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2003 청년1부 몽골선교 동영상

2003 청년1부 몽골선교 동영상
울란바탈, 만달 지역 전도집회, 몽골국제대학교집회

자료제공:서울광염교회 몽골선교동영상입니다.

 

 

 

     

     주한 몽골대사관 사이트 

 

 http://www.mongolembassy.com/

 

 

 

 

 

 

 

 

 



    수도 : 울란바타르 (Ulaanbaatar)   주요도시 : 다르항, 에르드넷
    인구 : 약 265만명   주요민족 : 할하족, 카자흐족
    기후 : 대륙성기후   언어 : 몽골어
    면적 : 1,567,000㎢(한반도의 7배)   종교 : 라마불교(90%이상)

   

 

 

 

 

국가 개요

  • 일반정보
    국가명 : 몽골
    영문국가명 : Mongolia
    영문공식국가명 : none
    지역 : 아시아
    선교지도국가번호 : As4
    수도 : 울란바타르
    주언어 : 칼카(할흐)몽골어 / 투르크어, 러시아어
  • 인구,경제
    인구(명) : 2,832,224
    인구성장율(%) : 1.46
    유아사망율(%) : 52.1
    평균수명(세) : 64.9
    식자율(%) : 97.8
    1인당GDP(US$/인) : 2,200
    GDP성장율(%) : 5.5
    화폐단위 : 튀그릭(Tug)
    환율(현지화폐/US$) : MNT1120.4
    HDI순위 : 114
    HDI값 : 0.679
  • 종교
    개신교(%) : 0.56
    기독교(%) : 0.71
    주종교(%) : 무종교(41.6)
    제2종교(%) : 기타(31.2)
  • 수도 : 울란바타르 / 47°55′N 106°53′E
    면적 : 1,564,116 km² (18위)

     

    몽골인 한때는 외몽골로도 알려진 몽골은 초원, 산림, 3개의 주요 산, 고비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몽골은 70년 동안 소련에 의존해왔다. 그리고,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몽골의 경제는 휘청거리며 소비재의 대량 부족과 물가상승, 실업 증가가 야기되었다. 1911년 만주국과 중국의 지배로부터 독립한 후, 1921년에 소련의 지원으로 혁명이 일어나자 억압적인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1992년, 공산주의의 포기를 선언하고 다당제 민주주의가 시작되긴 했지만, 개혁 공산당이 선거에서 승리했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몽골의 교회는 현대사상 처음으로 들어서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는 현지인 기독교인이 없고, 외국 선교사는 공식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

    -이 나라에 사는 미전도 종족-

    다리강가
    두르베트
    북부 몽골
    우즈벡
    카자흐
    칼카 몽골
    지형과 기후


    몽골은 국토 전체가 아주 높은 지대로, 해발고도 약 1,600m의 고원국가이다. 지형은 대체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다. 1967년의 통계에 따르면 최고점은 서부 알타이산맥 중의 묀흐하이르한산(4,366m)이며, 최저점은 동부 도르노드 지구의 552m이다. 국토 중앙부에서 동부에 걸쳐 목축에 알맞은 대초원이 전개되고, 서쪽으로 갈수록 높고 험준하지만 이 지역도 천혜(天惠)의 고원성 초원지대를 이루어 목축이 가능하다.

    북서에서 남동부에 걸쳐 몽골알타이, 고비알타이의 두 산맥이 이어지고, 중앙부에 한가이·헨티이산맥이 완만한 높이로 이루어지며, 북부에는 탄울 및 사얀산맥이 형성되어 있다. 수계(水系)는 북부지역을 관류하는 셀렝가강(江), 동부지역을 흐르는 오논강, 수도 울란바토르 주변을 흐르는 툴강, 중앙지대를 북류하는 오르혼강, 서부지역의 자브한강·테스강·호브드강·이데르강 등이 주요 하천이다.

    하천의 유속(流速)은 비교적 빠르고 물은 맑고 차다.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혹한이 계속되는데, 여름의 더위는 내륙이기 때문에 습기가 없어 한국과 같은 무더위에 비해서 견딜 만하고, 겨울의 추위는 수도 울란바토르 등지에서도 -40℃로 내려가는 일이 많다. 봄은 5·6월의 2개월로, 이즈음 몽골 초원의 아름다움은 여행자를 즐겁게 하지만 기압의 변화가 심하고 때때로 돌풍이 일어 추위가 심하다. 9·10월은 몽골에서 가장 기후가 안정된 시기이다. 강수량은 적은 편으로 연간 350mm를 나타낸다.

    인구와 민족

    몽골의 주요 민족인 할하족(族)은 몽골제국 이래 형성된 몽골족 중 동몽골에 속하며, 15세기 무렵에는 할하강(江) 유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었다. 그러나 1688년 청(淸)에 복속하고 그 거주지는 4부(部) 86기(旗)로 세분되어 ‘외몽골’로 호칭하게 되었다. 1911년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외몽골의 지도자들은 이를 청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호기(好機)로 잡고 러시아의 지원 아래 그해 12월 우르가(지금의 울란바토르)에서 혁명을 일으켜 몽골의 독립을 선언하였다(몽골 제1차 혁명).

    그러나 중국의 강경한 반대에 부딪쳐 러시아·중국의 각서교환에 따라 자치만 인정받았고, 러시아에 10월혁명이 일어나자 그 자치도 중국에 의해서 1920년 철폐되었다. 그러나 10월혁명의 영향을 받은 하급관료·지식인 등은 반중국·민족해방을 목표로 몽골 인민혁명당을 결성했다. 이들은 1921년 혁명군을 조직하고, 소비에트 적군(赤軍)의 원조를 얻어 중국군과 러시아 백위군(白衛軍)을 축출하고 신정부를 수립, 독립을 쟁취하였다(제2차 혁명).

    1924년에는 군주제를 공화제로 고쳐 국명을 ‘몽골 인민공화국’으로 정하고 봉건·신권제(神權制) 잔재의 일소, 재산 사유권 금지 등을 규정한 최초의 헌법을 제정함으로써 소련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이로부터 몽골은 소련의 절대적 영향하에 들어가, 그들의 장래를 소련과 함께 하게 되었다.

    1946년 국민투표 결과 몽골국민의 독립의지가 확인됨에 따라 중국(국민당정부)으로부터 정식으로 분리, 독립을 인정받아 혁명 후 25년 만에 국제적 지위가 확립되었고, 1961년에는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에 가입했다. 1960년대의 중·소 대립 때는 소련을 지지, COMECON(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경제상호원조회의) 가맹과 소련 및 동유럽 공산국가의 원조로 경제적 난국을 타개했다. 중국과는 1986년에야 영사조약을 체결, 국가관계를 정상화하였고, 1987년에는 미국과도 국교를 수립하여 자유세계에도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하였다.

    사회


    현대의 몽골 사회는, 물론 옛날과 같은 유목사회는 아니지만, 인구 약 50만 명이 사는 수도 울란바토르의 주민 42%가 흔히 몽골 파오[蒙古包]라고 불리는 게르(원형 천막)에서 살고 있고, 국토의 태반을 차지하는 농촌의 초원지대에는 거의 게르를 치고 살고 있다. 현대식 아파트는 1960년대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였으며 몽골인들의 아파트 거주율은 49.1% 수준이다.

    음식은 양고기를 먹고 마유(馬乳)나 몽골주를 마신다. 이것이 농촌 몽골인의 생활기조(生活基調)인데, 지금은 이른바 물과 풀을 찾아 유랑하는 것과 같은 유목 생활은 없고 집단적인 목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산업발전과 경제개발에 따라 이농과 인구 도시집중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종교는 과거 라마교가 국교였으나 공산화 후 쇠퇴하여 많은 사원이 헐려 100여 명의 승려가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민주화운동 이후에는 공산정권에 의해 제국주의자·전쟁광으로 낙인찍혔던 칭기즈칸의 복권운동이 일어나 칭기즈칸 추모사업회도 발족하였다. 교육은 8년 의무교육에 초등학교 683개교, 고등교육기관 63개교가 있다. 교육여건과 시설의 낙후에도 불구하고 97.8%의 높은 문자 해득률을 보이고 있다.

    언론기관은 주요 일간지 《우르딘 소닌》 등과 영자지 등 200여 개지, 잡지가 발간되며 통신사 2개사, 텔레비전방송국 4국이 있고 라디오 방송국은 AM방송국 12국, FM방송국 2국, 단파방송국 13국이 있다(1998).

    문화


    몽골인들은 대부분 티베트 불교인 라마교를 믿는다. 그래서 타종교에 배타적인 편이다. 물가에 비해 급여수준이 너무 낮아 대다수의 몽골인들은 문화, 여가활동을 즐길 수 없는 형편이지만 발레나 연극, 극장 등은 보편화되어 있어 가족단위로 즐기는 편이다. 몽골어로 토요일을 하가스 사잉 어더르(반쯤 좋은 날), 일요일을 부그트 사잉 어더르(완전히 좋은 날)로 부를 만큼 주말을 즐겨 주말에는 시내가 한산해진다.

    몽골인들은 대개 여름에는 반팔과 청바지 및 운동화 그리고 모자와 선글래스 등을 착용하며 봄과 가을에는 점퍼차림, 겨울에는 양털로 된 겉옷이나 두껍고 긴 점퍼등의 파커류에 짐승의 털로 된 사각형의 털모자 및 장갑 그리고 무릎까지 오는 부츠 등을 착용한다. 노인들은 대부분 계절에 관계없이 몽골 전통 옷인 델(Del)과 모자인 말가이(Malgai)를 착용한다. 겨울에는 대개 어두운 느낌을 주는 색깔을 즐겨 입고 계절이 따뜻해지면서 색깔은 점점 밝아진다.

    몽골인의 음식문화 가운데 가장 특이한 것은 이들이 물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는데, 하나는 라마교에서는 물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또 한가지 이유는 몽골에는 바다가 없기 때문에 물고기 문화에 전혀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다.

    몽골의 신년인 신찔(12월31일)에는 모든 가족들이 한 자리에 모여-모든 출가한 자식들이나 친척들-정성스럽게 차린 음식을 선보이고 보드카를 마시며 덕담을 늘어놓는다. 그리고는 새해를 맞아 건강하게 그리고 하는 모든 일이 잘되기를 기원한다. 몽골 정부가 사회주의 혁명이 달성된 1921년 7월 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도입한 관제행사 나담(Naadam)축제가 매년 7월 11일부터 3일간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관광명소


    o 수헤바타르광장 (Sukhebaatar Square)

    - 울란바토르의 중심에 위치한 이 광장은 혁명영웅 수헤바타르의 동상이 힘차게 서 있으며 그 주위에 국회의사당, 정부청사 및 증권거래소 등이 위치하고 있다.

    o 국립자연사박물관 (The Natural History Museum)

    - 세계 3대 공룡박물관 중의 하나인 이곳은 공룡화석 뿐 아니라 몽골 각지에서 수집된 희귀한 자료 2만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방문객의 주의를 끄는 것은 거대한 공룡(타르보자울스)의 전시골격으로 박물관의 최대 귀중품이다. 몽골 방문시 꼭 들러야 할 장소이다.

    o 몽골역사 박물관 (The Museum of Mongolian History)

    - 과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몽골 역사자료, 음악자료, 유목민 생활상, 불교 문화재 등이 전시되어 있다.

    o 간단사원 (Gandan Monestry)

    - 19세기 중엽에 건축된 이 사원은 현재 몽골에서 가장 큰사원이며 과거 공산정권 하에서 유일하게 종교활동을 보장 받았던 매력적인 사원이다.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불상과 여러개의 작은 절, 스님들의 기숙사, 그리고 부설 불교대학이 있다. 간단사는 불교신자 뿐만아니라 몽골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o 초이진 라마사원 (Choijin Lama Monestry)

    - 1904년 완성된 이 사원은 1942년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현재 불교와 관련된 실크 탱화, 목재 및 청동불상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특히, 몽골 최고의 조각가 자나바자르(G. ZANABAZAR)의 불상조각품이 다량 전시 되어 있다.

    o 복트칸궁전박물관 (Bogdkhan Palace Museum)

    - 몽골의 마지막 복트칸인 후타크8세의 겨울별궁인 이 박물관은 왕의 거처(2층)와 사원(7개의 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족의 유품 및 진기한 수공예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o 테렐지

    - 국립공원인 테렐지는 울란바토르 북동쪽 75km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위산과 푸른초원이 이루는 조화는 수석분재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여름철에는 초원 위에 피어나는 에델바이스와 각종 야생화로 장관을 이룬다. 간단한 승마는 바위산의 계곡사이로 흐르는 냇물을 따라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야외에서 즐기는 몽골리안 바비큐는 빼 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자연의 걸작품인 거북바위는 보는 즐거움 외에 등정도 할 수 있어 이곳의 제일 가는 명소이다. 곳곳에 겔, 코지, 게스트룸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리조트가 있다. 3박4일이나 4박5일 일정으로 몽골을 여행하는 관광객은 주로 이곳을 방문한다. 몽골내의 캠프 중 유일하게 연중 개방된다.

    o 나랄담 휴양지

    - 바양골 헨티산의 그림같은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국제 어린이센터는 몽골리아의 수도 울란바토르 북서쪽으로 약 30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여름철의 온도는 15~25℃이다.이곳은 야외활동을 즐기기에 적절한 환경을 갖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과 신선한 공기는 휴양지로서 손색이 없고, 침엽수림과 초원은 하이킹 및 말타기에 적합하다.
    통나무로 지은 안락한 가족형 숙박시설과 단체 수련단을 위한 유스호스텔이 있으며, 식사는 양식과 몽골식을 제공하는 레스토랑을 이용할 수 있다. 가족단위로 아이들과 방문하면 다양한 스포츠 및 민속놀이를 즐기고 미리 신청하면 몽골유소년 민속공연단의 화려한 공연도 즐길 수 있다. 겨울철에는 타 지역에 비해 눈이 많은 편에어서 스키 및 썰매타기를 즐길 수 있다. 울란바토르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고 도로사정도 양호한 편이어서 아이들 뿐아니라 어른들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족 나들이에 적합한 곳이다.

    o 후스테인누르

    - 바토르 남서쪽 100km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9만ha의 광대한 자연보호 구역이다. 최근에 외국인 관광객에게 다시 개방 되었으며, 고비사막과 더불어 세계에서 유일하게 프로체발스키(야생마), 일명 타키(TAKHI)를 관찰할 수 있다. 프르체발스키(PRZEWALSKI)는 선사시대의 동굴벽화에 남아있는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곳에서는 초원 외에도 가까이에 사막의 일부분인 SAND DUNE(모래둔덕)도 관광할 수 있다. 또한 하이킹코스로 몽골 특유의 야생화 및 조류탐사를 할 수 있으며 밤하늘의 별자리 관찰은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o 만츠쉬르

    - 울란 바토르에서 한시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해 있는 만츠쉬르 리조트는 잘 보존된 자연환경과 근처 복드산에 위치한 만츠쉬르 사원의 폐허를 통해 몽골제국의 옛 영화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가까이에 있는 운드르도프는 전형적인 몽골 초원 지대로 몽골인들의 신혼여행지로 인기가 있으며, 만츠쉬르와 운드르도프간의 승마는 초보자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코스이다.

    o 바양고비

    - 울란 바토르에서 서쪽으로 280km 떨어진 바양고비 리조트는 초원과 작은 모래둔덕, 작은 냇물,수풀지대, 나지막한 산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몽골 자연환경이 어우러져 있는 곳이다. 육로로 이동할 경우 비포장도로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지만 울란 바토르 근교에서는 맛볼 수 없는 몽골 초원의 대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o 첸헤르

    - 아주르 온천휴양지(AZURE SKY SPA)가 위치해 있는 이곳은 울란바토르에서 짚차편으로 10시간 정도 소요 되며, 여름철에 한시적으로 운항되는 전세항공편으로는 체첼렉까지 2시간 비행 후 짚차로 4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첸헤르는 초원과 타이가숲이 어우러진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이곳의 노천온천은 자연온도 86℃의 유황온천이며 고혈압, 신경통, 만성비염, 편두통에 특히 효험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곳의 캠프는 목조 숙박시설과 겔이 있어 여행객의 취향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변지역에서 트래킹, 승마 낚시도 즐길 수 있으며, 밤하늘의 별자리 관찰 및 원주민의 민속 공연은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첸헤르 방문을 원하는 여행자는 7박8일 일정으로 바양고비, 하라호름, 후스테인누르를 잇는 골든루트를 즐길 수 있다.

    o 하라호름

    - 울란 바토르 서쪽 350km에 위치해 있으며, 지금은 폐허 가 되어 13세기 징기스칸시대 몽골제국의 수도였다는 화려한 발자취는 찾아 볼 수 없다.다만 건축 당시 제1의 사원이었던 에르덴쥬 사원과 초원에 버려져 있는 거복돌을 통해 옛 영광을 떠 올릴 수 있다.
    에르덴쥬사원은 1586년 하라호름의 폐허에서 석재를 조달 건축 되었으며 몽골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 했으나 1930년 스탈린 숙청때 심하게 파손되어 지금은 일부만이 남아 있다. 주변의 리죠트에서 관광객은 아이락(마유주)과 밀크 와인을 맛볼 수 있으며, 올혼강변에서 독수리떼를 바라보면서 즐기는 양고기 바베큐는 최고의 별미이다.

    o 고비사막

    - 전 국토의 23%를 차지하고 있는 고비사막은 남고비사막, 중부고비사막, 그레이트고비국립공원, 바양고비사막, 바양홍고르사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관광객이 주로 방문하는 곳은 남고비사막이다. 울란바토르에서 달랑쟈가드까지 항공편으로 90분이 소요된다. 몽골의 전형적인 사막풍경인 초원과 모래둔덕 및 바위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까이에 독수리계곡이 있으며 세계 최대의 공룡화석 발견지도 관광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관광객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물보호구역인 이곳에서 희귀종 아르갈리양,프로체발스키, 아시아 야생노새, 야생 백트리안낙타, 눈표범, 아이벡스 등을 보고 감동을 받을 것이다. 고비캠프에서는 저녁시간에 현지 민속공연단의 음악연주와 춤을 감상할 수 있다. 리죠트는 매년 5월부터 9월말까지 개방된다.

    o 홉스굴 호수

    - 몽골의 최북단에 위치한 이 호수는 몽골에서 가장 보존상태가 좋은 무공해의 호수이다,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호수 주변에는 엘크, 무스(말코손바닥 사슴), 야생사슴 등이 살고 있으며 수정같은 호수에는 거대한 타이멘(민물연어의 일종)과 각종 어류가 풍부하다. 세계각지로부터 사진작가 및 낚시투어객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여름철에는 유람선도 운항하고 있으며, 호수주변에서 승마를 즐기고 현지 유목민거주지도 방문할 수 있다.
    특히 뮤른공항에서 튓스굴호수까지 이동시 펼쳐지는 풍경은 때묻지 않은 몽골의 아름다운 대자연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곳의 유목민은 양을 키우는 대신 순록을 키운다. 여름에는 산등선을 따라 중앙시베리아까지 올라갔다 내려오는 대장정에 오른다.

    o 바이칼 호수

    - 시베리아(러시아)의 중앙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 담수량의 23%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칼호수는 세계 최대의 청정호이다. 이곳 주민들은 이 호수를 바다라고 부르는데,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가로 지른 길다란 초생달 모양을 갖고 있다. 사람들은 맑은날 가장 좁은 폭의 위치에서 반대쪽을 어렴풋이 볼 수 있을뿐이다. 뿐만 아니라 그 깊이가 1.7km에 달해 깊이 마다 다른 생물군을 이루어 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리고 이곳의 생태학 박물관은 민물 물개를 비롯한 동물군과 다양한 어류군을 전시하고 있으며, 또 바이칼호수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미니쳐등을 관람할 수 있다. 한시간에 달하는 프레젠테이션을 매 3시간마다 행하고 있다. 특히 이 호수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오믈 이라는 생선은 그 풍부한 지방질에서 우러나는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물의 온도는 기온이 30도에 달하는 여름에도 10초를 견디기 힘들 정도로 차갑다. 300여개의 강이 유입되는 반면에 단 한 개의 강, 앙가라가 유일한 유출구이다. 여름에는 관광객을 위한 유람선이 운항되고 있다.

    o 이르쿠츠크

    - 이르쿠츠크는 바이칼호수에서 65km 거리에 있다. 아름다운 앙가라강을 끼고 발달된 이 도시는 1651년에 작은 정착지로 시작작 되었다. 17세기말에 이르러 러시아, 몽골리아, 중국을 잇는 무역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현재 이 도시는 블라디보스톡과 모스크바를 잇는 세계 최장의 트렌스 시베리안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중앙시베리아의 아테네라고 불 리는 이도시는 수많은 학교,박물관, 고전풍의 건물들로 유명하며 제정러시아의 박해를 피해 망명한 디셈브리스트 (12월 혁명주의자)들에 의해 정치,문화, 예술의 꽃을 피웠다. 특히 여름철에는 러시아의 부호들이 지중해성 쾌적한 기후와 고풍스런 중세기풍의 분위기에 이끌려 이 곳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으며, 1997년 이후 몽골을 경유하여 이곳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공지사항

     04/27

     최종걸 교장 사임

     03/17

     컴퓨터 관리자를 찾습니다.

     02/07

     신임교사 비자 발급시 유의사항 - 신임교사들에게

     01/24

     신입 교사 비자 발급 상황

     11/07

     강순주 교감선생님이 한국에 도착하셨습니다.

     10/31

     교사 서류 제출 기한



     자유게시판

     04/15

     안녕하십니까?^^

     이경언

     04/13

     몽골 특별할인 항공권 안내입니다.

     이명기

     04/07

     변한나자매님 샬롬

     이덕자

     04/07

      주님의  은혜와 사랑

     강재상

     03/20

     이선경 입니다...

     이선경

     03/21

     축하합니다(바이르 후르기이여!)

     최종걸

     03/10

     같이 기도할께요..

     원미정

     03/08

     변한나, 김주희 선생님 잘 도착하셨나 ...

     홍순영



    주소 : P.O. BOX. 258 Ulaanbaatar 211051 MONGOLIA
    전화 : 976-9015-7374(
    무선), 976-9191-7942(교장선생님)
    Copyright © 2000 MK School, All Rights Reserved
    총 방문자수 : 9687


    http://www.mkschool.org/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mofat/mk_a014/mk_b091/smk_c201/1181244_22062.jsp
     
     
     
     제목   "몽골"
     
    게시일   2005-01-13 
     

    몽골 생활안내
     
     - 목 차 -


    Ⅰ. 몽골 개관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비자)
        2. 식품
        3. 건강진단
        4. 기후 및 의복
        5. 이사화물
        6. 각종 증명서 관계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임차
        2. 식품
        3. 교육
        4. 자동차
        5. 이사화물
        6. 공항
        7. 쇼핑
        8. 식당
        9. 호텔
       10. 관광
       11. 종교활동
       12. 언론매체
       13. 치안상태
       14. 한국대사관
       15. 재외동포 현황
       16. 우리기관 및 상사 현황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2. Tip 제도
        3. 미용 및 이발
        4. 공휴일
        5. 인터넷 사용환경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9. 전력사용 현황
       10. 기타 참고사항
     

     


     

         Ⅰ. 몽골 개관
     
     


    1. 개요


    국명 : Mongolia('용감함'이라는 뜻)


    위치 : 중앙아시아(북위 43-52도, 동경 88-120도)


    기후 : 대륙성 기후

    - 긴 겨울(10월-4월), 1월 평균기온 : 영하 30도(울란바타르)

    - 짧은 여름(6월-8월), 7월 평균기온 : 영상 18도(울란바타르)

    - 강우량 : 연평균 254 mm(울란바타르)

    - 햇빛이 강하며 건조함.


    면적 : 1,567,000㎢(한반도의 약 7.5배, 중국의 약 1/6)

    - 동서길이 : 2,394 ㎞

    - 남북길이 : 1,259 ㎞

    - 대중국 국경선 총연장 : 4,676 ㎞

    - 대러시아 국경선 총연장 : 3,486 ㎞

    - 산림 : 국토면적의 약 10%(나머지 90% 는 초원 내지 황무지)

    - 평균 해발고도 : 1,580m(오대산의 정상 높이)


    인 구 : 약 247만명(2002년말 현재)

    - 인구밀도 : 1.52명/㎢


    수 도 : 울란바타르(Ulaanbaatar)

    - '붉은 영웅' 이라는 뜻

    - 인구 약 81만명

    - 넓이 2,000㎢


    주요민족

    - 할흐 몽골족 : 81%

    - 카자흐족 : 6%

    - 브리야트족 : 2%

    - 총 17개 부족으로 구성


    언어

    - 공식어 : 몽골어(Khalkha Mongol)

    - 문자 : 키릴문자(러시아 문자 차용)

    - 기타 일부 통용어 : 러시아어, 영어, 한국어


    문자해득율 : 86%


    종 교 (국교 : 없음)

    - 라마교(90%이상)

    - 이슬람교(5%, 주로 서부지역)

    - 90년 이후 개신교 및 가톨릭 등 전파


    독립일 : 1921.7.11(중국으로부터 독립)


    국가선포일 : 1924.11.26(몽골인민공화국 선포)
     
    2. 정치.경제.군사


    가. 정치


    (1) 정체 : 민주공화제(92.1.13 신민주헌법발효, 2000.12.14 헌법개정)


    (2) 주요지도자

    대 통 령 : N. Bagabandi


    국회의장 : N. Enkhbayar


    총      리 : Ts. Elbegdorj


    외무장관 : Ts. Munh-Orgil

    (3) 주요정당(국회의원 수 : 총 76명)

    몽골인민혁명당(Mongoli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 37석

    - 1990년 초까지 헌법으로 보장된 일당독재체제 유지

    - 1996.6 총선 패배, 2000.7 총선 압승

    - 2004.6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 확보 실패

    - 당수 : N. Enkhbayar 국회의장
    몽골민주당(Democratic Party) : 25석

    - 2000.7 총선 참패이후 민족민주당과 사회민주당 등 5개 정당이 2001.12 통합
       야당을 발족하였으나, 2004.12.26 몽골민주신사회당의 탈퇴로 연합이 해체되고,
       인민혁명당 원내교섭단체에 가입

    - 당수 : M. Enkhsaikhan
    몽골민주신사회당(MDNSP) : 7석

    - 몽골 재벌기업(Erel)을 모태로 한 중도좌파 정당

    - 당수 : B. Erdenebat
    몽골민의당(Mongolian Citizens ill Party) : 2석

    - 깨끗한 정치와 정치개혁을 주장하는 보수정당

    - 당수 : S. Oyun
    몽골공화당(Mongolian Republican party) : 1석

    - 당수 : B. Jargalsaikhan
    무소속 3명
    1명은 법원에서 재판중
    (4) 우리나라와의 관계

    1990.3.26 수교, 상주공관 설치
    교역(2004년)

    - 대몽골 수출 : 75백만불
      (주요품목 : 무선통신기기, 자동차, 자동차 부품, 기호식품, 소비재 등)

    - 대몽골 수입 : 4.6백만불(주요품목 : 금, 은, 의류, 축산부산물, 가죽 등)

    * 중국, 러시아, 미국에 이어 제4위 교역 상대국
    투자

    - 2004년말 현재 642개 업체, 85.4백만불 투자

    * 중국, 캐나다, 미국, 한국 순

    나. 주요 경제지표


    1인당 GDP : 468(2003년)

    수출 : 8.53억불(2004년)


    수입 : 10억불(2004년)


    GDP 성장률 : 10.6%(2004년)


    물가상승율 : 4.7%


    외환 보유고 : US$ 1.29억


    주요자원 : 석탄(코크스), 동, 형석, 몰리브덴, 금, 철, 아연, 우라늄, 석유(개발중) 등 기타 광물 자원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주한몽골 대사관에서 사증을 발급 받아야 함. 단, 최근 2년간 4회 이상 또는 통산 10회 이상 몽골에 입국한 경우에는 30일간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함.

    주한몽골대사관 연락처

    - 전화 : 02) 794-1350, 1951(대표), 749-7020(영사과)

    - Fax : 02) 794-7605

    몽골체류기간이 30일 이내인 관광객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은 외국인 관리청에 신고를 해야함.

    - 신고처 : Office of Immigration, Naturalization and Foreign Citizens ☏ 350259

    외국인 관리청에 신고한 사람은 출국전 반드시 동 관리청에 가서 말소신고를 해야 하며,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출국지연 및 벌금이 부과될 수도 있음.

     

    2. 식품


    한국투자업체인 Sky Shopping Center 등에서 한국식품(고추장, 된장, 간장, 고춧가루,조미료, 라면, 참치통조림, 고등어통조림, 미역, 김, 당면, 생수 등)을 수입해서 판매하고 있으므로 본인의 특이한 기호식품이 아니면 현지구입 가능

    - 현지에서 구입 가능한 식품류는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치즈, 버터,
       햄, 소시지, 쌀, 감자, 양파, 배추, 무우, 양배추, 당근, 오이, 토마토, 브로커리,
       사과, 귤, 배, 바나나, 키위, 포도 등 다양하며 겨울철에도 구입할 수 있음(야채,
       과일류는 주로 중국에서 수입)

    - 생선은 중국산 냉동 동태, 삼치, 갈치, 오징어, 새우, 게 등이 있음.

    3. 건강진단


    현지의 의료시설은 매우 열악하여 이용할 만한 곳이 없으며 외국인에 대한 의료보험제도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음.

    약국은 있으나 약품 종류가 빈약하므로 필요한 상비약은 준비해 오는 것이 바람직함.

    소아를 위한 예방접종은 현지 병원에서 필요시 일률적으로 접종하고 있으나, 시설과 위생이 미비하므로 약품을 구입하여 현지에 있는 한국인 의사에게 도움을 청해 접종하는 것이 좋음.


    특히 풍진, 수두, B형 간염 등은 필히 접종해야 함.

    현지에는 한국인, 일본인이 운영하는 치과병원이 있고, 독일 등에서 공부한 몽골인 치과의사도 있음.

    94년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울란바타르시가 합작으로 "연세친선병원"을 개원, 진료 활동중

    - 한국인 의사 3명 근무중

    2001.10 한-몽 합작 한방병원이 개원하여 진료활동을 하고 있으며, KOICA에서 파견한 한국인 한의사 2명, 간호사, 방사선기사, 임상병리사 각 1명과 몽골인 의사가 있음,

    4. 기후 및 의복


    겨울이 길고 매우 추우므로 따뜻한 의복류가 많이 필요함.

    - 오리털 파카, 무스탕, 어린이 털모자, 방한화 등 사전 준비 필요(어른의 경우
       모자나 신발 등은 현지에서 구입하는 것이 적합)

    - 현지에서 생산되는 캐시미어제품은 다른 나라보다 가격이 저렴함으로
       현지에서 구입하는 것이 좋음.

    - 남,여 정장류의 맞춤이 가능하고 수입된 기성품이 있으나, 품질과 사이즈
      선택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준비해 오는 것이 바람직함.

    연중 햇볕이 강하므로 선글라스, 썬크림, 모자 준비필요

    겨울철에는 보통 영하 30-40도까지 내려가지만 지역난방시스템 가동으로 실내기온은 따뜻하여 특별히 침구를 준비할 필요는 없지만, 난방이 중단되는 봄, 가을을 대비하여 오리털 이불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철에도 밤 기온이 10도 안팎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침낭을 준비하면 여름철 여행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음.

    5. 이사화물


    전기 및 전자제품

    - 전력 : 220V / 50Hz

    - TV및 비디오 시스템 : PAL 방식

    - 한국전자제품 사용가능여부: 220V용 제품은 사용이 가능 하나 Hz가 맞지않아
       (한국 60Hz) 고장의 주원인이 됨.

    - 겨울철은 매우 춥고 건조하고 공해가 심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해야 하기
       때문에 방마다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가 필요함.

    - 에너지원은 전기가 대부분이므로 가스레인지 등 비 전기 제품은 현재
      제한적으로 사용(가스, 석유 등 구입이 용이하지 않음)

    - TV, 비디오 등 전기·전자제품은 다소 구형모델이나 현지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 가능


    가구, 비품 및 장식품

    - 현지에는 한국, 이태리, 독일, 싱가폴, 중국 등지에서 수입한 가구가 있음.


    자동차

    - 도착전 한국에서 수출용 차량을 주문하거나, 현지의 현대-기아 판매점에서
       주문 구입하는 방법도 있음.

    - 도로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JEEP를 구입하는 것이 좋으나 울란 바타르
       시내에서만 사용한다면 승용차도 무방함.

    - 휘발유는 유연임.


    기타 필요 물품

    - 97년 하반기부터 여러 공산품 및 생필품이 한국, 중국, 유럽 각지에서 수입되고
       있음.

    - 한국투자 쇼핑센타가 2001. 7월에 영업을 시작하여 특수한 부식류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식품은 구입이 가능함.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동서해운, 서중물류 등 회사에서 몽골로 이사화물 발송 업무를 하고 있으며
       연락처는 아래와 같음.

    - 동서해운 : (02) 775-7200, 011-9717-7889

    - 서중물류 : (02) 779-2000, 011-754-9542

    - 화물의 분실사례가 간혹 발생하고 있으므로 화물 발송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함.

     

    6. 각종 증명서


    자동차 면허증 : 한국 운전면허증을 도로경찰서에 제시하여 몽골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을 수 있음(국제면허증 사용가능).

    무사고 운전 증명서(보험가입시 필요여부) : 불필요

    자녀입학 관련 서류

    - International School : 재학증명서, 예방접종증명서, 본학교의 소정서류

    - 울란바타르 M.K School : 수학증명서만 있으면 입학가능

    이사화물 탁송관련 서류 : B/L과 보험증권 등만 있으면 되고 운송회사에서 모두
                                         처리해 줌.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최근들어 임대주택이 많이 신축되고 있으며, 외국인도 APT를 구입할 수 있음.

    월세의 경우 US$ 400-2,500 정도이며, 구입할 경우 US$ 30,000- 200,000 정도로 다양함.

    2. 식품


    'II 도착전 준비사항' 2번 참조

    3. 교육


    가. 학교


    우리나라의 초,중,고에 해당하는 10학년제도
    수업료는 무료
    한국학생이 다니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음.

    나. 울란바타르 M.K School


    한국인선교사협회가 운영(98.9개교)
    한국어로 한국초등학교과정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진행 하며, 영어교육을 병행함.
    유치원 개설 운영
    수업료(유치원 : US$ 100, 초등학교 : US$ 180)
    홈페이지: http://www.mkschool.org

    다. International School


    92.9 개교
    Pre-school, kindergarten, 초등학교(1-5학년), 중등학교(6-8학년), 고등학교(9-11학년)까지 있음.
    매년 9월에 학기 시작
    영어로 수업 진행
    수업료는 1인당 연간 US$ 9,000 - US$ 11,000
    입학절차 : 학교에서 배부하는 소정의 양식에 필요사항 기록하여 제출
    E-mail : inschool@magicnet.mn

    라. 대학교 교육


    학제 : 4년제
    입학요건 : 각 대학교에서 입학시험을 실시, 학생들을 모집

    (학비 연간 US$ 400 - 500)

    4. 자동차


    도착전 한국에서 수출용 차량을 주문하거나, 현지의 현대-기아 판매점에서 주문, 구입하는 방법도 있음.

    자동차 보험 : 보험회사가 있으며 본인이 가입

    유류 구입방법 : 주유소에서 현금으로 직접 구입

    운전시 유의사항

    - 도로사정이 매우 좋지 않으며 굴곡과 구덩이 등 패인 곳이 많아 운전시 주의
       요함. 특히 가로등 시설이 미비하므로 야간 운전시 주의 필요

    - 보행자의 무단 횡단이 많아 주의 요함.

    - 신호등 체계는 우리나라와 상이한 점이 많음.

    한국운전면허증을 도로경찰서에 제출, 몽골운전면허증으로 교환 가능

    5. 이사화물


    화물발송 회사에서 일괄 처리해줌.

    6. 공항


    공항위치 및 시내와의 거리 : 울란바타르시내에서 약 20Km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자동차로 30여분 소요

    공항규모가 매우 작으며 운항 항공기가 1일 1-2편에 불과함.

    7. 쇼핑


    백화점 및 기타 상점(가구, 전자제품 전문점 등) : 한국형 쇼핑센타 1개가 있으며 전자제품 구입시에는 모델은 다소 구형 이나 가격이 저렴하여 이용할 만함.

    - 전자제품의 경우 한국에서 구입하는 것보다는 가격이 훨씬 저렴함.

    개점시간 : 10:00-19:00

    8. 식당


    현지식당은 양고기를 위주로 한 육류를 몽골방식으로 요리 하므로 한국인 입맛에 맞지않는 경우가 있음.

    호텔 등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식당들이 다수 생겼으나 기본적으로 육류 중심의 몽골식 서양 요리임.

    호텔 등 외국인 대상 식당은 1인당 약 US$ 10-20 정도의 수준임.

    한국식당 35개 (부페, 한식, 분식 등 다양)

    중국식당 120개, 일본식당 3개

    9. 호텔


    몽골의 호텔시설은 타국의 동 등급 호텔과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미흡한 편이나 요금은 비싼 편임.

    호텔명, 숙박료, 전화번호

    - 징기스칸호텔 : US$ 60-130, 전화 313380

    - 울란바타르호텔 : US$ 60-120, 전화 320620

    - 바양골호텔 : US$ 60-120, 전화 328632, 326781

    - 에델바이스호텔 : US$ 50-120, 전화 312187

    - 콘티넨탈호텔 : US$ 50-120, 전화 323829

    - 팔래스호텔 : US$ 70-110, 전화 343565

    10. 관광


    가. 시내 관광지


    자연사박물관 : 공룡화석, 각종 동식물 등 전시
    역사박물관 : 몽골민속의 생활양식, 문화, 역사를 중심으로 전시
    복드한박물관 : 몽골 마지막 왕의 왕궁 박물관
    사냥박물관 : 몽골 야생동물 등 전시
    간단사원 : 몽골 라마불교 사원
    수흐바타르 광장 : 울란바타르시 중앙에 위치


    이태준선생 기념공원 : 1914년 몽골에 입국하여 '동의의국' 이라는 병원을 설립, 몽골인의 '화류병'치료와 대한의 독립운동을 하신 분으로서 재몽골 한인회는 2001년 몽골의 성산 보그드산 앞에 이태준선생 기념공원을 설립함
    나. 지방관광지


    만치르 : 몽골 라마불교 사원 및 집단불교 촌락 약 60Km, 자동차로 약 1시간 소요
    하라호름 : 몽골의 옛 수도(약 300Km, 자동차로 6시간 소요)
    테렐지 : 울란바타르 근교 자연 휴양 관광지(약 70Km, 자동차로 약 1시간 소요)
    고비사막 : 고비사막(약 700Km, 비행기로 약1시간 40분, 자동차로 18시간 소요)
    홉스골호수 : 몽골북서부에 있는 청정 호수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약 700Km, 비행기로 약 1시간 40분 소요, 자동차로 24시간 소요)

    다. 관광시 유의사항


    외국 관광객을 상대로한 소매치기가 많으므로 백화점, 노천시장 등에 갈 경우
    특히 조심해야 함.


    박물관 등에서는 사진촬영을 금하고 있으나 유료촬영은 가능함.
    지방여행시에는 긴급 의료지원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상비약을 반드시 준비
    하여야 함.
    기후의 변화가 심하므로 여름철 여행시에도 따듯한 옷과 선글라스, 선크림, 모자 등 준비 필요
    겨울철에는 혹심한 추위와 자동차 고장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으며 인적도 드물어 매우 위험하므로 겨울철 지방여행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바람직함.
    몽골음식은 양고기를 중심으로 한 육류이므로 채소류를 많이 섭취하는 한국인은 별도의 한국음식을 준비하지 않으면 큰 곤란을 겪을 수 있음.
     
    사냥 및 낚시는 수렵협회 및 해당 지역당국의 사전 허가 필요함
    (무허가로 사냥시 벌금부과).
    국립공원 등 제한구역 출입, 버섯채취, 모닥불 사용 등도 지역당국의 사전허가
    필요함.

    라. 반출금지 물품(적발시 물품압수 및 벌금부과)


    각종 동물성 생산품 : 녹용, 웅담, 사향, 모피, 가죽, 가공하지 않은 육류 등
    문화재류(허가된 상점에서 증명서와 함께 구입한 경우는 제외)
    식물, 광물류 : 종자, 묘목, 보석류, 수석 등
    기타 서적류, 영화필름, 비디오필름 등도 규정상 금지 품목이므로 주의 필요

    11. 종교활동


    한인교회, 카톨릭교회 및 불교사원이 각각 1개소 있음.

    12. 언론매체

    가. TV


    몽골국영 TV, 울란바타르 TV, TV5, TV9, 25 Chanel, 기타 유선 TV 방송
    CableTV : 아리랑, YTN, CNN fn, BBC, NHK, Star Sports, ESPN 등 시청가능

    나. 라디오


    몽골 중앙라디오 : FM 106.6
    기타 뉴스, 음악방송 : 100.5, 100.9, 101.6(울란바타르 라디오),

    102.5, 104.0, 104.5, 105.0, 105.5, 106.0, 107.0, 107.5 등 FM 방송채널들이 있음.

    다. 신문


    어드린 소닌 : 일간지, 주6회(총3만부 발행)
    조니메데 : 일간지, 주6회
    어너드르 : 일간지, 주6회
    몽골링 메데 : 일간지, 주6회
    UB POST : 영자 주간지
    MONGOL MESSENGER : 영자 주간지, 약 3천부 발행
    MONTSAME : 몽골국영통신 뉴스
    MONGOLIA THIS WEEK : 영자신문

    13. 치안상태


    백화점, 시장 등에서 핸드백, 지갑 등의 날치기 및 소매치기 사례가 많으니 각별한 주의를 요함.

    몽골은 인구밀도가 낮아 낮에도 인적이 드문 곳이 많기 때문에 외국인이 이러한 곳을 지나치게 되면 노상강도에게 봉변을 당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하며, 특히 야간에 단독 외출을 삼가는 것이 바람직함.

    유흥업소에서 외국인들이 바가지를 쓰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시비 발생시 경찰이 출동해도 외국인에게 불리한 판단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음.

    14. 한국대사관


    가. 주소 및 연락처


    P.O.Box 1039, No. 10, Olympic St. Sukhbaatar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TEL : (976-11)32-1548, FAX : (976-11)31-1157

    E-mail : kormg@mogat.go.kr

    홈페이지 : www.mofat.go.kr/mongolia/

    나. 근무시간


    월-금 09:00-18:00(12:30-14:00 점심시간)

    15. 재외동포현황 : 약 1,300여명(가족 포함)


    유학생 : 약 20여명

    회사원 및 상사주재원 : 약 6,60여명

    공관원 및 봉사단원 : 약 50여명

    교육 및 의료인 : 약 120여명

    선교사 : 약 450여명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가. 우리기관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연락처 : (976-11) 311774

    나. 우리업체 현황


    현지법인(400여개업체) : 단독 또는 합작투자법인 형태로 몽골해외투자청에
                                         등록한 업체
    국내기업지사 : 한국통신, KT&G, 삼성물산, 대한항공, 대한전선, SK 텔레콤,
                           투마트 등

    다. 대기업 현황


    한국통신 : 몽골통신에 40% 지분으로 경영권 참여중
    KT&G : 몽골인과 합작으로 법인을 설립, 현지에서 담배 생산, 판매
    삼성물산 : 에르데넷 동광으로부터의 동정광(copper concentrate) 구매, 판매
    대한항공 : 서울-울란바타르간 직항노선 운영(주2회)
    대한전선 및 SK텔레콤 : 몽골 제2 휴대용 전화사업자로 선정되어 '99.7.10 부터
    사업개시
    기타 현대,기아자동차 지정 Dealer 및 정비공장, 연세대 의대와 울란바타르시
    합작 '연세친선병원' 등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가. 교통


    버스, 택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버스요금은 약 20센트, 택시요금은 30센트
    (km당) 정도임.
    몽골내 지방여행시 시외버스, 기차, 비행기편을 이용할 수 있음.


    * 인천-울란바타르간 운항하는 항공편 현황(계절에 따라 변경되며, 하기 사항은  동절기 운항현황임)

    - 대한항공 : 겨울철에는 매주 월,목,토 운항하며 여름철에는 주 4-6회 증편 

    - 몽골항공 : 겨울철에는 매주 월,수,금 운항하며 여름철에는 주 4-6회 증편

    나. 통신 및 전화제도


    국제전화 가능
    몽골에서 한국으로 전화시

    - 일반전화로 연결시

    -001(또는 002-저렴함)-82-도시코드(0번제외)-전화번호

    -전화요금 약 US$ 1/분당

    - 핸드폰으로 연결시

    -001(또는 002-저렴함)-82-핸드폰번호(0번 제외)
    한국에서 몽골 울란바타르로 전화시

    - 일반전화로 연결시

    -001-976-11-전화번호

    - 핸드폰으로 연결시

    -001-976-핸드폰번호
    할인제도 : 22:00-06:00, 공휴일 등 30% 할인
    몽골에서 외국으로 전화를 걸때 001(또는 002)+국가코드+지역(도시)코드+
    전화번호
    외국에서 몽골 울란바타르에 전화 걸때 : +976-11-전화번호

    - 몽골국가코드 : 976

    - 울란바타르시 지역코드 : 11
    인터넷 사용 가능

    - DSL 또는 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다. 우편제도


    가정까지 배달제도가 없으며 우체국 P.O.Box 까지만 배달됨.
    보통우편의 경우 서울 - 울란바타르간 약 10-14일 소요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영어, 몽골어를 배우고자 할 경우 외국인을 위한 어학원이 있기 때문에 수학이
    가능함.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아래 해당 부서에 신고하고,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에도 신고하여 협조를 받으면 됨.

    - 경찰서 : ☏ 102

    - 소방서 : ☏ 101

    - 앰블런스 : ☏ 103

    - 연세친선병원 : ☏ (976-11) 313178, 310945

    대사관

    - 주소 : P.O.Box 1039, NO. 10 Olympic Street, Sukhbaatar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 전화 : (976-11) 321548
                (976) 99114225(신상균 영사 - 사건, 사고업무 담당),
                (976) 91119711(문근명 영사 - 여권, 비자업무 담당)

    재몽골한인회

    - (976) 91117907, 99114228

    한인상공인회

    - (976-) 99114423

    대한항공

    - (976-11) 326643, (976)99117500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US$ 1 = 1,184 Tg(투그릭)(2005.4월 현재)

    은행, 호텔및 공식 환전소에서 환전 가능

    2. Tip 제도


    호텔 및 식당 종업원에게는 US$ 1 ~ 2 정도면 무난


    3. 미용 및 이발


    일반 이,미용실이 있으며, 한국인이 운영하는 곳도 다수 있음.

    이발은 US$ 5-10정도이며, 미용은 US$ 20-30정도임.

    4. 몽골 공휴일


    신정 : 1.1

    차강사르(우리나라의 설) : 음력 1.1-2
    국제 여성의 날 : 3. 8

    어린이날 : 6.1

    국경일(나담 축제) : 7.11-13

    제헌절 : 11.26

    5. 인터넷 사용환경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가능하며,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 월 US$ 50
    정도면 됨.

    6. 한국과의 시차


    한국보다 1시간 늦음

    - 하절기(3월말-9월말)에는 섬머타임 실시로 한국과 동일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구독이 불가능 하나 Internet과 YTN, 아리랑 등을 통해 한국소식을 접할 수 있음.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관공서 : 09:00 - 18:00

    박물관 : 10:00 - 16:00

    백화점, 상점 : 10:00 - 19:00

    9. 전력사용 현황


    220V / 50Hz

    10. 기타 참고사항(종교, 풍속, 법규, 관습관련 유의사항)


    정식국명은 몽골이며, 영어로는 몽골리아(Mongolia)임.
    우리가 알고 있는 중국식 표기 몽고(蒙古-몽매한 야만인)는 거부감을 일으키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7.11-13간 '나담'(축제)행사가 개최되며 씨름, 활쏘기, 말경기를 함.

    한국과 마찬가지로 몽골에서도 '차강사르'(음력설)를 지냄.
    몽골사람은 도살할 가축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때문에 사람을 손가락으로 지목하면 큰 실례가 되므로 반드시 손바닥을 위로 펴서 가리켜야 함.

    몽골에서 식탁을 두드리는 것은 생사를 결정하는 싸움을 신청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심해야 함.

    어린애들이 귀엽다고 엉덩이 또는 어깨를 두드리는 것은 상대방을 무시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함.

    몽골 국민은 대체적으로 외국인에게 호의적이기는 하나 개방이후 수도권에서 외국인을 많이 접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중 일부는 외국인들에게 여러가지 수법을 동원 사기행각을 벌이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요함.

    종교는 불교(라마교)가 일반적이나 중동 회교 국가처럼 특별히 종교 관습 또는 종교법에 의해 외국인의 일상생활 및 행동을 통제하는 경우는 없음.

    노천 야외시장 "자흐"에서 몽골인들의 상거래 상황을 배경 으로 사진을 촬영할 경우 가끔 돌을 던지는 경우도 있고, 일부 젊은이들이 시비를 걸거나 돈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함.

    출입국시 세관신고서에 외환 신고를 정확하게 해야 하며 출국시 신고액 이상의 외환을 소지했을 경우 압수당할 수도 있음.

    아국인 여행객중 녹용, 웅담, 사향, 호랑이나 곰 가죽, 공룡알 등을 구입하여 반출하려다 공항 세관에서 적발되어 압수당 하는 경우가 있음.

    골동품의 경우 ART SHOP 등에서 구입하고 관계 기관에서 반출 허가서를 받아야 공항 세관 통과 가능

    화물로 발송한 짐표(좌석표 배부시 여행사 직원이 비행기표에 부착해 줌)는 몽골에 도착해서 짐을 찾아 공항문을 나설 때 공항직원이 회수하므로 잘 보관해 두어야 함.

    몽골관련 도서 및 사전 지식획득 방법

    * 몽골, 그 광활한 대지를 찾아 떠나가는 여행(몽골스쿨닷컴 출판사업팀)

    * 최서면 "몽골기행" - 삼성출판사

    * "말과 바람의 고향 몽골"

    * 하자노프 "유목사회의 구조"

    * 불라디미르쵸프 "몽골사회제도사" 주채혁 역

    * 바실리얀 "징기스칸" 최호연 역

    * 르네그룻세 "징기스칸" 최호연 역

    * 김종래 "밀레니엄맨 징기스칸", "유목민 이야기", "CEO 징기스칸"

    * 이재운 "징기스칸"

    * 박원길 "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 "유라시아 대륙에 피어났던 야망의 바람"

    * 스기야마 마사아키 "몽골세계제국" 임대희, 김장구, 양영우 역

    * 민속원 "몽골민속현장 답사기"

    * 랴자 노프스키 "몽골의 민속과 법" 서병국 역

    * 장장식 "몽골민속기행"

    * 체렌서드넘 "몽골민족의 기원신화" 이안나 역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몽골어학과 : (041)550-3232

    * 한-몽 교류협회 : (02)711-8688.        끝.


     
     
     
      정보화담당관실  2100-7155  infotech@mofat.go.kr 
      
     대륙을 선택하세요 아시아.태평양 아메리카 유럽 중동/아프리카  재외공관을 선택하세요
     
       선택하세요 ASEM ASEAN APEC FTA EU UN WTO OECD FEALAC 기타기구정보
       실국별 홈페이지 통상교섭본부 외교정책실 아시아태평양국 북미국 중남미국 구주국 아중동국 조약국 문화외교국 재외동포영사국 다자통상국 지역통상국 국제경제국 자유무역협정국   관련사이트 재외공관 외교안보연구원 한국외교협회 청소년마당 장애인사이트 이메일서비스 홈페이지이용안내  
     
     
     
     이용안내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저작권정책 | 홈페이지 개선 접수 | 이메일주소수집거부 | 뷰어프로그램
    [110-787] 서울시 종로구 도렴동 95-1 TEL : 02)2100-2114, FAX : 02)2100-7999  web@mofat.go.kr
    Copyright ⓒ 2005 MOFAT. All rights Reserve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