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응급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응급보건교육센타(제주한라대학자료) (0) | 2007.10.16 |
---|---|
의료 / 건강 정보 자료모음 (0) | 2007.10.16 |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0) | 2007.10.15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0) | 2007.10.15 |
해양응급보건교육센타(제주한라대학자료) (0) | 2007.10.16 |
---|---|
의료 / 건강 정보 자료모음 (0) | 2007.10.16 |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0) | 2007.10.15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0) | 2007.10.15 |
의료 / 건강 정보 자료모음 (0) | 2007.10.16 |
---|---|
응급처치법~이럴땐 이렇게 (서초소방서) (0) | 2007.10.16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0) | 2007.10.15 |
알기쉬운 응급처치법(메디시티 종합모음) (0) | 2007.10.15 |
의식확인
| |
기도개방
| |
호흡확인
| |
인공호흡
| |
인공호흡을 2회 실시한 후 맥박을 확인한다. (성인은 경동맥, 유아는 상완동맥)
| |
흉부압박 위치 찾기
| |
흉부압박 15회 실시
| |
어린이의 경우
|
정확한 자세 | 잘못된 자세 | 잘못된 자세 |
혈액순환 확인과 심폐소생술의 중지 |
1. 혈액순환의 확인 혈액순환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경동맥의 맥박확인 시기는 흉부압박과 인공호흡(1사이클)을 한 후부터 4사이클 후 또는 매 5분(인공호흡만 실시할 경우 매3 분) 마다 실시한다. 동공반사의 주기적인 확인 검사도 유용한 방법으로서 동공이 수축하면 환자의 뇌로 산소를 포함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그러나 정상적인 동공반응도 고령의 환자나 약물을 사용한 환자에게서는 달리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주의를 기울인다. |
2. 심폐소생술의 종료 |
2-1)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심폐소생술은 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시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서 소생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곤란한 환자는 물론, 소생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는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다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더라도 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 환자가 사망이 명백한 경우 - 사망이 명백한 외상(목, 신체 등의 분리) - 사후강직 - 시반이 나타나는 경우 - 사생아 * 환자 발생장소에 구조자의 신변에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 만성 또는 말기 질환에 의한 심정지 환자 |
2-2) 심폐소생술의 종료 심폐소생술은 어떠한 경우라도 15초 이상 중지해서는 안 된다. 환자를 계단을 통해 옮기는 등의 불가피한 경우에는 사전에 준비를 한 후 옮기도록 한다. 일단 심폐소생술이 시작된 후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사가 환자의 사망을 선언하기 전까지 계속해야 한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30분이 지나도록 혈액순환이 회복되지 않는 환자는 뇌의 소생을 기대하기 어려운 까닭에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많으나 심정지의 원인, 대기의 온도와 같은 환경상황, 환자의 신체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 환자의 맥박과 호흡이 회복된 경우 *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다른 사람과 교대한 경우 * 의사 또는 응급구조사가 도착하여 환자의 응급처치를 맡은경우 * 구조자가 지쳐서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
◎ 환자와 대화 할 수 있는지(의식이 있는지) 기침을 할 수 있는지 확인 한다. ◎ 구조자는 환자에게 『목에 무엇이 막혔나요?』 라고 묻는다. ◎ 환자는 엄지와 검지를 목에 대고 『숨을 쉴 수 없다는』만국공통의 표시를 나타낸다
| |
◎ 환자의 뒤에 서서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 한 팔로 환자의 허리를 감싼다. ◎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엄지를 엄지를 환자의 배꼽 바로 위와 흉골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싼다. ◎ 감싼 주먹으로 환자의 복부를 후상 방으로 빠르고 강한 압박을 5회 실시 한다. ◎ 환자가 이물질을 토해 낼 때까지 계속한다. ◎ 환자가 호흡이나 기침을 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 실시 한다
| |
◎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임신 밀기. 비만일 경우에는 가슴 밀기를 실시 한다. ◎ 처치자는 환자의 허벅지 위에 걸터 앉되 엉덩이를 든다. ◎ 두 손바닥을 환자의 배꼽과 흉골 끝의 V자부위에 대고 복부를 5회 빠르게 위 쪽으로 밀어 올린다. 처치시 손바닥의 손목 부분을 복부에 밀착 시켜서 밀어 올린다. |
응급처치법~이럴땐 이렇게 (서초소방서) (0) | 2007.10.16 |
---|---|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0) | 2007.10.15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0) | 2007.10.15 |
알기쉬운 응급처치법(메디시티 종합모음) (0) | 2007.10.15 |
생활속의 응급처치법/마산응급의료정보센타 (0) | 2007.10.15 |
생존의 조건-The ABC of Life 산소가 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몸으로 산소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기도가 개방 되어야 한다. - 산소가 폐의 혈류에 녹아 들어가기 위해 호흡이 유지 되어야 한다. - 산소를 뇌와 조직 등의 우리 몸의 모든 부위에 보내기 위하여 혈류순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 |
.조기에 실시되는 심폐소생술(CPR)은 소생율을 높인다 조기에 실시되는 CPR(심폐소생술)은 돌발적으로 발생한 심장정지와 호흡정지 환자에게 소생의 확률을 높이고 심정지에 따른 합병증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일정한 양의 공기를 불어 넣는 인공호흡(구강대구강법)과 흉부에 일정한 속도로 압박을 가하는 흉부압박을 기능적으로 조합해서 실시한다. 즉.심폐소생술은 응급의료체계의 첫번째 순서이며 의료기관에서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혈액을 뇌나 기타 신체조직 등의 중요 기관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원활히 하기위한 중요한 요소 3가지가 있다.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인 Airway(기도확보) Breathing(인공호흡) Circulation(흉부압박)이며 각각의 기술이 신속히 그리고 정확하게 시행되어야 소생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 |
Airway(기도확보) | |
|
Breathing(인공호흡)
|
|
Circulation(흉부압박) |
심폐정지가 일어나면 환자는 수초 사이에 의식을 잃게 되며 뇌와 장기는 서서히 죽어간다. 따라서 심폐정지 환자를 발견하게 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이나 119에 신고하고(Early access) 훈련된 발견자에 의해 빠른 심폐소생술(Early CPR)을 실시하고 숙련된 발견자에 의해 빠른 제세동기(Early defibrillation)를 사용하며 빠른 전문적인 치료(Early advanced care)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http://www.kshi.net/conser01.html
섣부른 판단은 위험을 부른다 | ||||||||||||||||||||||||||||||||||||||||||||||||||||||||||||||||||||||||||
|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0) | 2007.10.15 |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알기쉬운 응급처치법(메디시티 종합모음) (0) | 2007.10.15 |
생활속의 응급처치법/마산응급의료정보센타 (0) | 2007.10.15 |
안정사고예방/벌초할 때 예초기-벌 조심하세요 (0) | 2007.10.15 |
심폐소생술/기도폐쇄 응급처치법 (0) | 2007.10.15 |
---|---|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0) | 2007.10.15 |
생활속의 응급처치법/마산응급의료정보센타 (0) | 2007.10.15 |
안정사고예방/벌초할 때 예초기-벌 조심하세요 (0) | 2007.10.15 |
[스크랩] 우리는 인명을 구하러 갑니다!-소방관 24시... (0) | 200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