 유럽에, 7억 600만 명이 라틴 아메리카에, 3억 7천 500만 명이 북미에, 그리고 3천 900만 명이 오세아니아에 살게 될 것이다 ((Myers 1997:29; Barrett using U.N. statistics giving slightly lower figures, 1999:24-25). 중국인이 세계인구의 20%를 차지하며 5천만명의 중국인들이 중국밖에 살고 있다. 인도도 인구수로 중국 다음이며 빠른 인구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Woodberry 1999:2).

2) 변화의 가속화 (Accelerating Change): 세계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 기술, 경제, 정치, 그리고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3) 세계화 (Globalization): 급속한 통신 및 여행과 더불어 서구 도시문화와 영어가 이해의 매개체가 되고 정부들이 새로운 세게 질서를 추구하는 현실 속에서 국가적인 경계선 들과와 대양들은 지구촌 시장에서 별로 큰 장애요인들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4) 세속화 (Secularization) 와 종교적 재흥 (Religious Resurgence): 세속화는 18세기의 유럽 특히 불란서의 계몽운동 이후 진행되어 왔으며 서구, 특히 서구라파에서 후기 기독교 시대를 초래케 하였다. 종교적 재흥은 주로 세속화가 동반한 종교적 그리고 전통적인 가치관의 상실에 대한 반작용이었으며, 공산주의 지배 아래 있던 나라들 가운데서 무신론주의의 도산에 대한 반작용이었다.

5) 다원주의와 갈등의 기풍 (An Ethos of Pluralism and Conflict): 한편으로 세계가 좁아지고 민족들의 이민이 다양한 인종들이 사는 세계를 만들어 냈고, 결과적으로 점차 모든 종교들이 진리의 다른 통로들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사무엘 헌팅턴 (Samuel P. Huntington)이 그들의 종교들이 종종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명의 충돌" (the clash of civilizations)이라고 기록한 것들인데 예컨데 서양, 정교회, 라틴 아메리카, 중국, 회교, 힌두, 일본, 그리고 아프리카 문명인 것이다.


나. 정치적인 동향 (Political Trends)

1) 냉전 종식과 더불어 다극적이고 불안한 세계 (A Multipolar, Unstable World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공산주의의 붕괴는 오직 하나의 초강대국만을 남겨놓게 되었지만 파워 불락과의 제휴의 필요성을 감소시켰습니다. 통신과 상업의 세계화는 동맹국들로 하여금 이념과 지리적 접촉을 무시하게 하였습니다. 공산주의 통제의 붕괴는 민족적인 경쟁을 헐겁게 만들었습니다.

2) 앞문이 닫히고 뒷문이 열림 (Closing Front Doors, Opening Back Doors): 전통적인 선교사들의 입국을 허락하지 않는 나라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고 동시에 경제의 세계화 현상 같은 것들이 직업을 가진 선교사들의 입국의 길을 열어놓았습니다.


다. 사회적 문화적 동향 (Social and Cultural Trends)

1) 포스트 모던 사회의 영향 (The Impact of the Postmodern Society): 근대사회에 전통사회에 포스트 모던니즘이 덧 보태는 것 (곧 산업사회와 농경사회에 정보시대를 덧 보태는 것)은 전통사회를 대치하지는 못할지라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2) 문화와 문명의 동질화와 분리 (Homogenization and Separation of Cultures and Civilizations): 서양문화가 영어와 대중 음악과 함께 특별히 도시에 살고 있는 젊은이들을 동질화시키고 있다. 동시에 우리는 민족 문화들, 그리고 사무엘 헌팅턴이 말하는 주요 문명의 재흥과 충돌을 경험하고 있다.

3) 도시화 (Urbanization): 세계는 점차 도시화되고 있다. 서기 2015년까지 인구 1천만 이상 되는 21개의 도시들 가운데 17개가 2/3세계에 있게 될 것이다 (Myers 41). 도시화와 더불어 어떤 그룹의 소외와 빈궁문제가 생기게 된다. 대부분의 인종-언어집단을 도시에서 볼 수 있으며 도시 생활의 변화에 처한 사람들은 복음에 더욱 수용적이다.

4) 여성의 역할의 증대 (The Enlarging of Women's Roles): 회교국 같은 곳에서는 그들의 역할이 제한을 받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역할이 세속사회와 종교계에서 증대되고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고 기대를 받고 있다.


라. 경제적인 동향

1) 경제의 세계화와 지역화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of Economies): 이전에 소련의 지배 아래 있던 지역에서 국가 사회주의의 붕괴와 중국의 변화는 세계 시장을 자본주의 시장으로 만들었다. 동시에 유럽에서는 지역적 세력을 규합하여 공동시장과 유로를 형성하였고 북미도 NAFTA, 동아시아, 중국, 그리고 회교국들과 제휴하고 있다. 점차로 정치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동맹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러한 일들은 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2) 경제력의 변화, 혼돈, 동반 붕괴의 결과로 자원의 배치 전환 (Resource Relocation with Resultant Shifting Economic Strength, Chaos, and Potential for Interrelated Collapses): 1970년대는 부가 OPEC 국가들, 주로 회교국가들에게 옮겨졌고, 1980년대에는 태평양 연안국가들에게 옮겨졌다가 1990년대에 기울어졌다. 아프리카 크게 기울었으며 분쟁과 가뭄으로 악화되었다.

3) 부유한 사람들과 가난한 사람들 간의 격차가 커짐 (A Widening Gap Between the Wealthy and the Burgeoning Poor): 빈부의 격차가 지역 안팎으로 벌어지고 있다. 세계의 가장 부유한 사람들 20%가 85%의 세계 수입을 가지고 있다.


마. 과학기술의 경향 (Technological Trends)

정보 통신의 폭발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xplosion): 대부분의 세계가 인터넷에 떠 있으며 웬만한 사람이면 E-mail을 사용한다. 아프리카만이 이 정보고속도로 밖에 있다. 새로운 과학기술은 지역의 장벽을 넘어, 심지어 폐쇄적인 나라에서 일하고 있는 선교사들 간의 회의를 하고 협력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컴퓨터의 도움으로 번역도 하고 CD Rom에 의한 자료들은 나누게 한다.


4. 21 세기 세계선교의 전망 (Perspective of the 21st Century World Mission)

폴 피어슨 (Paul E. Pierson)박사는 '21세기 선교 동향' (Trends in Mission in the 21st Century)라는 글에서 오늘날 기독교 선교운동은 인류 역사상 가장 범 민족적, 범 문화적, 국제적인 운동이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세계교회는 서구중심에서 제삼세계 중심으로, 교파주의에서 초 교파주의로,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데올로기에서 경제와 기술 위주로, 복음전도 위주에서 가난한 사람들과 주변인물들을 위한 관심을 표명하는 사회에 대한 책임 인식으로, 건물 위주에서 소단위 그룹 위주로, 성직자 위주에서 평신도와 여성의 사역 참여로, 그리고 기독교 선교가 다가오는 세기에 직면할 문제로는 도시화, 빈곤, 세속주의, 대종교들, 개인적인 면과 사회적인 면의 제자의 도, 지도자 선발과 훈련 그리고 순수한 예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Pierson 1998: 1-2).

가)범 민족적 범 문화적 국제적 선교. 나)미 접촉 족속 복음화 우선 사역. 다)복음전도와 사회적 책임을 함께 강조. 라)전통적인 선교방법 외에 다양한 접근 방법 활용. 마)거주 장기사역 외에 비 거주 및 단기사역. 바)도시 중심의 선교. 사)기술문명을 이용한 선교.




맺는 말

근대선교는 지리적 발견, 과학의 발달, 응용기술, 종교적 부흥, 노예제도, 정치변혁, 새천년에 대한 기대, 경제성장과 함께 윌리엄 케리가 주님의 지상명령을 재해석하면서 시작 되었습니다. 주로 구라파 교회가 담당한 해안선교 시대가 있었고, 주로 북미교회가 담당한 내지 선교 시대가 있었으며, 지금은 주로 제삼세계교회가 담당할 미 접촉 족속들 및 구 기독교권 재 복음화를 위한 새로운 선교시대로 진입하였습니다. 선교는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독특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지금 세계는 급변하고 있습니다. 지구촌이 세계화의 물결로 뒤덮이고 있으며 지구촌의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종교가 모두 얽혀 있습니다. 불변하는 복음의 진리를 변화무쌍한 세상에서 사람들이 가장 잘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전하여야 합니다. 오늘날 세계 선교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 시대에 가능한 가장 적절하고 바람직한 방법으로 전개하여야 합니다.

훌러신학대학교 선교학 박기호 교수 
가난한 나라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의 재정 원칙

우리가 96년에 인도네시아에 들어왔을 당시 환율은 달러당 약 2,300 루피아였다. 미국 중서부에서 하위 중산층으로 살아온 우리는 갑자기 백만장자가 되어버린 것이다. 우린 우리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식하진 못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인도네시아에선 상대적으로 부유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부에는 요구사항과 책임이 뒤따르게 된다. 사람들은 우리가 실제로 가진 돈보다 우릴 부유하게 봤고, 우리가 그 돈으로 그들을 도와주고 싶어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들을 돕고 싶은 건 사실이었지만, 몇 가지 질문에 우린 사로잡혔다. 누구를 도와야 하는가? 어떻게 도와야 하는 것인가?
장기화된 정치-경제적 위기로 해가 갈수록 상황은 점점 어려워졌다. 환율이 달러 당 15,000 루피아까지 급락해버려, 우린 더 큰 부자가 되고 말았다.
우린 대도시에 살며, 인도네시아 팀과 동역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부부가 주도하는데, 도시 변두리 산업 지구의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노동자들은 주변 마을 및 도시에서 직업을 구하고자 찾아온 이들이다.
이들은 공장에서 보통 일당 3달러 정도를 벌어 가난하지만, 대개 궁핍하진 않다. 도와줄 수 있는 기회는 충분한데, 특별히 질병이 닥쳤을 때나 누군가 실직을 당했을 때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우린 말씀을 살피고, 다른 이들에게 조언도 구하게 되었다. 우린 여러 상황에 맞부딪힐 때, 말씀에 기초한 원칙들을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들을 놓고 씨름했다. 다음에는 도움이 될 만한 원칙들을 모아봤다.

부를 나누는 10가지 원칙

1.모든 이들에게 선을 행하되, 특별히 믿음의 가정에 그리하라. (갈 6:9~10)
우리는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주고 싶다. 우린 영적인 도움 뿐만 아니라 물질적인 도움도 제공한다. 한 예로, 최근에 한 가족과 있었던 일을 소개하려 한다. 그 집 아기는 알레르기 증세가 있어 비싼 두유를 먹어야 했지만, 아빠가 실직자인 관계로 살 돈이 없었다. 이 때 우리는 계속적으로 돈만 대주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장기간 도와 줄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2.우리가 돕는 한계는 사랑이다.
마태복음 5:38~42에 따르면, 우린 도움을 구하는 자들에게나 그저 훔치는 자들에게나 모두 주어야 한다. 여기에서의 한도는 그 사람에 대한 사랑이다. 구하는 자가 그만큼 사랑스럽지 않으면, 우리는 주지 않는다. 우리가 도움으로써 욕심이나 의존성 등이 자라나게 된다면, 그것은 사랑도 아니고 더 이상의 유익도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 한계를 핑계로 대며 뒤에 숨어 방관하고 있을 순 없다. 요한 일서 3:17~18의 명령은 분명하다. 우리가 세상의 부를 갖고 있으며 진정 도움이 필요한 형제를 보게 된다면, 우린 행함으로 사랑해야 한다. 우리가 주는 것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바라서는 안된다.
우리가 위 마태복음의 말씀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누가 우리를 이용한다 해도 그것은 좋다는 것이다. 많은 국외 추방자들, 특별히 새로 쫓겨난 이들은 이용당하는 것을 끔찍이 싫어한다. 이러한 현상의 주원인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자원들의 선한 청지기가 되고자 하는 마음보다는 (재산이 많거나, 영리하거나 강함에 대한) 교만에 뿌리내리고 있는 듯하다.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이 어리석어져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관대해지는 것이 우리의 권리라는 것이다. 우리는 시장에서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가능한 최저가로 깎아내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시가보다 더 낼 수도 있는 것이다. 사치스러울 필요는 없지만, 사랑으로 그리한다면 은혜를 끼치는 좋은 방편이 될 수 있다. 우리는 내어줄 만큼 사랑스럽지 못한 때에는 역시 망설임 없이 도움을 거절할 줄 알아야 한다.

3.가난한 이들을 도울 때에는, 정말 곤경에 처한 이들에게 주라
도움을 받을 다른 길(가족, 친척들을 통한 도움, 비정규직 노동, 팔거나 담보 줄 수 있는 비필수 자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 있는 이들은 그 쪽 길을 이용해야 한다. 디모데 전서 5:3~16을 보면 구체적으로 과부의 문제를 다루는데, 우리는 이를 좀 더 폭 넓게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바울이 우려했던 것들 중 하나는, 물질적 도움이 계속되면 게으름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딤전 5:13) 그러므로 일을 할 수 있거나 돈을 구할 수 있는 합법적 출처가 있는 사람들은 도울 필요가 없다. 여기에는 '수입 창출이 안 되는' 자산을 파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V나 보석, 고급 가구 등 말이다. 우리는 한 실직 남성이 자신의 오토바이를 팔아 자전거를 산 경우를 보았다. 그는 차액을 가지고 식료품점을 열었다.
또 다른 예로는, 나와 친한 이가 실직을 당해 시내에서 직업을 구할 수 없었던 경우가 있다. 그는 고향 마을로 돌아가 가족 소유 농장에서 일할 생각을 했다. 우리 팀은 그에게 돈을 주어 그가 도시에 머물러, 계속해서 우리와 진리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하지만 결국엔 그렇게 하지 않기로 했고, 그것은 위의 원칙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갔고,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곳에서 그에게 진리를 보이시리라 믿는다.

4.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을 하여 자활해야 한다.
바울은 이러한 모델을 교회에 제시했고(살후 3:6~12), 가능한 경우엔 자신도 그렇게 했다. (행 18) 우리는 위의 친구가 고향으로 돌아가게 함으로 이 원칙을 실천했다.
사람들에게 일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은 존엄성과 지탱력을 증진시킨다. 우린 의존성이 생기게 해선 안 된다. 윌리암 콘필드(1999)는 재정적 가부장제와 그에 따른 의존성을 "전세계 교회의 성장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소 중 하나"로 지목했다. 다른 글(1991)에서 그는, 재정 악용, 질투, 다툼, 개인 왕국 건설, 성직자의 직업화, 지역교회에서의 독창력 부족 등 재정적 가부장제에서 파생한 문제들을 지적한다.
돈은 종종 주는 사람에게나 받는 사람에게나 분별력을 잃게 한다. 믿는 이들은 각자 하나님의 공급에 의지해야 한다. (빌 4:9) 우리는 또한 개인들이 자연적 정체성과, 후에 스스로 그리스도의 영향력을 행사할 이들(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가지길 갈망해야 한다. 외국인에게 전적으로 후원을 받는 이들은 이러한 정체성을 확립하기가 어렵다.

5.4번째 원칙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외국인들은 노동원(源)이 되어선 안 된다.
우린 "국수 크리스천"이라고 하는 부류가 되어선 안된다. 이는 인도네시아에서 아주 인기 좋고, 값싼 즉석 국수를 따라 붙여진 이름인데, 우린 사람들이 물질적 이득을 위해 말로만 진리를 따르게 해서는 안된다. 사도행전 8:9~24에 등장하는 시몬은 그러한 사람이었다. 베드로는 옳게도 그가 원하는 것을 주지 않았다. 우린 사람들이 우리를 따르거나, 우리의 일부가 되게 하려 베푸는 것을 피해야 한다.
또 다른 유혹이라 할 수 있는 것은, 현지 믿는 이들을 고용하고 그들에게 물질 지원을 하여 사역을 바로 시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수입이 적어 이주 노동자들을 일터로 보내는 것보다 돈이 훨씬 안드는 나라에서 빈번히 발생한다. 현지 성도들이 언어나 문화의 장벽이 없기 때문에 더 효과적으로 사역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잠정적 유익이 있다 해도, 우린 이러한 일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성경에 이러한 선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보통 오래 지속하기가 어렵고, 또한 이 고용된 현지인들이 사역하는 바로 그 대상들 사이에 어려운 문제가 생기게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일꾼들은 자신들이 접근하려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자연스러운 정체성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관찰한 바로는, 보통 그들은 컴퓨터 학교나 언어 학교를 운영하거나 작은 사업을 하는 등 위장술을 쓴다. 공동체의 성원들이 일반적으로 의문을 갖는 것은 이 정도 "위치"의 사람이 그런 생활을 유지할 만큼 돈을 도저히 벌 수 없다는 점이다. 공동체에서 이들이 다른 곳에서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공동체 사람들은 의심을 갖게 되고, 접근은 더욱 어려워진다. 현지인들을 고용하는 방법은 지속하기가 힘들다. 우리는 현지 노동자들이 (외국 출처의) 후원이 끊겨, 가족을 부양할 일거리를 찾으려고 애쓰는 모습을 다양한 곳에서 보았다. 많은 경우에 이들이 세속의 직장을 구하기는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청춘을 사역에 바쳤고, 대부분의 일을 새로 배우기엔 늦었기 때문이다. 솜씨가 이미 녹슬었을지 모른다. 씁쓸함만 남을 것이다. 사역을 시작할 때부터 후원을 중단할 시기를 정해 놓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어쩌면 애초에 후원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지 모른다. 예수님과 사도 바울이 모두 일꾼이 그 삯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셨지만(눅 10:7, 딤전 5:17~18), 둘 다 지불의 책임이 멘토나 리더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역의 대상에게 있다고 하신 것 같다. 예수님은 70명의 제자를 보내시면서 아무 것도 주지 않으셨다. 바울 역시 디모데에게 아무 것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예가 갈라디아서 6:6과 히브리서 13:16~17에 다시 나타난다.
바울이 개척에 힘쓸 때 다른 교회에서 후원을 받은 예가 고린도 후서 11:8에 나온다. 사실 그에겐 고린도 교회로부터 후원을 받을 권리가 있었으나, 의도적으로 그 길을 피했다. (고린도 전서 9:12) 사역을 통해 이득을 챙긴다는 오해를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6.우리를 통해 후원 받는 성도들은 그것이 당연한 권리나 노력으로 번 것이 아니라, 순전히 은혜라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만 한다.
이는 에베소서 2:1~10에 나타난 올바른 자화상을 뒷받침한다.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허물로 죽은 우리를 너희가 은혜로 구원을 얻은 것이라."
우리가 누구인지를 이해함(전에 죄로 인해 죽었으나, 이제 하나님의 지극하신 사랑으로 살게 됨)으로 여러 모양으로 보여진 그 분의 은혜를 이해하고 감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받는 자는, 선물을 기대하거나 요구해서는 안 되며, 받는 모든 것이 은혜이며 주는 자의 뜻에 달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는 쪽에서 주기를 그만두거나 형식을 변경하기로 해도, 화를 내거나 실망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우리 팀에게 도움을 받아 단기 비서직으로 일한 한 여자는, 기간이 끝나자 화를 내며 이사를 가 버렸다. 아마 그녀는 무한정 도움 받을 것을 기대했던 듯하다. 그녀는 우리 팀이 그녀에게 은혜를 끼친 것이며, 그것을 지속할 아무런 의무가 없음을 알지 못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기한을 분명하게 정하여 통보하면 이런 일은 없을 것이다.
이 문제는 만족과 감사의 필요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주요 관련 성구로는 빌립보서 4:10~12, 디모데 전서 4:1~4, 데살로니가 전서 5:16~18, 그리고 디모데전서 6:6~8이 있다. 성령께서 믿는 이들이 이 교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신다. 우리는 때를 따라 사람들을 말씀으로 이끌고, 그들이 진정 은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감사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한다.

7.은혜를 입은 자들은 은혜를 끼쳐야 한다.
우리는 물질적으로 은혜를 입은 자들이 이제는 다른 이들에게 나눌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주는 것은 문자 그대로 '마음'의 문제이다. 우리는 믿는 이들에게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바울은 빌립보서 4:17에서 그 이유를 설명한다. "내가 선물을 구함이 아니요 오직 너희에게 유익하도록 과실이 번성하기를 구함이라." 간단히 얘기하면, 베푸는 것은 베푸는 자에게 유익이다.
또 다른 관련 구절로는 고린도후서 9:6~8의 즐겨 내는 원칙과 고린도후서 8장의 마게도냐 사람의 예(분에 넘치게 내어 준 가난한 이들)를 들 수가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경우를 우리 팀 리더와 그 가족들의 삶에서 볼 수가 있었다. 그는 인도네시아 기부자들의 전적인 후원을 받았지만, 불충분한 경우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 그 가족은 대단히 관대하여, 사람들을 집에서 함께 지내게 하고, 무료로 차량 봉사도 했다.

8.외국의 자금은 믿을 만한 현지인들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좋다.
사도행전 11:29~30에 보면, 안디옥 교회(대부분 성도가 이방인)가 예루살렘(대부분 유대인)에 선물을 보낼 때 바나바와 사울(안디옥 교회가 신뢰했던 유대인들)의 인편을 통했던 예를 볼 수 있다. 선물을 보낸 안디옥성도들은 이방인들이 아니라 유대인들을 통해 전달되었으면 더 좋았으리라고 생각했을지 모른다. 이것을 가지고 교리를 정립할 필요는 없지만, 실용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우리가 보기에 인도네시아 성도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만나서 질문을 하고, 결정을 내리는 것이 유용하다. 때로는 실제적인 필요가 없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또는 우리 쪽에서 적정한 형식의 원조를 결정할 것이다. 원조가 결정되면, 우리가 직접 돈을 내주지 않고, 인도네시아 인들을 통해 내게 하고 우리가 갚아준다. 우리 사역 팀에는 긴급 상황에 도와주는 <러브 프로젝트>라는 것이 있다. 우리는 인도네시아 인들이 이를 위한 재정에 함께 헌금하게 한다.

9.일반적으로, 대부는 사용하지 않는다
잠언 22:7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빚진 자는 채주의 종이 된다"는 것이다. 돈을 빌리는 경우, 빌린 사람이 관계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진리를 나누거나, 그 사람이 믿음 안에서 성장토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대부는 관계에 상처를 입히기 쉽다. 빚을 진 사람이 대부 조건에 따라 돈을 갚을 수가 없을 때 당황하고, 두려워하여 돈 갚기를 피함으로써 관계에서 발을 뺄 수도 있다.
우리가 살펴보고 경험하고, 또한 말씀으로 확증된 바는, 정말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돈을 빌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능력이 안되거나 마음이 내키지 않아서 줄 수 없는 경우라면, 재정적으로는 돕지를 말아야 한다. 로마서 13:8에 따르면, 가능하면 빚을 지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다른 이들로 하여금 빚지게 해서도 안 되겠다.

10.현금보다는 물질로 베푸는 것이 좋다.
특별히 그 돈이 어떻게 쓰여질 지에 대한 우려에서 그렇다. 야고보서 2:15~16을 보면 이러한 베풂에 대한 예가 나오는데, 바로 의복이나 양식 등 기본적 필요를 채워주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돕는 것이 보통 더 어려운 것은, 시간과 수고를 들여 물품을 구입하여 갖다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접근하면 관계가 깊어지는 좋은 기회를 만들 수도 있다. 왜냐하면 수급자에게 물품을 전달할 때마다 반복해서 방문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들은 근처 고아원의 아이들을 위해 물품을 구입하고, 포장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함께함으로 '주는 기쁨'을 깨달은 경우가 많았다. 현금을 주는 것이 쉽겠지만, 이러한 방문을 통해 더 관계가 탄탄해 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현금이 아닌 방법으로 돕는 또 다른 경우를 보자면, 영어를 가르치는 등 시간을 들이는 수가 있다. 우리는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주간 영어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수업 시간 중에 우리는 복음 증거를 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보통 영적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섬기고 관계를 깊이 쌓을 시간인 것이다. 시간을 투자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조언을 주거나 각자의 전문 분야에 대한 상담을 하는 것이 있겠다. 나는 개인적으로 경제와 재정 관련 경력이 있어 돈을 다루거나 프로젝트를 사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직접 금전적 원조를 하지 않고도 도와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값진 방법이다. 나는 모스크나 학교, 다른 지역 단체들에 종종 이런 일을 한다.

결론
우리 모두는 말씀을 놓고 하나님 앞에서 각각의 경우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지 결정해야만 한다. 성경은 우리에게 원칙적 지침이 되고, 성령이 친히 이끌어 주신다. 그러므로 우리가 지금 내리는 결론은 다른 이들의 결론과 다를 수 있다. 말씀에 명시된 틀 안에서, 다른 이들을 다른 방법으로 할 수 있도록 자유를 주어야 한다.
우린 이 원칙이 여러 경우에 유익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의 제안이 다소 이상적으로 비칠지 모르겠다. 많은 실수가 있었고, 계속 진행해 오며 새로운 것들을 배웠다. 또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하며 다른 이들로부터 도움과 조언을 받았다. 우리의 원칙들이 실제적 필요로 가득한 세상에서 사역자들이 훌륭한 청지기로 살아가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번역:고병현 님]
출처 : 바울선교 회지99호 

 

대자연의 재앙 / KBS세계의 다큐멘터리

중국 한국인회                        http://www.koreanc.cn/

심양 한국인회                        http://www.sykorean.net/
장춘 한국인회                        http://www.cckorean.net
대련 한국인회                        http://www.daliankr.org/
의우지역 한인회                     http://www.koreanyiwu.com/
단동 한국인회                        http://www.dandongkorean.net/
홍콩 한인회                           http://www.gzkccic.com/

 

몽골 한인회                           http://www.mongolhanin.or.kr/

우즈베케스탄 한국 교민회        http://www.uzkorea.com/
러시아 모스크바 한인회           http://www.moskoreans.ru/

 

미주 한인회 총연합회              http://www.koreanus.org/
뉴욕 한인회                            http://www.nykorean.org/
클리블랜드 한인회                  http://www.kaagc.org/
중부 오하이오 한인회              http://www.kasco.org/
시카고 한인회                        http://www.koreachicago.org/
로스엔젤레스 한인회               http://www.koreanfed.org/
뉴저지 한인총연합회               http://www.njkorean.org/
오레곤 한인회                        http://www.oregonkorea.com/
애틀랜타 한인회                     http://www.atlkorean.org/
북버지니아한인회                   http://www.vakorea.org/
차타누가 한인회                     http://www.chattanoogakorean.org/
뉴저지 한인총연합회               http://www.njkorean.org/
올바니 한인회                        http://www.albanykorean.org/
미네소타 한인회                     http://www.mnkorea.org/
필라델피아 한인회                  http://www.philakorean.org/

 

캐나다 한인회 총연합회           http://www.koreancanadian.org/
몬트리얼 한인회                     http://www.hananet.com/montreal/index.php
노바스코샤 한인회                  http://www.koreanovascotia.com/
매니토바 한인회                     http://www.koreanmanitoba.com/
후레져 벨리  한인회                http://fvkorean.homestead.com/
토론토 한인회                        http://www.koreancentre.on.ca/
에드몬톤 한인회                     http://www.khome.ca

스위스 한인연합회                   http://www.swisskorea.com/
재불 한인회                           http://www.koreanfr.org/
터키 한인회                           http://www.turkeykorean.com/
루마니아 한인회                     http://www.rokorean.net/
네덜란드 한인회                     http://www.kr-nl.org/
오스트리아 한인연합회            http://www.korean.at/
스웨덴 한인회                        http://www.koreans.se/
핀란드 한인회                        http://www.finnkorea.com/
그리스 한인회                        http://www.kringr.com.ne.kr/
체코 한인회                           http://www.korean-cz.com/
스페인 까딸루냐 한국 교민회    http://www.haninbcn.com/
독일 한인연합회                     http://www.jaedokhanin.de/
영국 한인회                           http://www.krsuk.org/


태국 한인회                           http://koreathai.korthai.com/
중화민국 한교협회                  http://www.roktaiwan.org.tw/
싱가포르 한인회                     http://www.koreansingapore.org/
말레이지아 한인회                  http://www.mykorean.org/
인도네시아 한인회                  http://www.innekorean.or.id/
필리핀 한인회                        http://www.korea.com.ph/
필리핀 바기오 한인회              http://www.baguioinfo.net/
괌 한인회                              http://www.hafaadaikorea.com/
방글라데시 한인회                  http://www.kor-bangladesh.com/
스리랑카 한인회                     http://www.lankakorean.org/

일본대한민국민단중앙본부    http://www.mindan.org/
일본 한국인연합회               http://www.haninhe.com/

호주 시드니 한인회                 http://www.koreanet.org.au/
빅토리아주 한인회                  http://www.korean.org.au/
캔버라 한인회                        http://www.actkorean.net/
퀸즈랜드 한인회                     http://www.koreanqld.org/
뉴질랜드 한인회                     http://www.nzkorea.org/
크라이스트처치 한인회            http://www.chchkorean.org/
파푸아뉴기니 한인회               http://myhome.naver.com/pngkorean

브라질 한인회                        http://www.haninbrasil.com.br/
볼리비아 산타크루스 한인회     http://www.koreasantacruz.info/
칠레 한인회                           http://chile-hanin.net/
코스타리카 한인회                  http://www.costarica.or.kr/
남아공 한인회                        http://www.saka.co.kr/

 

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