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smmission

 

 

 

(찬양: 这一生最美的祝福 / 내 일생 가장 아름다운 축복)

 

 

 

21세기로 발돋움하는 중국 가정교회의 제반 상황과 전망

천레이(대만 따오셩(道生)신학원 원장)


Ⅰ. 들어가는 말
21세기로 넘어가기 앞서 최근 10년 동안 중국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이라는 이중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왔다.

외부적인 요인으로 볼 때, 마치 여러 종교정책의 긴축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것 같았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의 영향은 교회에 어려움을 주었으며 믿음이 견고하지 못한 개인과 교회는 압력을 받아 약해질 수 있었다. 그렇지만 대체로 교회는 큰 타격을 받지 않았고, 오히려 교회 내부적인 요인들이 교회에 비교적 큰 영향을 주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사역자간에 종종 발생하는 불화와 서로 공격하고 정죄하는 현상이다. 그리고 사역자가 물질의 유혹을 받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남녀관계로 인해 죄에 빠지는 경우이다. 또한 최근 5년간 이단과 사교집단이 일으킨 피해 역시, 교회에 영향을 주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외적인 핍박과 어려움은 교회가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일일 뿐 아니라 심지어 고난을 경험하는 것은 교회의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교회 내부에서 발생하는 죄와 연약함은 우리가 반드시 점검하고 회개해야할 부분이다. 만약 어떤 상황이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다면 반드시 어떠한 대가를 지불하고서라도 극복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하나님의 사역자로서의 위치와 교회의 생명력을 회복할 수 있다.

본 글은 이런 몇 가지 점들을 염두해 두면서 20세기 마지막 10년 동안의 중국 가정교회의 상황을 다각도로 살피면서 21세기로 나아가는 중국 가정교회를 아울러 전망해 보고자 한다.


Ⅱ. 최근 10년 가정교회가 직면한 외부적 압력
1. 1989년 티엔안먼(天安門)사건으로 인한「좌경화」정책
원래 1989년의 티엔안먼 사건은 엄청난 사건이었고, 이 사건으로 인해 국가의 정책이 좌경화되어 갔지만 1992년 제14차 공산당대회 이후 모든 국가의 제반정책이 다시 개혁개방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한편 도시의 가정교회에 비해 농촌의 가정교회는 이 사건으로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2. 집회장소의 등록을 요구하는 법령
1994년 1월 31일 국무원 제145호 문건은 모든 집회장소는 법에 의해 등록해야 한다고 공고하였다. 당연히 이 법령은 단순히 등록의 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많은「지도 및 감독」의 문제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절대다수의 가정교회는 적극적으로 등록하지 않았다.

사실, 많은 집회처소(聚會點)들은 등록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집회처소들을 분산시키는 정책을 전개하였다. 하나에서 둘로, 둘에서 넷으로 나누고, 집회인원수도 30명 내외를 유지했다. 여러 가지 상황전개 속에서「집회장소의 등록」사건도 가정교회에게 그리 큰 충격을 주진 못했다.

3.「사교(邪敎)」라는 명분으로 집회처소들을 제재하고, 교회 사역자를 체포
중국정부는 사회질서 및 사회재산 파괴 등의 형사사건을 처리하는 수법으로 종교문제를 처리해왔다. 비록 중국 내에도 일부 불법분자들이 종교의 이름으로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러나 순수한 가정교회 사역자가「사교의 두목」이란 죄명으로 판결을 받아 보통 1년이나 몇 년간 노동개조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가정교회는 동역자들이(특히 지도자들) 체포된 후에 더욱 한 마음으로 주님을 의지하여 사역이 타격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복음사역이 더욱 부흥하고 더욱 굳게 주님을 의지하게 되었다.
심지어 어떤 사역자는 핍박으로 흩어져서 복음을 더 먼 지역에까지 전하기도 하였다.


Ⅲ. 최근 10년 가정교회가 직면한 내부적 위기
1. 신도의 증가와 사역자 부족
전반적으로 볼 때, 가정교회의 신도 가운데에는 초신자가 많으며, 그들이 주를 믿게 된 동기는 대부분이 가족의 인도, 질병의 치료(기도로 치유), 농촌의 적막한 생활, 막막한 앞날 등 개인적이며 사회적인 원인이 많다. 따라서 가정교회 내 집단개종 현상이 적지 않다. 사실 이러한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만약 진리에 대한 가르침이 결여되면 교회는 약해지고 유명무실한 신도만 많아질 수 있다.

2. 지도자 훈련의 부족
많은 신도 중에 대다수는 진심으로 주님을 섬기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이 초신자이고, 또 양육받거나 성경을 깊이 알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다. 10년 전만 해도 찬양·기도·간증·성경읽기로 신도들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신도들은 더 많이「말씀과 메시지를 듣기」원한다. 그래서 많은 사역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직 성경에서만 메시지를 캐거나 또 신앙서적 한 권의 내용을 찾아서 전적으로 어느 한 부분의 말씀만을 전하고 있기 때문에 신도들은 영적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여러 가지 견해나 관점이 분분하고 심지어 극단과 이단이 발생하기도 했다.

3. 사역자간의 비판
「교회의 문제」는 일반적으로「사역자의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 내의 가정교회는 자생적이고 분명한 한계도 없어서 누가 교회의 사역자이고 누가 사역자중에 지도자인지, 그리고 사역자는 어떻게 세울 것인지 등이 항상 교회의 난제(難題)로 남아 있다.

특별히 인간적인 연약함에 부딪히면 그것이 권력·물질·인간관계든지 간에 종종 서로 비난하고 판단하고 심지어 정죄하는 일까지 일어난다. 한편 성경에 대한 관점과 사역의 방법이 다를 때에도 역시 서로 비방하고 정죄하여 분열하게 되거나 심지어 사역자들이 이로 말미암아 상처를 받고 사역을 포기하는 일까지 발생한다.

4. 사역자의 범죄와 실족함
과거 몇 년간, 주님을 섬기는 사람 중에 비정상적인 남녀관계나 불분명한 금전문제로 범죄하고 실족한 경우를 자주 보고 들었다. 심지어 10-20년 동안 주를 섬기면서 몇 백명, 몇 천명의 신도를 이끄는 지도자도 이와 같은 일로 실패하고 실족한 경우가 있다.

이것은 실제로 사람이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지 설명해 주는 것이다. 만약 전심으로 주를 의지하지 않고, 성결을 지키지 않는다면 이런 문제들에서 승리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를 통해 사탄은 현 시대에서도 교회 사역자에 대한 공격을 늦추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최근 10년 가정교회의 성장
1. 양적인 부흥
중국 각지에 널리 퍼져있는 가정교회를 전면적으로 정밀조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우리는 단지 현상을 통해 양적인 성장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기독교인들은 허난(河南), 져쟝(浙江), 산동(山東), 안훼이(安徽), 푸지엔(福建) 등 성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10년 동안의 교회발전을 지켜보면서 앞에서 언급한 지역의 신도수는 여전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안훼이성의 성장속도는 매우 빨랐다. 이상의 5개 성 외에, 과거 10년 동안 동북(東北)지역의 신도수도 빠르게 증가하였고, 내몽고(內蒙古), 쓰촨(四川), 쟝시(江西), 후난(湖南)도 상대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서북(西北)지역의 5개 성도 많은 복음전도자들이 개척하여 샨시(陝西), 깐쑤(甘肅), 심지어 칭하이(靑海), 티벳(西藏)에까지 그들의 발길이 끊임없었다.

서남(西南)지역의 윈난(雲南), 꾸이쩌우(貴州), 꽝시(廣西)에서도 복음사역이 전개되고 있고 하이난성(海南省)도 예외는 아니다. 도시의 지식인들이나 대학생 가운데 주를 믿는 사람의 비율이 최근 10년 동안 매우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어 전국의 여러 대학에서 성경공부 모임이 결성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신도 숫자의 통계를 종합하면 중국의 신도는 약 7천5백만에서 1억에 달한다고 할 수 있다.

2. 질적인 부흥
이 부분의 성장을 언급하기란 매우 곤란하지만 그러나 신도들이 영적인 부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최근 10년간 성경보급이 보편화되고, 신앙서적이 많아지고, 복음방송의 내용이 더욱 폭넓어지고(방송내용의 심화와 라디오의 보급), 사역자들이 훈련받는 기회가 증가하는 등의 요소를 생각할 때 가정교회가 진리에 대해 인식하고 영적 생명에서 나타난 성장이 눈에 띄게 발전되었다.

그러나 전체 사회가 개혁개방으로 인해 경제적인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이 더 바빠져서, 성경읽기, 기도, 집회참석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고, 신도들이 감당해야 할 시험과 시련도 전보다 더 많아지고 강해졌다. 이런 점에서 중국의 가정교회를 볼 때, 가정교회의 질적 성장은 아직도 요원하다고 할 수 있다.

3. 조직적인 부흥
가정교회는 조직이 없는 듯 하나 사실「가정」자체가 매우 강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이것은 중국문화의 일부로서 깨뜨릴 수 없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하나님께서 중국 신도들을「가정의 모델」로써「가정의 구조」를 이루게 한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와 지혜이며, 이 또한 교회를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게 하고 또한 크게 성장하게 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밖에, 신세대 사역자들(대부분 30-40대)이 세워졌고, 그들은 지식적으로나 훈련면에서 과거 선배들보다 뛰어났으며, 또 최근 10년 간 환경적인 필요는 가정교회로 하여금 조직구조의 측면에서 더 조직과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소위 대 구역(大片), 중 구역(中片), 소 구역(小片), 집회처소(聚會點)의 교회 조직이 생겼으며 각 부분마다 책임을 지는 사역자가 있다.

기본적으로 그들은 서로 형제, 자매라고 부르지만, 실질적으로 그들은 교회 속에서 구체적인 책임과 직무들이 있으며, 사역자들 또한 서로 존중하고 순종하고 있다. 한편 하나님은 각지에서 전임사역자들을 일으키셨는데, 어떤 사람은 현지에서 말씀선포와 성경공부 그리고 목양을 책임지고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타 지역으로 보내져 교회를 개척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렇게 개척된 사역은 해당 가정교회의 선교사역이 되는 것이다.


Ⅴ. 21세기로 발돋움하는 가정교회의 전망
1. 종교정책에 대한 전망
중국교회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중국의 기독교에 대한 종교정책은 과연 무엇인가?"라고 묻는다. 이 문제는 중국의 전체적인 정책에서 생각해야 할 문제이고 동시에 삼자회와 가정교회의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 세 부분 즉 중국의 정책과 삼자회 및 가정교회를 함께 생각해야 비로소 중국의 기독교에 대한 종교정책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전체국가적인 측면에서 볼 때 종교(특별히 서양과 연관된 기독교)는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될 수 있으면 축소(신도수의 숫자)하여 관리하고 통제하기를 원한다. 한편 삼자회의 정책은 기본적으로 정부의 정책을 따라가고 있다.(이 또한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면서 또 신학사상의 차이점이 있는데, 삼자의 지도자들은 자유주의 신학에 치우쳐 있지만, 삼자의 목회자 중에는 개별적으로 복음주의 또는 근본주의적 신앙에 속한 자들이 많다.

그러므로 삼자의 종교정책은 총체적인 노선과 상당히 개별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노선이 각각 있다. 가정교회는 절대다수가「성경이 무엇을 말하면 교회는 그것을 따라 믿어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어 가정교회의 정책은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우며 정교(政敎)분리와 삼자에 동참하지 않는다.

이상 세 가지 정책을 합해 보면, 장기적인 개혁개방에 따라 종교에 대한 정부의 불신은 점점 낮아지거나, 혹은 가정교회의 빠른 성장과 상대적으로 강대(强大)해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그 존재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비록 삼자가 자신의 합법성과 대표성을 대단히 강조하지만 그러나 앞으로 중국 종교정책의 주요 흐름은 가정교회가 진리와 선교와 증인된 삶 등에 대해 얼마만큼 그 강인한 생명력을 얼마나 나타내 보이냐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2. 가정교회의 지도자 훈련
「신도가 많고 사역자가 부족한」현상은 교회로 하여금 사역자 양성을 중시하게 하였다. 그래서「사역자 훈련」은 각지에 있는 가정교회가 제일 중요시하는 과제가 되었다. 과거 10년간 확실히 많은 지도자 훈련반이 생겨났고 많은 사역자가 배출되었으며 특별히 농촌에서 많은 청년들, 심지어 중년 신도들의 헌신이 있어 오늘날 가정교회는 대량으로 사역자를 배출할 수 있는 호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지식적인 면에서는 신세대 사역자들이 그 전세대보다 지도자 훈련은 발전했으나 주님 앞에 완전히 헌신하고 주를 위해 고난을 받으며 현실적인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초월하려는 사역자는 결코 많지 않다. 이것은 중국 사회가 전반적으로「돈을 향해 달려가는(向錢看)」사회풍조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에서 볼 때, 신앙적인 삶과 지적인 훈련 모두가 오늘날 가장 지도자 훈련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3. 해외교회와의 동역과 협력
과거 10년 동안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개별적인 신도와 중국선교단체, 교회와 교파가 중국에 들어와 소위 중국선교에 종사하였다. 어떤 이들은 삼자교회와 연합하고, 어떤 이들은 오직 가정교회와 협력하면서, 전통적인 교회사역에 종사하거나, 문서사역과 교육에 종사하거나 또는 자선 및 구제사역 등에 종사하여왔다. 이런 사역들은 모두 긍정적인 영향과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 중 가정교회와의 동역에서 보면 세 가지로 얘기할 수 있는데, 먼저 가정교회가 외부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었다.(가정교회는 중국 내에서 불법모임으로 인식되어 있다). 해외의 많은 지체들이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였다.

둘째, 인력과 경제적 지원사역으로 가정교회로 효과적인 지도자훈련 사역 및 문서사역을 전개하도록 하며, 또 일부 가정교회의 교역자들은 생활비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로 말미암아 교회가 질적으로 양적으로 발전하도록 도왔다.

셋째, 중국 내 가정교회 간증의 역사가 해외에 알려짐으로써 세계의 각 교회가 중국교회에 대해 전면적인 이해를 하게 되었다.

4. 전국적인 선교의 전개
중국의 기독교 신도는 주로 화중(華中), 화동(華東)지역 일대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강남(江南), 서북, 서남, 내몽고, 동북지역들은 신도가 적은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지역은 추수할 곡식은 많으나 추수할 일꾼이 부족한 곳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국적으로 선교비전을 확장하는 일이 절실하게 필요하며, 현재는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국의 7천만 신도의 교회가 바로 가장 효과적인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교회는 전도의 훈련을 강화하여 성령의 보내심에 따라 사역자를 전국 각지의 추수터에 보내야 한다. 그러나 12억 중국인 사이에는 다양한 문화의 차이가 있어 선교할 때, 파송할 일꾼을 적절하게 훈련해야 하며 반드시 타문화 선교에 대한 인식과 교육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문화차이가 비교적 큰 지역, 특별히 소수민족 지역에는 들어가기가 어렵다.

결국 교회성장의 원칙에서 볼 때 중국은 이미 상당히 성숙한 추수밭이 되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긍휼과 성령님의 역사이며, 객관적인 사실이다. 교회 자체로 볼 때, 중국교회의 발전과 성장은 중국교회가 순수한 신앙과 복음을 열심히 전하는 교회임을 증명하고 있다.

현재 기독교인들도 전체 인구의 약 6퍼센트(%)에 이르렀다. 게다가 현재 많은 헌신자를 훈련하고 있고, 또한 해외교회와 협력하는 가운데 선교에 대한 인식과 사명감의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만일 각지의 교회(각각 다른 계파의 가정교회)가 계획을 세워 장기적으로 파송운동을 전개한다면, 많은 사람들을 주님께 돌아오게 하고, 교회는 전국의「만민(萬民) 가운데」확고하게 세워질 것이라고 믿고있다.


                                                                                                                                      http://blog.daum.net/smmission

 

 

 아이들에게 전도를 하고 있는 장 밍수안 형제

     

  "중국 정부가 가정 교회 지도자들을 혹독하게 박해하다!"

중국 가정 교회 연합회(Chinese House Church Alliance)의 회장인 장 밍쉬안(Zhang Mingxuan) 형제는 최근 국제 사회에 보내는 서한에서, 중국 정부가 그와 그의 가족에게 가하는 혹독한 핍박을 공개하였다.


1986년 기독교로 개종한 장 형제는 가정 교회 운동으로 인해 그 동안 정부 당국에 의해 감시 당하여 왔고, 때로는 체포되어 고문을 받기도 하였으며, 지금까지 12번 감옥에 갇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에게 가해지는 최근의 핍박은 그 강도가 더욱 높아졌고 빈도도 더욱 잦아졌다. 그리하여 장 형제는 3 개의 공개 서한을 작성하였는데, 그 중 2개는 후진타오(Hu Jintao) 중국 국가 주석에게 보내는 것이며, 나머지 한 개는 중국 정부가 자신의 탄원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며 국제 사회의 도움을 호소하는 편지이다.


그의 공개 서한에 의하면, 중국 정부는 중국 가정 교회 연합회가 후원하는 한 고아원에게 아이들을 가르치는 외국인들과 아이들을 내보내도록 강요하고, 고아원에 공급되는 전기를 끊고, 장 형제의 동태를 면밀히 감시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고아원은 전력 회사의 전기 공급 거절로 다른 장소로 이사를 가게 되었다. 그 이후 장 형제와 그의 가족은 수 차례 더 이사를 가기에 이르렀다.


장 형제는 이러한 탄압을 산허(Sanhe) 시(市)에 호소하였지만, 시 당국은 전기를 다시 공급하여 주는 대신 장 형제를 더욱 협박하였다. 그러자 장 형제는 시(市)의 전력 공급 담당 부서를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기하였지만 법원은 그의 소송을 받아 주지 않았다.

 
지난 2007년 11월에는 장 형제와 고아원이 베이징 시(市)의 택지 지역으로 이사를 갔는데, 이사한 바로 다음날 그 지역을 관할하는 경찰관이 장 형제와 고아원이 세 들어 살고 있는 집 주인에게 압력을 넣어 장 형제 가족과 고아들을 쫓아내도록 만들었다. 지난 2007년 성탄절 당일에도 장 형제는 고아원의 아이들을 데리고 집을 옮길 수 밖에 없었다.


중국 공안 당국은 장 형제를 사회로부터 소외되도록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조치들은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가정 교회를 단속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중국 감시 단체인 China Aid Association(CAA)의 밥 푸(Bob Fu) 대표는 말하였다. 푸 대표는, 중국 정부의 목적은 가정 교회 네트워크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러 인권 단체들에 의하면, 중국 정부가 인권을 침해한다는 국제 사회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 최근 일반 중국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 대신 가정 교회 지도자들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국제 사회에 보낸 편지에서, 장 형제는 중국 정부가 법으로 보장되어 있는 종교 자유를 실제적으로 보장하며, 감옥에 있는 중국의 그리스도인 형제와 자매들이 속히 풀려나도록 국제 사회가 중국 정부에 압력을 가할 것을 호소하였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7년 12월 산동성에서 중국 가정 교회 지도자 249명이 모인 훈련 모임을 발각하여 다수의 가정 교회 지도자들을 연행하여 갔는데, 최근 이들 중 가정 교회 핵심 지도자 남성 17명과 여성 4명이 일제히 재교육이라는 명목으로 노동 수용소에 보내어졌다. 이들 21명은 중국 공안 당국으로부터 ‘사악한 사교 집단(evil cult)’이라고 고발당하였으며 1년3개월에서 3년 형의 노동 수용소형을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출처: Christian Post, 2008년 2월 19일,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파발마 601호)
중국 정부가 가정 교회 지도자들에 가하는 박해를 철회하고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보장하도록 기도하자.


**위의 내용은 자유롭게 복사, 인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반드시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파발마'라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가정교회가 직면하는 어려움을 위해서(중국)

 

2월 28일 중국의 가정교회의 성경학교에 비밀경찰의 습격이 있었다. 중국의 Huaibei 사무소는 현재 36명이 경찰에 수감되어 있으며,

이번 습격은 교회 지도자를 체포해 더 자세한 심문과 검찰 기소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순교자의 소리 카나다의 Glenn Penner 는 여러가지 걱정 가운데 하나는 중국의 공산당 정부가 대중의 목소리를 잠재우는 것 중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 중의 하나가 교회의 지도자를 가증스로운 죄목으로 체포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방향으로 흐르고 있지만 그러나 중국에서의 교회의 성장을 멈추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 Penner 는 오늘날 중국에서 복음전도의 가장 효과적인 의미인 가정교회 운동이 더욱 깊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시도하는 것은 저명한 가정교회 지도자들을 체포함으로 가정교회운동의 지도자들을 제거시키려는 것이다.(from : http://mnn.gospelcom.net/article/8371)

기도제목

-체포된 가정교회 지도자와 그 가족들에게 담대함과 성령님의 위로가 함께 하시도록,
- 남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지도자 부재의 지혜롭게 감당하도록,
- 중국 정부의 가정교회 지도자 체포에 실효성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더 이상의 교회 지도자들을 체포하지 않도록,
- 체포된 교회지도자들이 정당한 재판과 공정한 판결을 받을 수 있도록,
- 박해와 핍박 속에서도 성장하는 복음의 확산에 감사기도를,


 

 

중국의 가정교회 젊은이를 위한 기도요청

Open Door 선교회는 중국에서 박해를 받는 교회 지도자도로부터 격려가 되는 편지를 받았다. 그 내용은 중국의 비밀교회인 가정교회에서 젊은이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젊은이들이 가정 교회 속에서 증가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왜냐하면 젊은이들이 위험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께로 돌아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며, 이들 젊은이들은 중국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한 예로, 5년전 중국 상하이에서 34세의  Sister Lee 는 특별히 젊은이들을 중심하는 가정교회를 시작했다. 그녀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온 가족이 구원받는 비젼을 주셨으며, 현재 두 곳의 가정교회에서 280명이 예배를 드리고 있으며, 대부분은 시골에서 상하이로 옮겨온 젊은이들이다"라고 말했다. "이들 젊은이들은 대부분이 10대이며, 일부는 12살인 이들 젊은이들은 처참하며, 심지어는 먹을 것과 머무를 곳이 없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우리는 젊은이들과 어린이들을 집중적으로 전도했다. 교회가 그들에게 새로운 삶을 제공했고, 새로운 희망을 주었다. 현재 어린이들과 젊은이들은 자신들의 부모님을 교회와 함께 그리스도의 믿음으로 이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대가 없이 되어진 것은 아니었다. 현재 젊은이들을 믿음으로 인도하는데 엄청난 압박과 불확신 한 것들이 짓누르고 있다. "교회들은 반드시 하나님을 향한 믿음에 서야 한다. 교회는 모임을 중단할 수 없으며, 우리는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드시 그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계속해서 "한번은 이웃이 불법 노동자들이 있다고 경찰에 신고해 경찰이 교회로 찾아왔고, 우리의 모임이 불법이며, 더 이상 모임을 갖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다른 부서의 경찰 즉 종교경찰과 시청의 직원이 교회 모임 중에 찾아왔다. 나는 모임을 중단하고 내 신분증과 많은 농부들이 시골에서 상하이에 올라와 일자리를 갖지 못하고 있고, 교회의 형제 자매들이 그들을 돕고 일자리를 찾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아픈 사람들이 고침을 받고 불화한 가정들이 화목하게 되고 도박, 흡연, 알콜중족 등이 치료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하나님의 은혜와 보호하심으로 Sister Lee 의 교회는 문을 닫지 않았고, 지금까지 모임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가정교회 자도자들과 함께 그녀는 기독교 자료가 필요하다는 긴급요청을 했다. 즉 성경, 성경공부 교제, 성경교육 프로그램 등등...

우리는 중국의 젊은이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기 위해 여러분의 기도와 도움이 필요하다고 Lee는 덧부였다.

Open Door는 2007년 지금까지 중국의 박해받는 교회들에 성경을 포함해 젊은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독교 자료들을 약160만권 보급할 예정이다. 중국의 그리스도인은 젊은이들이 많은 공격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언급했다. 많은 젊은이들은 부모로부터 주입식 교육이 이루어지는 다른 도시로 보내지고 있으며, 새로운 도시에서 신앙을 지키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기도제목
1. 중국의 가정교회들은 젊은이들을 도울 수 있는 성경, 기독교 자료, 그리고 기독교 교육 커리큘럽 등의 보급을 요청하고 있다.
2. 160만명의 어린이들을 위한 성경 자료와 7만권의 어린이 성경이 보급될 수 있도록,
3. 목회자 및 젊은이 지도자를 위한 140만개의 훈련교제 보급을 위해서
4. 셀 그룹 지도자를 위한 13만8천권의 성경공부 교제를 위해서
5. 13세부터 18세 까지 젊은이들의 영적인 성장을 돕는 교제 보급을 위해서
6. 젊은이를 위한 성경공부 교제 제작을 위해서
(from : http://www.odusa.or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