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6일째, 아비규환의 중국 지진 현장
한국 중앙 구조대 팀 16일부터 본격적인 구조 활동 시작. 전염병 발생 우려와 유언비어 난무. 건국 이래 가장 큰 지진 피해

(서울)지진 발생 6일째를 맞고 있는 중국 피해지역에 한국 정부에서 파견한 국제인명구조대(중앙119소방대원)의 본격적인 구조 활동이 시작되고 있다.

중국 쓰촨성(四川省) 대지진 현장에 투입된 119 구조대원들은 중국 구조대원들과 함께 생존자를 구출하기위한 활동에 들어갔다고 한다.

지옥을 방불케 하는 지진 피해 현장에는 아직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고, 생존자들의 비명소리와 가족을 찾는 통곡소리가 뒤엉켜 아수라장이 돼 있다고 한다.

중국정부 요청에 1차 긴급 파견된 119구조대원 44명은 17일 지진 최대 피해지역 중 하나인 스팡현 잉화진 화학공장에 투입돼 본격적인 인명 구조작업에 들어갔다.

직원 천여명 가운데 수백명이 무너진 건물더미에 매몰돼 있는 스화(什化)화학공장에는 농업용 복합비료를 생산하던 곳으로 휘발성이 강한 화공약품이 적재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건물과 시설파괴로 인해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 물질이 노출되고 있다고 한다.

이 공장에 있던 150톤의 암모니아가 붕괴사고로 일부 유출됐지만 아직 상당량이 무너진 공장 건물 안에 남아있다는 것이다.

여진이 계속되면서 화학 물질이 유출될 것에 우려해 중국 구조팀의 구조작업이 중단된 이곳에 한국 119 구조대원이 자리를 잡았다.

구조대원들의 생명마저도 위험한 이곳에 텐트를 치고 16일 도착 직 후부터 구조작업에 들어갔다고 본지 베이징 특파원으로부터 속보가 날라 들어왔다.

중앙 119 국제구조대 소속인 이들은 이번이 8번째 해외구조작업으로 알제리와 이란 터키 대만 등 세계 곳곳의 지진현장에서 구조작업을 벌였던 베테랑 구조대원들이다. 이들은 지난 2001년 대만 지진현장에서는 지진 발생 1주일만에 6살 어린이를 구조해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한국 구조팀들은 매몰자 탐지기와 전파탐지기, 지중음향탐지기, 2마리의 수색견 등을 이용한 첨단장비로 수색작업에 돌입하자 매몰자의 가족들은 생존의 기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16일 오후 2시 현재까지 사망자 2만2060명, 부상자 16만8669명인 것으로 공식발표한 원바자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파괴력이 가장 강하고 32년 전의 탕산(塘山)대진보다 피해 규모가 더 크다”고 말했다고 한다.

매몰자가 3만여명에 이르고 실종자도 많아 사망자수는 5만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원 총리가 직접 말했고 수백만명의 이재민을 비롯해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자도 1,000만명에 이런다는 것이다. 피해 면적은 한국보다 넓고 피해액은 약 200억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붕괴된 20만여동의 건물 중 학교 교사 건물 7천여동이 부실 공사였다는 것이 이번 지진으로 드러나 중국국민들로부터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16일 지진피해 현장을 방문해, “인명 구조노력이 가장 중대한 고비에 접어들었다”면서 인명구조를 위한 시간과의 전쟁에 박차를 가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어려움에 직면하자 중국정부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러시아 외에도 다른 서방 국가들의 구조대 파견제의를 수락했다.

한편 지진 피해지역에는 야채나 과일 가격이 200%까지 급등하고 있고, 중국 정부는 쓰촨성과 간쑤(甘肅)성의 식품과 식수 등 일부 생필품 가격과 운송료에 대해 한시적인 가격상한제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시간이 더해감에 따라 전염병 발생이 우려되는 가운데 각종 악성 유언비어가 퍼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극적인 문구를 유포하고 민심을 동요 한 17명을 '악성루머 유포자'를 체포해 처벌 했다고 한다.

정몽준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닝푸쿠이(寧賦魁) 주한 중국대사와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최근 발생한 중국 쓰촨성(四川省) 대지진 재앙에 대해 위로하고 개인성금 10만 달러를 기탁하는 면모를 보였다.

정 최고위원은 이 자리에서 “중국은 우리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고 문화적 유대가 깊은 나라”라고 하고 “이웃이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서로 돕는 미풍양속에 따라 적은 금액이지만 우리의 뜻이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탁 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닝푸쿠이 주한 중국대사에게 “용기와 인내심을 잃지 말고 이번 사태를 잘 극복해 내길 바란다.”고 위로의 말도 덧 붙였다.

닝푸쿠이 대사는 “확인된 사망자만 2만여 명이고 매몰된 사람이 많아서 앞으로 사망자가 5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지진 참사와 관련해 성금을 주신 것은 따뜻한 우호의 표시라고 생각한다.”며 고마움을 답했다.

닝 대사는 “정 최고위원이 한·중 양국의 우호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하고 “중국 지도부에 그 뜻을 잘 전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찬은 한·중 협력관계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싶다는 닝 대사의 초청에 따라 이뤄졌다

ㅁ www.usinsideworld.com. -최정국-서울취재본부장
출처 : 최기자의 세상사는 이야기
글쓴이 : 아빠 곰 원글보기
메모 :

 

한국, 中대지진 인명구조 본격착수
 

 한국이 쓰촨(四川)성 대지진 피해지역 생존자들을 구조하기 위한

 중국의 막바지 '시간과의 전쟁' 노력에 적극 동참했다.

   한국 정부가 파견한 119 소방대원 44명은 지진 발생 엿새째인

17일 지진 최대 피해지역 중 하나인 스팡(什<方+阜>)현 잉화(鎣華)진 화학공장에서 인명 구조작업에 착수했다.

   이 화학공장에는 수백명이 매몰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휘발성이 강한 화공약품을 생산하던 곳이어서 구조작업이 위험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국 구조대는 지난 16일 현장에 도착한 후 텐트를 치고 이날부터 구조작업에 들어갔고, 일본과 싱가포르 구조대도 지진 현장에서 구조에 나섰다.

  

 

일본 지진 구조대

 

31명으로 구성된 일본 구조대는 16일 이른 오전 쓰촨성의 수도 청두에 도착했다. 일본은 2차 구조대 29명을 이날 오후 추가 파견한다.

1차 일본 구조대는 청두에서 400㎞ 정도 떨어진 칭촨현으로 육로로 이동하고 있다. 이들은 자동차 피난 행렬로 이동 일정이 1시간 이상 지체되자 다른 길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고이즈미 다카시 구조대장은 "칭촨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진으로 붕괴된 건물 구조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으나 구조활동을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 생명을 살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일단 칭촨현에서 일주일간 구조활동을 벌일 예정이나 상황에 따라 일정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

일본 구조대 구성에는 소방대원과 경찰, 해상보안청,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이 공동 참여했다.

 

 

 

 

 

 



   중국은 13만명의 군 병력과 헬리콥터 110대를 동원, 막바지 구조노력에 총력전을 펴고 있지만 방사능 누출 우려 속에 16일 진앙지 부근인 리(理)현에서 리히터 규모 5.9의 여진이 발생, 구조에 어려움을 더해주고 있다.

   중국은 이같은 구조의 어려움에 직면하자 한국, 일본, 싱가포르, 러시아 외에 다른 서방국가들의 구조대 파견 제의를 수용할 방침이다.

   원바자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신중국 건국 이래 파괴력이 가장 강하고 32년 전의 탕산(塘山)대진보다 피해 규모가 크다고 말한 이번 쓰촨 대지진의 피해는 16일 오후 2시 현재 사망자가 2만2천60명, 부상자가 16만8천669명으로 공식 발표됐다.

   매몰자가 3만여명에 실종자도 많아 사망자수는 5만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원 총리가 직접 말했고 피해 면적은 한국보다 넓고 한반도의 절반에 이르고 있다.

   이재민 수백만명을 비롯해 직접 피해자가 1천만명선이며

 

 재산 피해는 200억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붕괴된 20만여동의 건물 중 학교 교사 건물 7천여동이 포함돼 있어 부실 공사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전염병 창궐 우려 속에 각종 악성 유언비어가 퍼지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을 통해 '잘못된 정보, 자극적인 문구를 유포하고 민심을 동요케 한' 17명의 '악성루머 유포자'가 처벌을 받았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또 지진 피해지역 야채나 과일 가격이 200%까지 급등하자 중국 정부는 쓰촨성과 간쑤(甘肅)성의 식품과 식수 등 일부 생필품 가격과 운송료에 대해 한시적인 가격상한제를 실시키로 했다

 

 


지진 발생 이후 계속 피해 지역에 머물며 현장을 지휘하고 잇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도 "이번 지진은 1949년 중국 건국 이후 가장 크고 파괴적인 것"이라고 말하고 그러나 정부의 신속한 대응이 사망자 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인들 사이에는 이번 지진으로 특히 어린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들이 많이 무너진데 대한 분노가 확산되고 있으며 지진으로 약화된 많은 댐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쓰촨성과 이웃 충칭시에서는 최소한 17개의 댐들에서 균열이 발생해 물이 새어나오고 있다. 중국 수자원부는 이에 따라 최소한 9개 팀의 긴급 보수반을 이들 댐에 파견했다.

이와 함께 약 20개 시·현에서 상수도 체제가 심각하게 손상됐으며 전력 및 가스 공급 체계도 파손됐다.

또 중국 정부는 웹사이트를 통해 방사능 누출에 대한 예비 경보도 발령했다.

지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중 하나인 멘양은 비록 원자력발전소는 없지만 중국 핵무기 개발의 중심지로 여러 곳의 비밀 핵시설이 산재돼 있는 곳이다.

중국 당국은 피해 지역에 13만 명의 인민해방군을 투입했지만 도로 단절과 산사태 등으로 구조대와 구호물품의 공급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과 한국, 러시아, 대만, 싱가포르의 구호대가 지진 피해 지역에 도착하는 등 국제 구호도 이어지고 있다. 세계식량계획(WFP)은 중국의 요청에 따라 11만8000명 분의 식량을 보냈다고 밝혔다.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중국에 700만 달러의 긴급 자금을 지원했으며 추가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피해 지역에 대한 위성사진을 제공하는 한편 수송기 두 대분의 구호품을 중국에 제공할 계획이다

출처 : 정오의 빛 Blogs
글쓴이 : 숨어우는바람소리 원글보기
메모 :
중국 지진
구조대원들이 14일 중국 서남부 쓰촨(四川)성 선팡의 잉화 마을에서 이틀전 강진으로 대파된 잉펑 화학공장 잔해속에서 희생자들을 찾고 있다.


생존자 6만명 구조..도로.통신망 속속 복구, 정부, '악성루머' 유포한 17명 처벌
중국 쓰촨(四川)성 대지진의 사망자가 5만명을 넘을 가능성이 중국 정부 내에서 제기됐다.
대지진 발생 나흘째를 맞은 가운데 중국 국무원 내 지진.재난구조본부는 15일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9천509명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국무원은 이어 사망자수가 5만명을 넘을 수도 있음을 밝혔다고 국영 TV방송이 보도했다.
중국 군.경 구조대원들은 이날도 대지진이 강타한 쓰촨성 현장에서 6만여명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아직도 쓰촨성에서만 무너진 건물더미 속에 1만2천300명이 갇혀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부상자도 10만2천100명에 이르고 있다.
쓰촨성 지진재해대책본부 대변인은 "생존자 구조작업이 이번 참사 구호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이라면서

"구출한 생존자 6만여명은 현재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제2차 긴급회의를 열고 "인명구조가 최우선"이라고 강조하고

"한 가닥의 희망만 있다면 전력을 다해 인명을 구조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4천여명의 공수부대와 3천여명의 해군이

14일 지진 현장으로 추가 투입되는 등 현재 10만여명의 인민해방군과 무장경찰 병력이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구조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피해복구 작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도 이날 "비용이 얼마가 들더라도 산 사람들을 구해야 한다"면서

인민해방군 3만명과 헬리콥터 90대를 추가로 투입할 것을 지시했다. 특히 최악의 피해지역인 원촨(汶川)현과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개통이 임박하고

베이촨(北川)현과 �양(綿陽)을 잇는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등 끊긴 도로들이 속속 복구되고 있다.

쓰촨성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이날 지진 후 처음으로 전력공급이 정상화 됐다.
또 차이나텔레콤은 15일 오후 1시55분부터 이번 지진의 진앙지인 원촨현과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이 완전 복구됐다고 밝혔다.

◇ 대지진 직접 피해자 1천만명 = 쓰촨성을 강타한 이번 대지진으로 직접 피해를 입은 주민이 1천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화통신은 직접적으로 지진 피해를 당한 지역은 아바(阿패<土+貝)와 청두, �양, 더양(德陽) 등 6개 시로 면적이 6만5천㎢라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 면적인 9만9천㎢의 66%에 달하는 것이며 22만㎢ 넓이의 한반도 면적의 거의 3분의 1과 맞먹는 규모다.
또 이곳에 살고 있는 전체 인구는 모두 2천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주민만 1천만명인 것으로 추정됐다.

◇ 관광객 50여명 사망, 1만여명 고립 = 삼국지의 고향이며 희귀동물인 판다 서식지이고 경치가 빼어난 쓰촨성에 대지진이 발생하면서

관광길에 오른 사람들의 피해도 컸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쓰촨성을 배낭여행 중이던 한국인 유학생 5명은 나흘째 연락이 두절돼 현지 총영사관이 행방을 찾고 있다고 외교통상부 관계자가 15일 전했다.
연락이 끊긴 학생은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 텐진(天津)외국어대학교에 교환학생으로 간 안형준(27), 손혜경(22.여),

그리고 텐진외대 유학생인 백준호, 김동희, 김소라 씨 등 5명이다.

지진 발생지역에서 가까운 명승지 주자이거우(九寨溝)를 찾은 이들은 12일부터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

주자이거우에는 한국인 관광객 22명도 호텔에서 발이 묶인 상태에서 쓰촨성 성도인 청두(成都)로 가는 국내선 항공기에 자리가 나기를 기다리며 무작정 대기하고 있다.
아바(阿패<土+貝)현 응급관리청은 "지난 12일 지진이 발생하면서 주자이거우에서 관광버스를 타고가던 관광객 35명이 숨지는 등 관광객 50여명이 숨졌다"면서

14일 밤 8시 현재 주자이거우에 2천900명, 쑹판현에 7천58명 등 모두 1만386명의 관광객이 현지에 고립돼 있다고 밝혔다.
중국 국가관광국은 고립된 관광객 가운데 외국인은 893명이라면서 국내선 항공편과 우회도로를 통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 필사의 구조작업 = 대지진 발생 72시간을 넘기면서 인민해방군과 무장경찰, 소방대원 등 구조대원들은 필사적인 생존자 구조를 벌이고 있다.
인명구조 전문가들은 건물 잔해에 묻힌 생존자가 외부에서 식수나 음식을 공급받지 않고 72시간까지는 버틸 수 있지만 그 이상이 지나면 탈진 등으로

생존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면서 사망자가 크게 늘어난다면서 이들이 72시간 이내 구출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 때문에 구조 전문가들은 적절한 구조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황금의 72시간'이라는 말까지 사용하고 있다.
국제적십자.적신월연맹(IFRC)는 의료지원, 음식물, 식수, 텐트 등의 확보를 위해 이날 긴급 구호를 요청했다.

◇민심 악화 =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소수민족과 아바의 티베트인 자치구 등에선 폭동이 발생했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고 '화학물질 방출',

'댐 붕괴 가능성' 등의 소문이 도는 등 민심이 극도로 악화되는 상황이다. 신화통신은 온라인으로 '잘못된 정보, 자극적인 문구를 유포하고

민심을 동요케한' 17명의 '악성루포 유포자'가 처벌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공산당은 관리들에게 사회 안정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지진 후 많은 슈퍼마켓이 문을 닫은 가운데 쓰촨성과 간쑤(甘肅)성 일부에서 야채.과일 가격이 최고 200%까지 급등하는 현상을 보이자

중국 정부는 이날 쓰촨과 간쑤성에서 식품, 식수 등 일부 생필품 가격과 운송료에 대해 한시적인 가격상한제를 실시키로 했다.

◇ 생존자들은 전염병에 비상 = 이번 지진의 최대 피해지 가운데 한곳인 두장옌(都江堰)시의 생존자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전염병 만연에 대한 공포로 떨고 있다.
여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 우려로 거리에서 생활하고 있는 생존자들은 식수 부족을 가장 먼저 하소연했으며 무너진 건물에 매몰된 시신들이 부패하면서

전염병 가능성도 우려했다. 또 이번 대지진의 여파로 50만채에 달하는 주택이 무너졌으며 여진으로 인한 추가 붕괴 가능성 때문에 수백만명의 주민들이 이재민이 됐다.

이에 따라 상당수 주민들은 붕괴되지 않은 친척집에서 신세를 지거나 인근 도시로 '피난'을 떠나는 등 스스로 살 길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보건당국 관계자는 전염병 창궐 가능성이 아직 높지 않다고 밝혔다.

출처 : 나영이네집
글쓴이 : 사랑해요~LG 원글보기
메모 :

지난 2008년 5월 12일 14:30분, 중국 쓰촨성을 강타한 최악의 지진으로 사망자수만 5일이 지난 17일 12시현재 3만명이 넘었다고 중국 언론은 보도하고 있다. 

정말 사진만 봐도 끔찍 그 자체인데.. 베이징 올림픽이 8월 8일 개막하는데 열릴때도 이런 사건이 발생하면 어떡해~

 

아직까진 한국인 피해 사례는 없는 것 같지만.. 불안불안하다~

 

 

 

 

 

 

 

 

 

 

 

 

 

 

 

 

 

 

 

 

 

 

 

 

 

 

 

 



출처 : 나영이네집
글쓴이 : 사랑해요~LG 원글보기
메모 :

中네티즌 "예측은 정확했으나 증거없어 발표못해" 
중국 쓰촨(四川)성을 강타한 대지진을 앞두고 두꺼비가 떼지어 이동하는 등 이상 징후가 감지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문회보(文匯報) 인터넷판은 지난 12일 지진이 발생하기 며칠 전 진앙지 인근의 쓰촨성 �주(綿竹)시와 장쑤(江蘇)성 타이저우(泰州) 등에서 두꺼비떼가 이동하는 광경이 목격됐다고 13일 보도했다.

특히 �주시 시난(西南)진(鎭) 탄무(檀木)촌에서는 지진 발생 3일 전인 지난 9일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떼가 제약공장 도로변에 출몰했다.

두꺼비떼가 제약공장 주변 채소밭과 도로를 비롯해 20무(畝.1만3천334㎡)에 이르는 지역을 새까맣게 뒤덮었으며 많은 수의 두꺼비들이 차에 깔려 죽거나 행인의 발에 밟혀 죽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광경을 목격한 주민들은 "자연재해가 닥칠 불길한 전조가 아니냐"며 불안해했지만 정작 조사를 나온 현지 전문가는 "두꺼비 번식기로 정상적인 현상"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 것으로 전해졌다.

두꺼비떼가 출몰한 뒤 지진이 발생하자 중국 네티즌들이 "전문가가 두꺼비만 못하다"고 꼬집기도 했다.

한편 중국의 한 네티즌이 이번 지진을 정확하게 예측해 화제가 되고 있다.
문회보에 따르면 자신을 '수명홍안(水命紅顔)'이라고 밝힌 네티즌은 지난 7일 한 인터넷사이트(搜房網 武漢社集網)에 올린 글에서 12일 쓰촨성 등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지진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면서 "파악한 정보에 따르면 12일 쓰촨성과 후베이(湖北)성 중부 지방에서 대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중국 전역에서 지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한 출신은 그는 특별히 우한 지역 사이트에 글을 올려 고향 주민들에게 지진에 대비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예측은 구체적인 증거가 없어 발표되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뒤늦게 지진을 예감했다는 네티즌들의 글도 줄을 잇고 있다.
한 네티즌은 "어쩐지 요 며칠동안 우리집 개가 미친듯이 짖더라"라며 한숨을 내쉬었으며 산둥(山東)성의 한 네티즌은 지진구름(地震雲)을 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출처 : 소흥과 커쵸
글쓴이 : madang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