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강제이주 70주년의 부끄러움

 

 

1860년대부터 러시아 연해주(沿海州·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한 시베리아 동해안 지방)로 진출한 한국인은 한때 그 수가 20만 명을 넘어서며 연해주에서 한민족 시대가 열리는 듯했다. 그러나 1937년 9월 스탈린의 ‘소수민족 강제이주 정책’으로 한인 전체가 6000km나 떨어진 중앙아시아로 옮겨졌다. 한국 근대사의 비극으로 일컬어지는 러시아 한인 강제이주가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고려인들(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살고 있는 한인 동포들은 스스로를 고려인이라 부른다)이 중앙아시아에서 고난을 극복하고 그곳에 뿌리를 내릴 즈음인 1990년대 초, 소련 해체와 신생 독립국가들의 탄생으로 이들은 다시 유랑민으로 내몰렸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독립 이후 러시아어 대신 자기 민족 언어를 공식 언어로 공표함에 따라 그동안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현지 민족 언어를 배우지 않았던 고려인은 이방인 취급을 받게 됐다. 거기에다 회교 근본주의의 확산, 집단 농장의 와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각 공화국의 민족주의 경향 등으로 지금 힘든 처지에 있다.고려인과 달리 소련 해체 이후 조국을 가진 다른 민족들은 자기 나라로 돌아갔거나, 본국이 재빨리 현지 정착촌을 만들어 자국민을 보호하였다. 이스라엘은 소련 시절부터 유대인의 입국과 정착을 지원하여 100만 명에 이르는 러시아계 유대인을 받아들였다. 독일은 동·서독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50만 명의 러시아 거주 독일인을 수용했다. 그리스, 폴란드, 터키 등 대부분의 국가들도 자국민 후손들이 귀국할 경우 국적을 부여하고 정착지원금을 보조하고 있다. 그러나 55만에 달하는 고려인들은 모국으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고려인 귀국 프로그램 등 어떤 종합적 대책도 마련하지 않았다.역사 속에 묻혔던 연해주 한인들의 항일독립운동 행적이 점차 밝혀지면서, 항일독립투쟁사에서 이들도 재평가받고 있다. 한국 정부가 과거사의 진실을 규명한다면 이들의 역사와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고려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과거사를 정리하는 첫걸음이며 경제력이 커진 대한민국이 가장 먼저 해야 할 도리이다.먼저 4만~5만명에 이르는 러시아 및 주변국의 불법 체류 고려인과 무국적 고려인, 절박한 생활고와 질병 등으로 고통받는 고려인의 현황을 조속히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소련 붕괴 과정에서 수만 명의 고려인들이 신생 독립국가의 국적을 받지 못해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고려인 1세대는 대부분 세상을 떠났으며, 지금은 4~5세대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많은 수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부 러시아와 연해주, 러시아 대도시로 재이주를 감행했거나 희망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도 한국정부의 신속하고도 적절한 지원 대책이 절실하다. 고려인 가운데 상당수는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조상을 두고 있다는 사실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또 일부 고려인은 옛 소련 시절 짧은 기간에 성공하여 정부로부터 인정받으며 살았다. 지금도 적지 않은 고려인들이 사업가로, 학자로, 예술가로 자기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고국에서 자신들이 연민의 대상으로 비치는 것을 싫어한다. 이들에 대해서는 조국과의 교류협력을 통해 한민족 정체성을 심어주고 한민족 네트워크의 구성원으로 이끌어내야 한다. 강제이주 70주년인 올해 고려인들에 대한 정부의 종합대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출처 : 사랑과 용서
글쓴이 : 망구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