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경교유행비

 781년(당 건중2년) 중국 서안에 설립된 비로 중국에서의 경교 역사를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 탁본이 서울의 한국기독교박물관(숭실대학)에 소장되어 있다. 88.8*177.8cm

 

 

돌십자가
경주 불국사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신라시대에 전래된 경교의 흔적을 증명한다고 학자들은 생각한다.

한국기독교박물관소장. 24.5 *24*9cm



오다 쥴리아의 묘
임진왜란 중 일본에 잡혀 간 조선인 포로 중에는 기리사단으로 개종하여 순교한 이들이 상당히 많았다.

왕가의 딸로 고니시에 끌려 갔다가 신앙의 절개를 지킨 오다쥴리아의 묘. 서울 절두산 순교성지 소재.


북경 북천주당
중국 북경에 있는 북천주당은 조선사신들의 북경방문시 꼭 들려보는 구경거리의 하나였다.

바로 이곳을 통해 많은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가 번역 되었다.

 

 척화비
1871년 신미양요때 세웠다가 1882년에 철거된 척화비는 바로 교회의 박해 상징이기도 했다.

 


 1890년대 개화전 제물포항


선교사들의 순회 전도
1891년경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들이 서북지방 순회전도광경이다. 마펫, 게일, 베어드 등의 모습이 보인다

 

 

한국교회사(2)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1. 서양종교 및 문화와의 접촉

한국이 서양문화와 접촉한 시기는 언제이며, 서방 세계에 알려지게 된 시기는 언제인가 하는 문제는 많은 역사가들의 주요한 관심이 되어왔다. 그 첫째 접촉은 중국을 통한 경교와의 접촉 가능성이고, 둘째는 통일신라시대 아랍세계와의 접촉 가능성이며, 셋째는 몽고를 통한 가톨릭과의 접촉 가능성이다.

1) 중국을 통한 경교와의 접촉

중국의 기독교 접촉은 상당히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사도 바울이 소아시아에서 복음을 전하고 있는 동안 도마와 바돌로매가 동방으로 진출하여 도마는 인도에, 바돌로매는 중국에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

역사적 문헌에 의하면 중국이 서방 기독교와 최초로 접촉한 교파는 경교였다. 431년 에베소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를 받은 콘스탄티노플의 감독 네스토리우스(Nestorius) 일파는 선교의 방향을 오늘날의 이라크, 이란, 터키 동남부 등 동방으로 돌려 활동하였으며, 서방교회와는 다른 신학을 정립해가기 시작했다. 페르시아를 거점으로 오랫동안 세력을 확장하던 네스토리우스파는 674년 페르시아가 회교국 아라비아에 의해 멸망당한 후에도 칼리파(Khalifa)의 신임을 얻어 계속 교세를 확장해 나갔으며, 762년에 본거지를 바그다드로 옮겨 계속 발전했다.

네스토리우스주의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당나라 시대였다. 중국에 경교의 전래가 역사적 사실로 확인되기 시작한 것은 1625년‘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발견되면서부터이다.

알로펜(Alopen, 阿羅本)을 단장으로 한 네스토리우스파 선교단이 중국에 도착한 것이 635년, 당(唐) 태종(太宗) 정관(貞觀) 9년이었다. 태종은 재상 방현령(房玄齡)을 내보내 이들을 환영하였고 당의 수도 장안에 머물게 하며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하도록 배려하였다.

이 네스토리우스파에 대한 한자 명칭은 여러 가지다. 그들이 페르시아에서 왔다고 해서 페르시아의 한자 음역인‘파사’를 붙여 파사교(波斯敎)라 칭하기도 했으며, 후에 그 교가 로마에서 전래되었음을 알고 로마를 의미하는 한자‘대진’을 넣어 대진교(大秦敎)라 불렀다. 그러다가‘광명정대한 종교’라는 의미가 담긴‘경교’(景敎)란 칭호가 사용되기 시작하여‘대진
경교’(大秦景敎)란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638년 7월에 경교(景敎)는 태종(太宗)의 조정이 공인하는 종교가 되었다. 태종은 국비로 장안의령방(長安義零坊)에 대진사(大秦寺)를 건립하고 승려 21명을 두게 하였다. 태종은 경교를 공인하게 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이 교는 도덕적으로 숭고하며 심오한 신비성이 풍부하고 평화를 존중하는 종교이므로 나라가 공인하는 종교로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표면적이 이유 외에도‘당의 태종이 경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 배경에는 한(漢) 이래 강력한 통일국가를 이룬 태종이 서쪽으로부터 확산되고 있는 아라비아의 회교국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계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알로펜은 635년부터 641년까지 포교하는 한편, 「예수 메시아경」을 번역하였다. 650년에 즉위한 고종(高宗) 때에는 경교를 진종(眞宗)이라며 전국 각지에 사원을 건설하고 알로펜을 높이어 진국대법주(鎭國大法主)로 삼았다. 이때부터 경교는 국교로 인정받았으며, 845년 무종(武宗) 때의 외래 종교 대박해 사건이 있기까지 약 200여 년 동안 융성하였다.


경교가 한국에 전래 되었을 가능성은 있는가?

경교가 당나라에서 유행하던 635-845년까지 210년 동안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통일제국을 형성했던 시기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당의 군사력의 도움을 받았고, 그 후 통일신라가 친당 정책을 쓰면서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 당의 영향을 깊숙이 받고 있었다. 더구나 일부 학자들은 통일신라시대 해상 무역이 발달해 중국, 일본은 물론 아라비아와 페르시아 지역에까지 무역을 확장하였다고 주장한다. 경교의 한국 전래를 주창하는 이들은 이와 같은 논리, 즉 신라와 당나라간의 정치, 문화, 군사 교류, 신라와 아랍국들 사이의 무역 교류 등을 통해 경교가 한국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1917년 골든 여사는 금강산의 장안사에서 발견한‘경교모조비’와 경주 석굴암의 무인상, 십일서관음상 등의 옷 무늬와 신발과 유리 장식 등을 페르시아의 것으로 보고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1956년에는 불국사에서 석재 십자가와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마리아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김양선은「한국 기독교사 연구」에서 통일 신라 이후 능묘 제도의 특색이 되어 있는 호석(護石)에 부조(浮彫)된 12지상과 능묘 앞에 배치된 페르시아의 무인상 등이 경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교의 한국 전래에 대한 위와 같은 주장은 단지 추측일 뿐 결정적인 역사적 사료는 되지 못하며, 혹 전래가 되었다 할지라도 종교적인 영향을 크게 미친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교회사(3)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1. 서양종교 및 문화와의 접촉

2) 아랍문명을 통한 세계와의 첫 접촉

한국이 최초로 유럽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루브루크가 한국을 소개한 것보다 4세기나 앞선 9세기경이었다. 윌리엄 엘리어트 그리피스(William Elliot Griffis)에 따르면“서양 문헌에 처음으로 한국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 것은 9세기 아랍의 지리학자 이븐 쿠르드지바(Ibn Khurdhibah, 820-912)의 작품, ‘제도로 및 제왕국지’(Book of Roads and Provinces) 에서이다.

당시 아랍은 거대한 민족을 형성하여 아랍과 중국 두 제국이 국경을 맞대고 접촉하고 있었고, 한국은 중국을 통해 아랍 상인 및 문화와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었다. 아랍 제국과의 활발한 교류는 동·서 문명을 잇는 가교가 되었고, 자연히 한국이 이들에 의해 서방 세계에 소개되기 시작한 것이다. 아랍 지리학자, 이븐 쿠르드지바가 한국을 처음으로 소개한 것은 그와 같은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아랍의 지리학자 이븐 쿠르드지바의 작품, ‘제도로 및 제왕국지’에 소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다른 쪽에 놓여 있는 것은 알려지지 않은 나라이다.

그러나 높은 산들이 조밀하게 간도(Kantu, 산동성)를 가로지르고 있다. 이 산들은 신라(Sila)에 걸쳐 놓여 있는데, 신라는 금이 풍부하다. 이 나라를 방문한 회교도들은 이 같은 이점을 경험하고는 여기에 정착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인삼, 녹용, 용설란(aloes), 장뇌(camphor), 못, 안장(saddles), 자기, 공단(satin), 계피(zimmit), 생강(galauga)을 수입했다.

쿠르드지바 이후 아랍세계의 문헌에는 신라가 자주 등장한다.

신라에 대한 소개는 10세기의 아랍 사학자이며 지리학자인 알 마스오디(al-Masoudi, -965)의 세계 역사서‘황금초원과 보석광’에도 나타난다.

“바다를 따라 중국 다음에는 신라국과 그에 속한 도서를 제외하고는 알려졌거나 기술된 왕국이란 없다. 그곳(신라국)에 간 이라크 사람이나 다른 나라 사람은 공기가 맑고 물이 좋고 토지가 비옥하며 또 자원이 풍부하고 보석이 일품이기 때문에 극히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 후 중세 아랍 지리학의 거장인 모로코의 알 이드리시가 그린 세계지도에 신라가 자리한 사실이 나타난다. 그는 전래의 지리 지식을 집대성하여 지은‘천애횡단 갈망자의 산책’(1154년)이란 책 속에 한 장의 세계지도와 70장의 지역세분도를 그려 넣었다. 그 제1지역도 제10세분도에 5개 섬으로 구성된 신라가 명기되어져 있는데, 그 지도의 후미에 신라에서는 금이 흔해서 개의 쇠사슬까지도 금으로 만든다는 기술이 곁들여져 있다. 이 지도는 유럽의 세계지도에 처음으로 한국이 등장한 것으로 알려진 스페인의 벨호 세계지도(1562년 제작)보다 무려 408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 아랍 지도야말로 한국 이름이 적힌 세계지도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3) 루브루크와 몽고를 통한 가톨릭과의 접촉

몽고가 세계 제패의 여세를 몰아 근동 중동의 회교도 국가들을 침공해 세력을 떨치면서“서구의 기독교는 오히려 몽고와의 제협을 바라게 되었고, 또 거기에 대한 선교의 가능성까지 찾아 타진하게 되었다. ”십여 차례 십자군전쟁을 통해 수많은 대가를 치르면서도 눈에 띄는 결과 하나 얻지 못한 상황에서, 그렇게 난공불락의 중동의 회교국들이 징기스칸의 말발굽 아래 힘없이 무너지는 것을 목도하면서 서구의 기독교는 징기스칸을 단지 한 민족의 통치자라는 차원을 넘어 신의 섭리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교황은 한편으로는 고마움의 표시로 다른 한편으로는 차제에 선교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성지 팔레스타인을 점령하여 성지 순례의 자유를 획득해 준 몽고와 징기스칸에게 사절단을 파송하기에 이르렀다.

가톨릭의 이러한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교황의 전권대사로 프란체스코회의 카르피니(Giovanni da Piandi Carpini, 1182-1252)가 선출되어 1246년 7월 22일 몽고의 수도 카라코룸(和林)에 도착하였다. 마침 그때가 쿠유크(Kuyuk)가 정종으로 즉위할 무렵이어서 그 대관식에 참석, 교황의 친서를 전달했고 정종의 우호적인 내용의 친서를 받고 1247년 가을에 유럽으로 귀환하였다.

1253년에는 다른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루브루크(William de Ruburck)가 동료 크레모나(Bartolomeo da Cremona) 와 함께 카라코룸을 방문하였다. 이들은 프랑스 왕 루이 9세(Louis Ⅸ)의 사절들로 징기스칸의 증손 사르탁(Sartach)이 기독교인(네스토리우스파)이란 사실을 소문으로 전해 듣고 그와 협력하여 이집트를 공략할 정치적인 목적에서 파송된 인물들이었다. 카라코룸에 도착하여 사르탁을 만났으나 그가 기독교인이 아님을 알고 실망했
으며 종교적인 토론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채 헌종의 친서를 받아 1254년 돌아오고 말았다. 루브루크는 귀환한 후 몽고에서 체험한 것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몽고인들 사이에 퍼져 있던 네스토리우스파 신앙의 현황과 이때 유럽에서 포로로 잡혀 온 기독교인들의 실태를 소개하였다. 이때 그는 압록강 부근까지 여행하였으며 고려를‘카울레’(Caulej)로 표기하여 우리나라를 최초로 서양에 소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루브루크가 한국을 처음으로 유럽에 소개한 사람은 아니다.
루브루크가 13세기에 한국을 서양에 소개하기 4세기 전 아랍 지리학자, 이븐 쿠르드지바가 신라를 서양에 소개한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사(4)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1. 서양종교 및 문화와의 접촉

4) 임진왜란을 통한 천주교와의 접촉

16세기 후반 유럽 열국이 종교개혁으로 심각한 종교적 갈등을 겪고 있는 동안 성격은 다르지만 한반도는 전에 없는 도전과 위기를 만나고 있었다. 1592년에 발생한 임진왜란이 바로 그것이다.

프로테스탄트의 종교개혁운동에 대한 반작용으로 로마 가톨릭교회는 내적으로는 자체 개혁을 목적하고, 외적으로는 선교를 통해 실추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예수회(Jesuits)라는 선교단체를 세웠다. 예수회는 스페인 출신의 로욜라(Ignatius Loyola, 1491-1556)와 사비에르(Francis Xavier, 1506-1552)에 의해 1534년 프랑스 파리에서 창설되었다. 예수회의 동양선교는 설립자의 한 사람인 사비에르의 직접 참여로 시작되었다.

사비에르는 1541년 포르투갈 국왕의 지원을 받으며 인도 고아(Goa)에 진출했으며, 1549년 8월 15일에 토레스(Come de Torres)신부, 페르난데스(Joas Fernandes) 수사, 안지로와 함께 일본의 가고시마에 도착해 일본 선교의 장을 열었다. 일본에서는 천주교인을‘기리시단’(吉利支丹)으로 불렀다. 1552년 일본을 떠나기 전까지 불과 2년 3개월 만에 사비에르는 1천 5백 명의 개종자를 얻었는데, 후대 이들은 일본 선교의 초석이 되었다. 일본의 예수회 천주교세는 그 후 놀랍게 증가하여 1570년에 약 3만 명, 1579년 10만 명, 1581년 15만 명, 1587년에는 20만 명에 이르렀다.

일본의 예수회 천주교세가 이처럼 급증하게 된 것은 천주교가 포르투갈이나 스페인의 국가적인 지원을 받고 있었으므로 무역에 관심을 갖게 된 일본의 다이묘(大名)들이 천주교를 받아들이게 되어, 교토와 규슈의 명문들이 기리시단으로 개종하게 되었으며, 기리시단 다이묘들의 출현은 그들이 지배하고 있는 주민들의 개종으로 이어져 기리시단의 수가 급증하게 된 것이었다.

그러나 놀라운 교세를 가진 예수회가 수난을 겪기 시작했는데, 1582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세상을 떠난 뒤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정권을 장악하면서부터이다. 포르투갈이라는 강대국의 지원을 받고 있는 예수회 세력의 급속한 신장은 정치적 안정이 구축되지 않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정치적인 위협세력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집권 7년만에 예수회에 대한 금교령을 발표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강력한 통일국가를 지향하는 한편 내적불안 요인들을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로 조선에 대한 침략전쟁을 일으켰으니 그것이 1592년에 시작되어 1598년에 끝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다. 이 전쟁 중에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천주교와 관련을 맺게 된다. 그것은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첫째는 전쟁 중에 서양인 성직자가 최초로 이 땅에 발을 내딛게 된 것이고, 둘째는 전쟁 중에 잡혀 간 많은 한국인 포로 중에 상당수의 천주교 개종자가 나왔으며 그들 가운데는 순교에 이른 사람도 있다.

조선 침략의 선봉장의 한 사람인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는 유명한 기리시단 다이묘 중의 하나였다. 불과 20여일 만에 서울을 함락시켰고 평양까지 진출했던 고니시 부대는 조선 의병들의 저항을 받아 후퇴, 경상도 남단의 웅천(熊川)을 거점으로 삼아 교두보를 확보하고 있었다. 전쟁이 오래 계속되자 고니시는 본국에 있는 예수회 신부들에게 종군 사제를 한 사람 보내달라는 서한을 띄웠다. 휘하 장병들의 사기 진작을 위한 것이었다. 이 요청에 따라 1593년 12월 27일 스페인 출신의 세스페데스(Gregorio de Cespedes) 신부와 일본인 수사 후칸 에이온(Foucan Eion)이 파견되어 1년 가까이 머물면서 은밀하게 천주교 신자 병사들에게 복음을 전하며 세례를 베풀었고 1595년 초에 일본으로 돌아갔다.

1년 동안 세스페데스는 일본군인들을 상대로 선교 활동을 했을 뿐 조선인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의 입국은“조선인에게 전도할 목적으로 방한한 선교사는 아니었지만, 서양 사람으로서 더구나 크리스천이며 전도자인 그가 한반도의 땅을 밟았다는 점에서 역사상 특별히 기록할 만한 가치가”있다 하겠다.

임진왜란 때 일본에 포로로 잡혀 갔던 한국인은 약 5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그 대부분은 일본 가정의 노비가 되거나 노예로 팔려, 멀리는 마카오, 마닐라, 인도 및 이태리에까지 끌려갔다. 1597년 6월에 일본에 상륙했던 프란시스코 카를레티(Francisco Carletti) 수사는 5명의 한국인 노예를 사서 세례를 주고 인도 고아로 데려가 자유인으로 풀어주었다. 그 중의 안토니오 꼬레아(Antonio Corea)는 수사와 함께 프로렌스까지 가서 공부한 후에 로마에서 살았다고 한다. 포로된 한국인 중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자가 7천여 명이나 나왔다. 포로들의 집단 거주지에서는 2천여 명이 세례를 받았다고 하며, 그러는 중에 한문으로 된 교리서가 한글로 번역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뒷날 포로 중의 일부가 귀국하였을 때 그 일부는 한국에 돌아와서도 은밀히 신앙생활을 유지하였던 것 같다. 일본에 체류한 한국 신자들 중에는 권(權) 빈센트같이 신학 교육을 받은 사람도 있었고, 1605-1637년에 걸친 도쿠가와(德川) 막부의 천주교박해 시대에는 여기에 굴하지 않고
희생된 이들도 많았다. 이 중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가 도쿠가와 궁전 안에서 궁녀로 있으면서 끝까지 신앙을 지키다가 고오즈시마란 조그만 섬에 유배당해 그곳에서 절명한 오타 쥴리아(Ota Julia)를 비롯하여 6명의 증거자들이 일본 천주교회사에 기록되고 있으며, 최근 일본인 성인 26인
중 3인이 한국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국교회사(5)

제1장 개신교 선교 이전의 한국의 정황

1. 서양종교 및 문화와의 접촉

5) 한국 땅을 밟았던 외국인 평신도들을 통한 개신교와의 접촉

1595년경, 세스페데스가 일본으로 돌아간 후에도 간헐적이지만 서양인들이 국내에 입국한 일이 있었다. 이 시기 조선에 입국한 서양인들로는 1627년 경주 앞바다에서 표류해 입국한 벨트브레(Jan Janse Weltevree, 朴燕), 1653년 제주도에 표착한 헨드릭 하멜(Hendrick Hamel), 1816년 조선의 서해
안을 탐사하기 위해 군함을 이끌고 입국한 영국 해군대령 머리 맥스웰(Murray Maxwell)과 바실 홀(Basil Hall)을 들 수 있다.

(1) 박연 일행의 한국 표착

박연으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벨트브레(Jan Janse Weltevree)는 화란 리프(Riip) 지방 사람으로 1627년 무역선 우베르케르크(Ouwerkerck)에 올라 일본으로 교역 차 항해하던 중 심한 폭풍우를 만나 표류하다가 일행 세 사람과 함께 경주 앞바다에 표착하였다. 박연은 같은 동향 출신인 디렉 헤리
스베르쓰(Direk Gijsbertz)와 암스텔담 출신 얀 피테르츠(Jean Pieterz)와 함께 물을 구하기 위해 단정(短艇)을 타고 육지에 상륙했다가 그곳 주민에 의해 사로잡혔다.

박연 일행은 경주로 압송되어 동래부사 앞에 끌려가게 되자 일본 나가사키로 보내 달라고 애원하였다. 이에 동래부사는 이들을 나가사키로 보내기 위해 동래의 왜관(倭館)으로 보냈으나 왜관이 저들을 받지 아니하고 되돌려 보내므로 저들은 부산에 4, 5년간 억류되어 있다가 서울로 압송되었다. 서울로 압송된 일행은 일본으로 보내 줄 것을 요청했고, 인조 대왕을 접견하는 자리에서 다시 간청했으나 왕이 이를 거절했다. 저들은 심문을 받고 얼마 후에는 군대(訓練都監)에 편입되어 전투에도 참전했다. 박연은 3인 중에서 그 용모, 지식, 인격, 기술이 출중하여 호겸과 함께 훈련대장 구인후 휘하에서 한·왜군의 영솔자가 되었다. 세 사람이 모두 인조 14년 병자호란에
참전했으나 박연만 살아남고 두 사람은 그 전쟁에서 사망했다. 이 전쟁에서 공을 인정받은 벨트브레는 얼마 후 조선 여인과 결혼이 허락되어 1남 1녀까지 두었다.

그가 과연 개신교도였는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1618년 화란은 개신교 국가로 세계에 명성을 떨치며 세계 개신교를 주도하는 국가 중 하나였기 때문에 박연 역시 독실한 개신교도였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김양선은 정재윤의 한거만록(閑居漫錄) 제2권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벨트브레는 일개 상인이었고 전도자가 아니었으므로 기독교를 전파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았으나 기독신자로서의 행위와 언사를 십분 이행하여 접하는 사람들에게 큰 감화를 주었다. 아무리 신실한 신자라도 환경이 바뀌어지면 신앙에 변화가 오기 쉽다. 더구나 외국에 가서 기독교인이 전혀 없는 곳에서 신앙의 절조를 지킨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데 벨트브레는 일평생 신앙을 지켜서 생면부지의 사람들로 그를 훌륭한 종교인으로 추존케 하였으니 그의 신앙은 실로 놀랄 만하다. 그는 조선에 들어온 최초의 신교 신자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하였다.

정재윤이 한거만록에서 지적한바 박연이“매양 선악화복(善惡禍福)의 이치를 말하고 툭하면 하늘이 갚는다고 말하니 그 말이 도(道) 있는 자의 유(類)하더라.”는 사실은 성해웅의 연경제전집과 탐라기년 제2권에서도 그대로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볼 때 박연을 보는 주변의 인물들은 그가 하늘의 신을 믿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박연은 조선에 정착, 자신처럼 배의 난파로 표착하는 외국인들의 통역을 담당하는 통역관으로 일하면서 자신의 생애를 이국 조선에서 보냈으며, 그의 후손들도 모두 훈련도감에 소속되어 군인일가를 이루었다.

(2) 하멜 일행의 한국 표착

1653년 1월 10일 본국을 떠난 화란 상인 하멜 일행을 실은 네덜란드 무역선 스패로우 호오크(Sparrow Hawk) 호는 자바의 수도 바타비아와 대만을 거쳐 일본을 향하여 가던 중 폭풍을 만나 표류하다가 8월 15일 제주도 남해 앞바다 화순포에 표착하였다. 저들이 육지를 발견하고 안도감을 가지는 순간 거대한 파도가 배를 강타하면서 세 겹의 물결이 배 안으로 들이닥치고 그와 함께 배가 쪼개져 선창에 누워 있던 사람들이 익사당했다. 갑판 위에 있던 몇 사람들은 바다로 뛰어 내렸고 남은 사람은 물결에 휩쓸려 바다로 떠내려갔다. 이렇게 해서 탑승원 64명 중 선장 에흐베르츠(Egbertz)를 포함한 28명이 익사하고 36명이 가까스로 물에서 기어올라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 8월 18일 하멜 일행은 현감 권극중에 의해 생포되었고, 역관을 불러 문정을 하려 했으나 언어가 통하지 않아 뜻을 이루지 못했다. 제주현감은 하멜 일행이 난파된 배에서 마음대로 물건을 건져 낼 수 있도록 자유를 주었으며, 여러 날 동안 파선된 배 속에 남아 있는 물건들을 건져 내게 하였다.
효종실록, 하멜의 표류기, 연경제전집에 의하면 하멜 일행이 건져 낸 물품들은 식료, 의료, 적포도주, 서적, 양기, 천리경, 조총, 망원경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했고, 그 양도 상당했다고 한다.

1653년 8월 21일 하멜 일행은 제주 감영에 압송되어 제주 목사 이원진의 심문을 받았다. 하멜 일행은 자신들이 화란 사람으로 일본으로 가려다 사고를 당했다고 말하고, 자신들을 일본으로 보내 줄 것을 간청했으나 목사는 국왕의 지시에 따르겠다며 정확한 답을 보류했다. 하멜 표류 소식이 조정에 알려져 문정관과 역관 벨트브레가 제주도에 도착한 것은 두 달이 지난 10월 29일이었다. 박연이 화란어로 하멜 일행에게 국적과 여행 목적을 물었고, 서로 같은 화란인인 것을 확인한 하멜 일행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박연에게 자신들을 일본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간청했다. 박연은 외국인이 내지에 들어오면 돌려보내지 않는다는 사실, 일본 역시 바다 선상에서만 외
국인과의 교역이 허용된다는 사실, 더구나 기독교인과는 교역조차 금하고 있어 전에 조선에 들어온 기독교인들을 대마도로 보냈는데 다 죽였다는 사실을 들어 일본으로 간다고 해서 생명을 보장받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하고, 자신과 함께 서울에 올라가 훈련도감에 예속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려 주었다. 하멜 일행은 비록 일본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 여
전했지만, 박연의 조언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1654년 5월 말 서울로 압송된 하멜 일행은 효종을 만나 자신들을 일본으로 보내달라고 간청하였다. 그러나 효종은 입국한 외국인을 도로 국외로 내어보내는 것은 국법에 어긋나므로 보내주지는 못하지만 왕으로서 이들을 관대하게 대우하였다. 또한 당시 상선에 승선한 대부분의 화란 사람들이 총포에 능숙한 이들이어서 전투 훈련관으로 적합하였기 때문에 하멜 일행은 훈련도감에 편입되어 훈련도감 대장 이완 휘하에서 박연의 지도를 받으며 군인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전 세계 해상권을 장악하고 있던 화란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해양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박연을 통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화란의 우수한 과학문명이 조선에 접목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항해술은 모든 과학지식의 집약을 요구하는 분야였기 때문에 이들이
갖고 있는 서양 과학에 대한 기술은 대단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생활에 잘 적응을 한 박연과는 다르게 하멜 일행은 여러 차례 탈출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결국 1657년 전라도 작천병영으로 유배되어 10년 동안 감금생활을 하게 되었다. 10년의 감금생활 동안 하멜 일행은 선관을 만나 행동의 자유가 주어졌을 때에는 조선의 문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산사를 돌면서 수도승과 환담을 나누며 조선 종교와 문화에 대한 많은 식견들을 수집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 있었으며, 이 기록들은 후에 하멜표류기를 기술하는 데 상당히 훌륭한 자료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천병영에 유배되어 살던 10년의 대부분은“악관의 학대와 흉년과 기근이 그들을 한없이 괴롭혔으며”이로 인한 식량부족으로“한 때는 구걸행각에 나선 일도 있었다.”유배생활 7년 만에 33인(탈출 시도로 사망한 2명을 포함하여 3명이 사망한 상태임) 중 11명이 세상을 떠난 것은 이들의 생활이 얼마나 힘들었는가를 단적으로 말해 준다. 흉년과 기근으로 인한 식량 문제가 극에 달하자 그들을 책임 맡은 감사는 1663년 3월 이들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 일행을 여수 좌수영에 12인, 순천에 5인, 그리고 남원에 5인 등 세 곳으로 분산 배치시켰다.

오랫동안 조선을 떠날 기회를 엿보고 있던 하멜 일행은 전라도 여수의 바닷가로 보내지자 탈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했다. 1664년부터 3년간 나무를 해다 파는 등 온갖 노력을 다해 이들은 작은 배 한 척을 구입하여 탈출 준비를 하였으며, 1666년 9월 4일 여수 좌수영에 유배되어 있는 12명 중 하멜을 비롯한 5명과 다른 곳에서 방문 온 2명, 그리고 순천에서 불러온 조선인 뱃사공 등 도합 8명은 한밤을 이용해 여수를 떠나 일본 이쓰시마(五島)에 도착하였으며, 그곳 관리를 만나 자신들이 화란인이라는 사실을 알리고, 나가사기(長崎) 화란상관으로 보내 줄 것을 간청하였다. 그로부터 2년 후인 1668년 7월 20일, 일행은 화란 상관의 주선으로 고국 암스텔
담에 도착했다. 또한 조선에 남아 있던 생존자 8명도 일본 대마도주의 요청에 따라 1668년 4월 12일 대마도로 보내어졌고, 고국 화란으로 귀환하게 되었다.

하멜은 자신의 표류기에서 살아 돌아올 수 있게 인도하신 하나님께 감사하였다.

“약간의 풍랑을 만난 후 이들 배가 1668년 7월 20일 암스텔담에 도착했다. 살아 돌아온 우리는 13년 28일에 걸친 긴 포로생활에서 우리를 구원해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였으며, 아울러 뒤에 떨어져 있는 우리의 불쌍한 동료들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크신 자비를 베풀어 주실 것을 간절히 간구했다.”

하멜은 그의 표류기에서 고난과 역경 가운데서도 시종일관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잃지 않고 지내 왔음을 밝히고 있다. 고국으로 돌아간 하멜은 자신의 14년간의 조선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표류기를 출간했다. 이 책에서 하멜은 그 동안 경험한 조선의 지리, 풍토, 산물 등 조선의 물정과 조선인의 기
질, 풍습, 군사, 법속, 정치, 종교, 사회관습에 이르기까지 조선에 관한 모든 지식을 소상히 기록했다. 하멜의 표류기는 유럽에서 일약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책은 얼마 후 영어, 프랑스어 등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 유포되면서 유럽인들에게 조선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시키는 기회가 되었다. 이 책은 은둔의 나라 조선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출판 동기와는 달리 표류기는 조선선교와 동양선교에 관심을 가진 많은 선교 후보생들에게 유용한 조선입문서가 되었으며, 그리피스는 하멜의 표류기를 담아‘한국, 국내외’(Corea, Without and Within)라는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1832년의 귀츨라프의 서해안 항해 및 선교와 1865년의 토마스 목사의 조선선교는 모두 하멜의 표류기에 힘입은 바컸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볼 때 박연과 하멜은 개신교도였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조선과 접촉이 있었던 박연과 하멜이 개신교도였다는 점에서 조선과 개신교와의 접촉 역사는 청을 통한 천주교와의 접촉의 역사보다 앞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http://blog.daum.net/smmission

 

 

 한국교회사(그리스도인의 역사관)<출처: 경향교회보 한국교회사>

 

한국교회사를 연재하는 목적은 선교 121년을 맞이한 한국교회의 발자취를 살펴봄으로써 과거에 한국교회가 수난 가운데서도 어떻게 그 신앙을 지키며 성장하였는가를 살피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모색해 보며, 한국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해 봄에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그리스도인의 역사관

그리스도인의 역사관은 어떠해야 하는가?

역사(History)란, 인류사회의 과거에 있어서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 그 기록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보통 역사가 성립되는 전제들로서는 ①시간(언제) ②공간(어디서) ③사람(누가) ④사건(무엇) ⑤기록(의미와 교훈) ⑥목적(왜 일어났는가?) ⑦교훈(어떻게 되었는가?) 등이 있다.

한 마디로 말해 역사란 시간과 공간 세계 속에 일어났던 기록적 가치를 가진 사건들의 모음임과 동시에 그 사건들의 의미와 연관(사건과 사건 간의, 어제와 오늘 간의, 과거의 인물과 현재의 나 사이의)을 탐구하는 인간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역사관이다. 이 역사의 중심은 언제나 인간이다. 과거에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가? 그 역사는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또한 과거 역사는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러나 그리스도인의 역사관은 이와 다르다.

기독교 역사란, ①여러 시대 여러 모양으로 말씀하시던 하나님이 이 모든 날 마지막에(헤롯 왕 때) ②유대 베들레헴에서 ③예수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④오시고 사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후(구원) ⑤성령을 보내어 그의 제자들을 통하여 전개해 나가는 일을 ⑥기록하여(성문화 계시=성경) ⑦오늘에 교회가 받은 선교적 사명으로 삼아 구원성취를 이루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역사관과 기독교적 역사관은 모든 관점을 달리할 수밖에 없다.

1) 우선 역사를 보는 관점이 다르다.

그리스도인이 보는 역사는 인류사도 아니요, 문화사도 아니요, 사상사도 아니요, 전쟁사도 아니며, 세상 나라의 흥망성쇠사도 아니다.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세계사의 중심은 구속사이다.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 구원을 위하여 어떻게 역사를 섭리하셨는가?’를 보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역사관이다.

2) 역사의 중심인물이 다르다.

일반 역사의 중심인물은 영웅과 호걸과 재사이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과 그가 행한 일들을 중심으로 기록되는 것이 일반 역사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속 역사의 중심엔 언제나 예수 그리스도가 계신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구속사의 중심에 우뚝 서셔서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나가시기 때문이다.

3) 또한 역사의 전개 기관이 다르다.

일반 역사는 국가라고 하는 세상 기관을 통해 역사가 전개된다고 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는 그의 몸 된 교회 운동을 통하여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의 역사는 곧 교회사라고 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세상속에서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복음을 전파하였으며, 어떻게 성장하고 선교하였는가가 역사 기록의 중요한 내용이되는 것이다.

4) 또한 역사의 전개 방법이 다르다.

일반 역사는 힘(칼의 권세)을 바탕으로 그 역사를 전개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운동은 케르그마 곧 전도(설교, 말씀의 검) 운동을 통하여 전개된다.

위와 같은 역사관은 역사에 대한 변할 수 없는 우리의 관점이다.


세계사의 중심인 하나님의 구속 역사

1)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고 하는 선언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세계가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말씀은 시간과 공간과 모든 물질이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의미이고,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존재하고 유지된다는 의미이며, 하나님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이 세상 모든 만물을 만드신 창조주가 하나님이시요, 그것을 다스리시는 통치주도 하나님이시요, 그 최종적 소유주도 하나님이시라는 말씀이다.

이를 한 마디로 성경은「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 11:36)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다.

2) 역사 운행의 목적은 구속사이다.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거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마 24:14)고 하였다.

이는 역사 존재의 목적이 이 천국 복음이 온 세상에 전파되는 것이라는 말씀이다. 다시 말하면, 이 천국 복음이 온 세상에 전파되면 이 세상 역사는 그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인류 역사를 당신의 택한 백성에게 이 천국 복음을 전파하여 구원해 내는 역사로 진행하신다는 말씀이다.

하나님은 아담이 범죄하여 죽음이라고 하는 영원한 형벌 가운데 놓여있을 때에 저에게 가죽옷을 입혀주셔서 저를 구원하셨다. 노아에게 방주를 예비케 하셔서 저를 구원하시고, 아브라함을 선택하사 성민(선민)을 삼으시고, 모세를 통하여 그 백성을 출애굽 시키심으로 저들을 구원하셨다. 다윗을 통하여 하나님이 친히 그 백성과 나라를 통치하시고, 저들이 범죄하였을 때 바벨론과 앗수르에 포로로 보내셨다가 당신이 정하신 때에 저들을 귀환케 하심으로 구원하셨다.

때가 차매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셔서 당신께서 택하신 백성들을 구원하시고, 성령을 보내셔서 교회 운동을 전개하시므로 이 세상에 살아가고 있는 당신의 백성들을 구원해내셨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이 세상 역사를 존재케 하는 근본 목적이요, 의의였던 것이다.

구속사야말로 모든 역사의 중심이요, 의의요, 열쇠가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택하신 백성의 구원이 완성되는 날 이 역사는 종말을 고하게 되는 것이다.

3) 역사의 중심인물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일반 역사의 중심인물이 영웅과 호걸과 재사라고 하면, 하나님의 구속 역사의 중심엔 언제나 예수 그리스도가 계신다.

그래서 애굽의 바로나 바벨론의 느브갓네살이나 페르시아의 고레스나 헬라의 알렉산더나 로마의 콘스탄티누스가 한 시대를 풍미하는 듯 하였으나 결코 영구히 역사의 중심인물이 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저들은 모두 다 이 세상에 잠시 왔다가 사라져 버리고 마는 유한한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역사의 시작부터 마치는 그 날까지 결코 사라지지 아니하고 존재하시는 분이시다. 구약의 모든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예언하고 있으며, 신약의 복음서들은 역사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사셨는가를 증거하고 있으며, 서신서와 요한계시록은 예수 그리스도께
서 이 세상의 끝 날에 다시 오실 것을 예언하고 있다. 그러니 예수 그리스도는 이 세상 역사 곧 구속사의 중심에 언제나 영원토록 우뚝 서셔서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나가시는 분이시다.

그러니 그리스도가 세계사의 구심점이 되고 분기점이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역사의 분기점은 그리스도의 탄생과 함께 주전(B.C.)과 주후(A.D.)로 나뉘어졌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신 이후로 모든 개인과 가정과 나라들마다 주전에서 주후로 변화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주를 만난 사람마다 옛 사람에서 새 사람으로의 새 시대가
열리고, 새 생활이 시작되는 것이다.

4) 역사의 전개 기관은 교회이다.

일반 역사는 국가라고 하는 세상 기관을 통해 역사가 전개된다고 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는 그의 몸 된 교회 운동을 통하여 전개된다. 그러므로 참된 교회운동이야말로 구속사 성취의 필연적인 기관이다.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구속이 역사의 중심이라는 사실은 곧 그의 몸 된 교회가 역사의 중심이라는 사실과 직결된다.

5) 역사의 전개 방법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일반 역사는 힘(칼의 권세)을 바탕으로 그 역사를 전개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운동은 케르그마 곧 전도(설교, 말씀의 검) 운동을 통하여 전개된다.

하나님은 절대주권자이시다. 하나님은 세계와 그 가운데 모든 역사를 당신의 뜻대로 후회함이 없이 진행해 가신다. 죄로 타락한 인류를 구원하심이 하나님의 절대주권 사역의 중심 계획이시다. 그러므로 세계와 세계 역사는 언제, 어디서, 어떤 경우든지 구속사 성취를 위한 수단으로 기쁘게 동원된다. 선한 것이든, 악한 것이든 상관없이 거룩하신 주권자의 목적 성취를 위하여 동원되는데, 그 가운데 하나님은 특별히 전도 운동을 통하여 당신의 구속사를 전개하기를 기뻐하신다. 그러므로 복음 전파는 역사가 존재하는 한 계속되어져야 한다. 아니 모든 민족에게 복음이 전파되어지기 전까지 인류 역사는 복음때문에 존재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 역사는 결국 택자 구원 완성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이 세상 역사의 주인이시다.

역사의 주인이신 그 하나님이 이 세상 역사를 구속사로 진행하신다.

구속사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 운동을 통하여 구속 운동을 전개하신다.

교회는 복음 전파를 통하여 구속 운동을 전개한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 역사를 구속사로 진행하심은 당신의 택자 구원 완성을 위해서이다.

택자 구원이 완성되는 날, 인류 역사는 종말을 고하고, 새 하늘과 새 땅이 열리고,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곳에서의 영원한 삶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바로 이 구속사의 현장에 한국교회가 존재한다.

 

조선시대 성경역사자료

 

    

셩경직해(聖經直解) - Sungkyungjikhae, 조선시대(1892-1897)

가로 13.9, 세로 22.2
1892년부터 1897년까지 6년간 모두 9권을 발행하였으며, 뮈텔(G. C. M. Mutel) 주교가 감준하였다. 천주교의 성서한글번역의 효시이며, 개신교의 초기 성서번역에도 큰 영향을 끼쳤던 책이다.성경직해'의 구성은 교회력에 따른 연중 52주일과 34축일에 읽는 각기 다른 성경구절을 한 항목으로 하여 성경을 풀이하고 있어 전례용이란 기능을 갖고 있기도 하다. 내용은 4복음서 전체 3,709절 중 1,138절을 뽑아 교회 절기를 기준하여 편집한 것이다. 총 9권 중 제2권이 빠져 있다.

              
                     신약전서(新約全書) - New Testament, 조선시대(1908년)
가로 14, 세로 19.8
성경번역자회에서는 신약전서를 완역하고, 곧이어 구약전서 번역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성경번역자회 소속 아펜셀러와 한국인 조사 조성규가 순직하는 등 여러가지 사정으로 구약전서 번역이 지체되자 성경번역자회에서는 레이놀즈 선교사와 이승두, 김정삼에게 구약전서 번역을 위촉하였고, 이들은 1908년부터 전주에서 번역사업에 몰두하여 마침내 1910년 4월 2일에 구약전서 번역을 완료하였다. 여기에 있는 책은 1937년에 대영성서공회에서 발행한 '관규 구약젼셔'로 각 페이지의 상단에 주석을 달아 성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朝鮮??敎長老會史記)

가로 15.4, 세로 22.4
1928년 발행된 한국장로교회의 역사서이다.
1916년 제5회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에서 교회사기를 편찬하기로 결의하여 엥겔(G. Engel) 선교사가 편집 책임을 맡았고, 마펫(S. A. Moffett), 길선주(吉善宙), 함태영(咸台永), 레이놀즈(W. D. Reynolds) 등이 사기를 편찬하기 위한 사료를 수집하였다.
이 사기는 원칙적으로 공식문서인 당회록, 노희록, 총회록 등만을 사료로 채택하도록 하여 비교적 객관적인 기록이 되도록 한 것에 큰 의의와 가치가 있다. 따라서 한국장로교회 초기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최우선적 참고가 되고 있다. 간행 당시에 총회 이름으로 발행하기가 일제측으로부터 나오지 않아 차재명 목사 개인명의로 그가 시무하던 새문안교회를 발행처로 간행하였다.
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Chosen, 조선시대(1928년)


          

                         구약전서(新約全書) - Old Testament, 조선시대(1937년)
가로 14, 세로 19.8
성경번역자회에서는 신약전서를 완역하고, 곧이어 구약전서 번역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성경번역자회 소속 아펜셀러와 한국인 조사 조성규가 순직하는 등 여러가지 사정으로 구약전서 번역이 지체되자 성경번역자회에서는 레이놀즈 선교사와 이승두, 김정삼에게 구약전서 번역을 위촉하였고, 이들은 1908년부터 전주에서 번역사업에 몰두하여 마침내 1910년 4월 2일에 구약전서 번역을 완료하였다. 여기에 있는 책은 1937년에 대영성서공회에서 발행한 '관규 구약젼셔'로 각 페이지의 상단에 주석을 달아 성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조선예수교장로회헌법(朝鮮예수敎長老會憲法)
- Constitu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Chosen, 조선시대(1934년)

가로 12, 세로 18.2
1933년, 그 동안 예수교장로회에서 사용하던 구역신조(舊譯信條)와 요리문(要理問答)을 대신하여 간행한 것으로 조선어사용법이 많이 변경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원문과도 서로 다른 점이 있어 새로이 개역하여 출판한다고 서언(序言)에 간행목적을 밝히고 있다.


        
           성경사전(聖經辭典) - The Universal bible Dictionary, 조선시대(1927년)


가로 20, 세로 26.5
이 사전은 영국 런던대학 교수회 발행의 <공동성경사전>과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인 데이비스(J. D. Davis) 박사의 <성경사전>을 기초로 하여 번역, 편집한 한국 최총의 종합성서사전이다.
선교사 중심의 평양장로회신학교 교수진이 편집과 번역을 맡았고, 한국인으로는 오천경(吳天卿), 남궁혁(南宮爀), 김인준(金仁俊) 목사 등이 참여하였다. 4,500여 항목을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고, 관계성구를 명기하여 성서연구와 그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텬로지남 -The Traveller's Guide from death to Life, 조선시대(1918년)


가로 10, 세로 22
영국의 한 교인이 책을 발행하는 데 필요한 경비를 보조하여 발간한 것으로 미국인 선교사 밀의두가 번역하였다. 조선예수교서회에서 1918년에 발행한 것이다.


                
                                            주일공과(週日工課)
- Sunday School Lessons, 조선시대(1924,1936,1937,1940,1942년)
가로 12∼12.7, 세로 17.2∼18.8
우리나라에서 주일학교용 교재로 만국통일공과를 처음으로 번역해 내기 시작한 것이 1911년으로 그 후 지금까지 통일공과는 꾸준하게 발행되고 있다. 여기에 있는 책은 어린이를 위한 유년만국통일주일공과,청·장년을위한장년만국통일주일공과어머니들을위한자모회공과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결혼증빙문서(結婚證憑文書)
- Assurance Document of Marriage, 조선시대(1936년)
가로 39.4, 세로 32.3
전남 광양군 진상면 황죽리에 사는 신랑 박희원(朴熺源)과 전남 구례군 광의면 연파리에 사는 신부 김봉기(金奉琪)의 결혼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1936년에 작성된 이 문서는 신랑과 신랑의 친족, 신부와 신부의 친족, 주례, 주혼, 증인이 연명하여 신랑측과 신부측에서 하나씩 나누어 가졌다.

 
 
 

'한국기독교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사(그리스도인의 역사관)  (0) 2009.01.15
조선시대 성경역사자료  (0) 2008.12.30
한국선교현황  (0) 2008.09.17
언더우드 선교사  (0) 2008.06.07
양지 한국 순교자 100주년 기념관  (0) 2008.05.29

한국선교현황
한국선교현황을 각 분야별로 통계, 분석하였다 (자료출처: 한국선교핸드북2001)

 
선교사 2000년 선교사 숫자 / 8,103명
 

년도별 선교사 증가 추이
년도
숫자
증가율
1979년
93명
-
1982년
323명
247.3%
1986년
511명
58.2%
1989년
1,178명
130.5%
1990년
1,645명
39.6%
1992년
2,576명
56.6%
1994년
3,272명
27.0%
1996년
4,402명
34.5%
1998년
5,948명
35.1%
2000년
8,103명
36.2%

 

선교단체 2000년 선교단체 숫자 / 136개
 

년도별 증가 추이
년도
숫자
증가율
1979년
21개
-
1982년
47개
123.8%
1986년
65개
27.7%
1989년
66개
1.5%
1990년
74개
8.1%
1992년
90개
6.7%
1994년
113개
25.6%
1996년
113개
0.0%
1998년
127개
12.4%
2000년
136개
7.1%

 

 

   
10대파송단체(선교사 숫자 기준)
선교단체
선교사 수
GMS
1,021명
UBF
889명
통합
616명
기감
592명
GMF
310명
기침
277명
기하성
269명
청담개혁
231명
고신
213명
기성
197명
   
   

 

 

   
 
파송 선교사 수에 의한 분류
범위
선교단체 수
1000명이상
1개
500-999
3개
100-499
20개
50-99
9
1-49
65개
   
   

 

 

 

 

선교 대상 국가 2000년 선교대상국가 / 162개국
 

년도별 증가 추이
년도
선교대상국
증가율
1979년
26개국
42.3%
1982년
37개국
27.0%
1986년
47개국
53.2%
1989년
72개국
53.2%
1990년
87개국
20.8%
1992년
105개국
20.7%
1994년
119개국
13.3%
1996년
138개국
16.0%
1998년
145개국
5.1%
2000년
162개국
11.7%

 

주요파송국가(선교사 숫자 기준)
국가
선교사 수
중국
781명
필리핀
527명
일본
463명
러시아
359명
독일
288명
태국
233명
인니
216명
미국
183명
인도
160명
우즈벡
138명

 

대륙별 숫자
대륙
선교단체 수
아시아
3,683명
유라시아
831명
유럽
719명
아프리카
561명
남미
480명
중동
440명
태평양
264명
북미
227명
카리브
93명
기타
805명
합계
8,103명

 

 

선교지분류(종교권별 분류)
 

권역
팀숫자(응답자기준)
기독교권
514
회교권
407
불교권
186
공산권
153
전통종교
49
힌두교
45
유대교권
9
구공산권
4
기타
2
합계
1,369

 

 

근속년수(파송년도를 기준으로 본)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4년미만
1,343
4-7년
1,154
8-11년
711
12년 이상
288
합계
3,496

 

 

주요사역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교회
460
제자훈련
339
교육
125
신학교
83
순회
71
의료사역
64
성경번역
60
사회사업
40
합계
1,242

 

 


사역구분 (장기/단기)
사역구분 (전임/자비량)
사역구분 (일반/개척)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장기
364
 
저임
354
일반
182
단기
349
자비량
137
개척
286
기타
2
일반/개척
13
합계
713
합계
493
합계
481


선교훈련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자체
294
타단체
98
해외단체
40
자체/타단체
8
타단체/해외단체
7
자체/해외단체
2
합계
449

 

 

기혼 독신간 비율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기혼자
7,072명
독신자
1,031명
   

 

 

자녀 숫자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2명
147
1명
74
3명
28
4명
6
합계
255
   


자녀교육기관
 

구분
팀숫자(응답자기준)
현지학교
72
본국
36
국제학교
21
선교사자녀학교
20
합계
14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