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 인공재배

천마(Gastrodia elata)는 난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일시적으로 줄기와 잎이 있으나 퇴화되어 뿌리만이 발달되어 이를 약용으로 이용함.

자연산은 한국, 일본, 중국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발 700 m이상에서 많이 볼수 있슴.

천마는 독립적으로 생육이 불가능하여 버섯의 일종인 뽕나무 버섯속(Amillaria속)과 상호간에 양, 수분 교환을 하는 공생관계가 있슴.

 

<천마 구근의 형태>


 

1. 약효 및 재배적 특성

가. 천마의 약효

  • 천마는 옛부터 1등급 약재원료로 분류되어 한국, 중국등에 널리 알려져 있슴.
  • 사람의 머리 위에서 일어나는 각종 질병에 효과가 높다고 함.
  • 고혈압, 스트레스 해소, 머리 어지러운병, 불면증, 중풍, 당뇨병, 출혈증상 치료, 간기능 촉 진.
  • 최근 천마 술제조, 분말 및 드링크제, 엑기스 제조등 건강식품재료로 널리 활용됨.

나. 재배적 특성

1) 장 점

  • 한번 접종하여 3-4년간 수확이 가능하고 이후 원목만 교체하면 계속재배 가능함.
  • 농토로서 쓸모가 적은 척박지나 모래밭등 유휴지 이용효과가 높고 연작이 가능함.

2) 문제점

  • 재배가 시작되는 첫해에 원목 및 종구 구입비등 생산 투자비가 높게 소요됨.
  • 대량재배시 토양의 토성, 배수, 유기물함량, 경사방향등 적지선정에 애로점이 있슴.


 

2. 뽕나무 버섯균의 특성 및 증식

가. 뽕나무 버섯균의 특성

  • 뽕나무 버섯균은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Tricholomataceae)임
  • 뽕나무 버섯은 활엽수에서 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서 세계 여러나라에 분포 되어 있으며 산림에 피해를 주는 병원균으로도 알려져 있슴.
  • 뽕나무버섯균은 균사가 자라서 뿌리모양의 균사속(rhizomorph)을 형성하여 나무에 기생 함.
  • 뽕나무 버섯균속에 포함되는 종류는 2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특성이 각각 다름.
  • 현재 농가 보급 종으로서 고시된 품종은 천마균 1호 가 각 종균배양소에 보급되어 있슴.


<뽕나무 버섯균의 계통에 따른 균사속 형성정도>

나. 뽕나무 버섯균 증식 및 생장 환경

  • 균사 배양시 최적 배지는 참나무 추출배지, 버섯완전배지(MCM) 또는 맥아 20g, 효모 (yeast ext.) 2g, 설탕 또는 포도당(dextrose) 20g, 한천 18g을 물 1ℓ에 넣어 만든다.
  • 균사 생장 최적 배양 온도는 25∼28℃이며 15℃이하나 30℃이상에서는 생장이 현저히 감소 됨.

톱밥배지의 수분함량은 65%가 적당하며 이보다 높아지면 공극량이 적어져 산소공급이 저 하되 균사생장이 제한됨.

  • 뽕나무 버섯균의 적정 pH는 4.5이며 이보다 높아지면 균사생장이 억제됨.


 

3. 천마 재배 과정 및 적지선정

가. 천마재배 과정


< 천마재배 과정 모식도>

나. 재배장소 선정

  • 천마는 한번 심으면 한곳에서 재배해야 하므로 재배장소 선택이 중요함.
  • 천마는 난과에 속하므로 과습이나 건조피해를 많이 받음.
  •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가 좋으며 큰 모래, 자갈이 너무 많으면 비가오지 않을때 가뭄피해가 우려됨.
  • 재배장소는 동남쪽 방향이 좋으며 약간 경사진 곳이 좋음.
  • 토양 산도(pH)는 5∼6이 적당하며 토양에는 공해물질이 없어야 함.
  • 재배장소의 흙은 완숙된 유기물 함량이 4∼5%가 습도유지 및 균사생장에 유리함.


 

4. 천마 원목조제 및 종균접종 증식방법

가. 원목조제

  • 원목 수종은 활엽수 모두 가능하지만 참나무류가 토양속에서 오래 견디므로 적당함.
  • 원목 굵기는 직경 10∼15㎝, 길이 30∼120㎝로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함.
  • 원목 건조는 38∼40% 수분상태로 나무의 작은 가지를 손으로 꺽으면 잘 부러질정도 또는 원목절단면에 가는 금이 가는것을 기준으로 함.

나. 뽕나무 버섯균의 접종증식 방법

  • 우량균주 선택이 가장 중요하므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개발 보급종인 천마균 1 호 를 선택하는 것이 안전함.
  • 종균 접착법으로서 원목 양쪽 절단면에 1∼2㎝ 두께로 절단된 종균을 접착함.
  • 구멍 접종 방법으로 천공기를 직경 12∼13㎜, 깊이 25㎜로 하여 15∼20㎝간격으로 뚫어 종 균 2∼3g씩 덩이로 채워 스치로플 마개로 막음.

구멍 접종 및 종균접착법을 절충하는 방법으로 원목에 종균을 구멍접종한후 절단면에 종균 이나 균이 활착된 골목을 20㎝길이로 절단하여 세워서 매몰함.


 

5. 자마심기 및 수확

가. 자마심기

  • 균사속이 3∼4㎝정도 자란후 균사속 바로위에 10∼30㎝간격으로 심는 방법과 원목에 뽕나무 버섯균을 심은후 토양에 묻을때 자마도 함께 심는 방법이 있슴

나. 수확

  • 천마는 봄(3∼4월)과 가을(11∼12월)에 수확 가능함.
  • 천마 건조수율은 20∼25%이나 봄에 지상경이 나온후 수확하면 건조수율이 떨어지므로 3월 경에 수확함.
  • 천마 수확시기는 꽃대가 출현했을때를 최대성장기로 보아 수확적기로 보면되나 서두르지말고 2∼3년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수확함.
  • 수확량은 평당 5㎝길이의 자구를 심었을때 15Kg임.


<천마와 뽕나무버섯균 간의 공생관계>

 

원본: http://www.farmer.co.kr/%EC%B2%9C%EB%A7%88.htm

 

' 영농 자료모음 > 천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F] 천마재배기술  (0) 2011.06.01
천마 재배 사이트 홈  (0) 2011.03.05

 


약용

식용

 

불명

 

균계 → 진핵균아계 → 진균문 → 담자균아문 → 진정담자균강

아강

버섯이름

격실담자균아강

목이목
AURICUL-
ARIALES

목이과
AURICUL-
ARIACEAE

목이속
Auricularia 

목이. 털목이

흰목이목
TREMELLALES

좀목이과
EXIDIACEAE 

혓바늘목이속
Pseudohydnum

혓바늘목이

주걱목이속
Phlogiotis

장미주걱목이

좀목이속
Exidia 

좀목이

흰목이과
TREME-
LLACEAE 

흰목이속
Tremella 

흰목이, 꽃흰목이

원생균모아강

붉은목이목
DACRYO-
MYCETALES

붉은목이과
CACRYMY-
CETACEAE 

붉은목이속
Dacrymyces 

붉은목이

아교뿔버섯속
Calocera

싸리아교뿔버섯 아교뿔버섯

혀버섯속
Guepinia

혀버섯

동담자균아강

주름버섯목
Agaricales 

벚꽃버섯과
Hygroph-
oraceae
 

벚꽂버섯속
Hygrophorus 

노란털벚꽃버섯. 벚꽃버섯

무명버섯속
Hygrocybe

화병무명버섯. 붉은무명버섯

치마버섯과
Schizoph-
yllaceae

치마버섯속
Schizophyllum

치마버섯

느타리과
Pleurotaceae 

느타리버섯속
Pleturotus

느타리

참버섯속
Panus 

참버섯. 표고

잣버섯속
Lentinus 

잣버섯

부채버섯속
Panellus 

부채버섯 참부채버섯

송이과
Tricholo-
mataceae

송이속
Tricholoma 

송이. 담갈색송이. 금버섯. 독송이. 할미송이

졸각버섯속
Laccaria 

색시졸각버섯 졸각버섯 자주졸각버섯

덧부치버섯속
Asterophora 

덧부치버섯

자주방망이버섯속
Lepista

민자주방망이버섯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

깔때기버섯속
Clitocybe 

하늘색깔때기버섯 깔때기버섯 비단빛깔때기버섯. 흰삿갓깔때기버섯  배불뚝이깔때기버섯

솔버섯속
Tricholomopsis 

장식솔버섯. 솔버섯

뽕나무버섯속
Armillariell 

뽕나무버섯   뽕나무버섯부치

볼록버섯속
Melanoleuca

잔디볼록버섯   흰볼록버섯

흰우단버섯속
Leucopaxillus 

흰우단버섯

애기버섯속
Collybia 

흰무리애기버섯 가랑잎애기버섯 애기버섯. 밀버섯. 버터애기버섯. 점박이애기버섯.

밤버섯속
Calocybe 

분홍밤버섯

낙엽버섯속
Marasmius 

우산낙엽버섯 말총낙엽버섯 큰낙엽버섯. 애기낙엽버섯 앵두낙엽버섯

마른가지버섯속(선녀버섯속)
Marasmiellus 

검은대마른가지버섯(검은대낙엽버섯) 하얀마른대가지버섯(하얀선녀버섯) 분마른가지버섯(마른가지선녀버섯)

긴뿌리버섯속
Oudemansiella 

넓은주름긴뿌리버섯. 끈적긴뿌리버섯. 털긴뿌리버섯

애주름버섯속
Mycena 

적갈색애주름버섯 점질대애주름버섯 수레바퀴애주름버섯 흰애주름버섯 솔잎애주름버섯 맑은애주름버섯

털가죽버섯속
Crinipellis 

털가죽버섯

이끼살이버섯속
Xeromphalina 

이끼살이버섯

팽나무버섯속
Flammulina 

팽나무버섯

패랭이버섯속(애이끼버섯속 Gerronema

이끼패랭이버섯

민버섯속(큰낭상체버섯속)
Macrocystidia

밤색민버섯

난버섯과
Pluteaceae

난버섯속
Pluteus

붉은 난버섯 노란난버섯 난버섯

광대버섯과
Amanitaceae

광대버섯속
Amanita 

달걀버섯. 노란달걀버섯. 우산버섯. 고동색우산버섯.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긴골광대버섯아재비. 큰주머니광대버섯. 흰오뚜기광대버섯(사마귀광대버섯) 양파광대버섯. 뱀껍질광대버섯. 노란대광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붉은주머니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암적색분말광대버섯 알광대버섯. 파리버섯. 애광대버섯 잿빛가루광대버섯 점박이광대버섯 흰우산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

무당버섯과
RUSSULACEAE

무당버섯속
Russula 

절구버섯   수원무당버섯  황금무당버섯 흰무당버섯아재비 깔때기무당버섯 흙무당버섯. 밀짚색무당버섯 기와버섯 회갈색무당버섯  청머루무당버섯  애기무당버섯 흰꽃무당버섯 담갈색무당버섯 참무당버섯 냄새무당버섯 자주빛무당버섯 홍색애기무당버섯 노랑무당버섯 박하무당버섯   구리빛무당버섯

젖버섯속
Lactarius

민들레젖버섯 새털젖버섯 털젖버섯아재비  흰주름젖버섯  민맛젖버섯  굴털이 젖버섯.당귀젖버섯 호박젖버섯 젖버섯아재비   노란젖버섯 애기젖버섯

주름버섯과
AGARICACEAE

주름버섯속
Agaricus 

주름버섯 흰주름버섯 양송이 담황색주름버섯 진갈색주름버섯 숲주름버섯 주름버섯아재비

갓버섯속
lepiota 

두엄갓버섯 방패갓버섯 백조갓버섯 흰여우갓버섯아재비 갈색고리갓버섯

각시버섯속
Leucocoprinus

 여우꽃각시버섯

낭피버섯속
Cystoderma

 참낭피버섯

큰갓버섯속
Macrolepiota

 큰갓버섯

먹물버섯과
COPRINACEAE

먹물버섯속
Coprinus 

 두엄먹물버섯 갈색먹물버섯 좀밀먹물버섯 소녀먹물버섯 노랑먹물버섯 진주먹물버섯 고깔먹물버섯 먹물버섯

눈물버섯속
Psathyrella

다람쥐눈물버섯 족제비눈물버섯 큰눈물버섯

말똥버섯속
Panaeolus

 레이스말똥버섯. 검은띠말똥버섯.

소똥버섯과
BOLBITIACEAE 

종버섯속
Conocybe

 노란종버섯

볏짚버섯속
Agrocybe 

 볏짚버섯

독청버섯과
STROPH-
ARIACEAE

독청버섯속
Stropharia 

 독청버섯아재비

비늘버섯속
Pholiot

 검은비늘버섯 꽈리비늘버섯 땅비늘버섯 비늘버섯 진노랑비늘버섯 개암비늘버섯

개암버섯속
Naematoloma

 노란다발. 개암버섯

무리우산버섯속
Kuehneromyces

 무리우산버섯

귀버섯과
Crepidotaceae 

귀버섯속
Crepidotus

 노란귀버섯 젤리귀버섯

끈적버섯과
CORTINARIACEAE 

끈적버섯속
Cortinarius

 풍선끈적버섯아재비 다색끈적버섯 풍선끈적버섯 노랑끈적버섯 회갈색끈적버섯 검은털끈적버섯

자규버섯속
(전나무끈적버섯속)
Dermocybe

 적자규버섯(전나무끈적버섯)

미치광이버섯속
Gymnopilus

 갈황색미치광이버섯 솔미치광이버섯.

땀버섯속
Inocyb

 비듬땀버섯. 하얀땀버섯. 삿갓땀버섯. 솔땀버섯. 흰꼭지땀버섯 보라땀버섯

외대버섯과
Rhodoph-
yllaceae 

외대버섯속
Rhodophyllu

 외대덧버섯 삿갓외대버섯 보라꽃외대버섯 붉은꼭지버섯 흰꼭지버섯 검은외대버섯 민꼭지버섯

우단버섯과
Paxillaceae 

우단버섯속
Paxillus 

 은행잎우단버섯 꽃잎우단버섯 주름우단버섯

마개버섯과
Gomphidiaceae 

마개버섯속
Gomphidius 

 장미마개버섯 큰마개버섯

못버섯속
Chroogomphus

 못버섯

그물버섯과
Boletaceae 

그물버섯속
Boletus

 꾀꼬리그물버섯 가지색그물버섯 수원그물버섯 붉은그물버섯 붉은대그물버섯 그물버섯

둘레그물버섯속
Gyroporus

 흰둘레그물버섯

민그물버섯속
Phylloporus

 회갈색민그물버섯 노란길민그물버섯

산그물버섯속
Xerocomus

 산그물버섯 마른산그물버섯

비단그물버섯속
Suillus 

 비단그물버섯 젖비단그물버섯 붉은비단그물버섯큰비단그물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분말그물버섯속
Pulveroboletus

 노란분말그물버섯

쓴맛그물버섯속
Tylopilus 

 은빛쓴맛그물버섯 제주쓴맛그물버섯 녹색쓴맛그물버섯

황금그물버섯속
Boletinus

 황금그물버섯

껄껄이그물버섯속
Leccinum 

 등색껄껄이그물버섯 접시껄껄이그물버섯 거친껄껄이그물버섯

귀신그물버섯과
Strobilom-
ycetaceae 

귀신그물버섯속
Strobilomyces

 털귀신그물버섯 솜귀신그물버섯

미친그물버섯속
Phrphyrellus 

 미친그물버섯

밤그물버섯속
Boletellus 

 좀노란그물버섯

연지그물버섯속
Heimiella 

볼연지그물버섯

민주름목
APHYLLOP-
HORALES 

꾀꼬리버섯과
Cantharellaceae 

꾀꼬리버섯속
Cantharellus

 꾀꼬리버섯 애기꾀꼬리버섯 갈색털꾀꼬리버섯 붉은꾀꼬리버섯 호박꾀꼬리버섯

뿔나팔버섯속
Craterellus

 뿔나팔버섯.

나팔버섯과
GOMPHACEAE

나팔버섯속
Gomphus 

 나팔버섯

국수버섯과
CLAVARIACEAE 

쇠뜨기버섯속
Ramariopsis 

 쇠뜨기버섯

국수버섯속
Clavaria 

 국수버섯 자주국수버섯.

붓버섯속
Deflexula 

 흰붓버섯

방망이싸리버섯과
CLAVARIAD-
ELPHACEAE

방망이싸리버섯속
Clavariadelphus 

 붉은방망이싸리버섯 방망이싸리버섯.

창싸리버섯과
CLAVULINACEAE 

창싸리버섯속
Clavulinopsis

 노란창싸리버섯

볏싸리버섯속
Clavulina 

 볏싸리버섯

싸리버섯과
RAMARIACEAE 

싸리버섯속
Ramaria 

 다박싸리버섯   자주색싸리버섯 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붉은싸리버섯

나무싸리버섯과
 
CLAVICORONA

나무싸리버섯속
Clavicorona 

 좀나무싸리버섯

고약버섯과
CORTICIACEAE 

가는주름버섯속
Phlebia 

 가는주름버섯.

송곳버섯속
Mycoacia
(=Sarcodonti)

 긴송곳버섯

꽃고약버섯속
Cylindrobasidium 

 꽃고약버섯

껍질고약버섯속
Peniophora 

 분홍껍질고약버섯

꽃구름버섯과
STEREACEAE 

꽃구름버섯속
Stereum 

 갈색꽃구름버섯. 꽃구름버섯.

턱수염버섯과
HYDNACEAE

턱수염버섯속
Hydnum

 턱수염버섯

바늘버섯과
STECCHE-
RINACEAE 

바늘버섯속
Steccherinum 

 바늘버섯

산호침버섯과
(노루궁둥이과)
HERICIUMACEAE

산호침버섯속
(노루궁둥이속)
Hericium

 노루궁둥이

굴뚝버섯과
(사마귀버섯과)
Thelephoraceae

사마귀버섯속
Thelephora 

 사마귀버섯 단풍사마귀버섯

갈색깔때기버섯속
Hydnellum 

 황갈색깔때기버섯 고리깔때기버섯 향기갈색깔때기버섯

살쾡이버섯속
Phellodon 

 살쾡이버섯

노루털버섯속
Sarcodon 

 무늬노루털버섯 향버섯(능이)

아교버섯과
MERULIACEAE 

아교버섯속
Merulius 

 아교버섯

꽃송이버섯과
Sparassidaceae 

꽃송이버섯속
Sparassis 

 꽃송이버섯

불노초과
GANODER-
MATACEAE 

불노초속
Ganoderma 

 자흑색불로초. 불로초(영지).

방패버섯과
SCUTIGERACEAE 

방패버섯속
Albatrellus

 회청색방패버섯 꽃방패버섯.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구멍장이버섯속
Polyporus 

 좀벌집버섯. 벌집버섯.

겨울우산버섯속
Polyporellus 

 노란대겨울우산버섯

흰살버섯속
Oxyporus 

 이끼흰살버섯.

반달버섯속
Hapalopilus 

 노란반달버섯

구름버섯속
Coriolus 

 구름버섯. 송곳니구름버섯.

조개껍질버섯속
Lenzites 

 조개껍질버섯.

조개버섯속
Gloeophyllum 

 조개버섯

미로버섯속
Daedalea 

 띠미로버섯

송편버섯속
Trametes 

 송편버섯

간버섯속
Pycnoporus 

 간버섯. 주걱간버섯.

말굽버섯속
Fomes

 말굽버섯

잔나비버섯속
Fomitopsis 

 넓적잔나비버섯. 벽돌빛잔나비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소나무잔나비버섯. 장미잔나비버섯.

잔나비걸상버섯속
Elfvingia

 잔나비걸상버섯

유관버섯속
Abortiporus 

 유관버섯(미로버섯부치)

한입버섯속
Cryptoporus 

 한입버섯

매꽃버섯속
Microporus 

 메꽃버섯부치

도장버섯속
Daedaleopsis 

 도장버섯. 삼색도장버섯. 때죽도장버섯

덕다리버섯속
Laetiporus

 덕다리버섯 붉은덕다리버섯

푸른손등버섯속
Oligoporus 

 푸른손등버섯.

개떡버섯속
Tyromyces 

 주황색개떡버섯 명아주개떡버섯

해면버섯속
Phaeolus 

 해면버섯

재목버섯속
Fomitella 

 아까시재목버섯

옷솔버섯속
Trichaptum 

 기와옷솔버섯. 옷솔버섯

겨우살이버섯속
Coltricia 

 톱니겨우살이버섯

줄버섯속
Bjerkander

 흰둘레줄버섯

잎새버섯속
Grifola

  잎새버섯(무이버섯)

소나무비늘과
HYMENOC-
HAETACEAE 

소나무비늘버섯속
Hymenochaete 

 적황색소나무비늘버섯. 무늬소나무비늘버섯.

시루뻔버섯속
Inonotus 

 기와층버섯. 황갈색시루뻔버섯

진흙버섯속Phellinus

 찰진흙버섯  말똥진흙버섯(상황버섯:중국)  목질진흙버섯(상황버섯:일본)

균계 →진핵균아계 →진균문 →담자균아문 →복균강

버섯이름

말불버섯목
LYCOPERDALES 

말불버섯과
LYCOPERDACEAE 

말불버섯속
Lycoperdon 

 icon04.gif비늘말불버섯 icon03.gif말불버섯 icon03.gif좀말불버섯

댕구알버섯속
Lasiosphaera 

 icon03.gif댕구알버섯

말징버섯속
Calvatia 

 icon03.gif말징버섯

경단버섯속
Bovista 

 icon04.gif쌀경단버섯

방귀버섯과
GEASTRACEAE 

방귀버섯속
Geastrum 

 icon04.gif목도리방귀버섯. icon04.gif테두리방귀버섯

어리알버섯목
SCLERODERMATALES 

어리알버섯과
(SCLERODERMATACEAE) 

어리알버섯속
Scleroderma 

 icon02.gif황토색어리알버섯

모래밭버섯과
Pisolithaceae 

모래밭버섯속
Pisolithus 

 icon04.gif모래밭버섯

먼지버섯과
ASTRAEACEAE 

먼지버섯속
Astraeus 

 icon04.gif먼지버섯

연지버섯목
TULOSTOMATALES 

연지버섯과
CALOSTOMATACEAE 

연지버섯속
Calostoma 

 icon04.gif연지버섯

찻잔버섯목
NIDULARIALES 

찻잔버섯과
NIDULARIACEAE 

주름찻잔버섯속
Cyathus 

 icon04.gif주름찻잔버섯. icon04.gif좀주름찻잔버섯

새둥지버섯속
Nidula 

 icon04.gif새둥지버섯

말뚝버섯목
PHALLALES

말뚝버섯과
PHALLACEAE 

뱀버섯속
Mutinus 

 icon04.gif뱀버섯

말뚝버섯속
Phallus 

 icon04.gif노란말뚝버섯. icon03.gif말뚝버섯 icon04.gif붉은말뚝버섯

망태버섯속
Dictyophora 

 icon03.gif노랑망태버섯.

바구니버섯과
CLATHRACEAE 

세발버섯속
Pseudocolus 

 icon04.gif세발버섯.

발톱버섯속
Linderia 

 icon04.gif게발톱버섯

알버섯과
Rhizopogonaceae

알버섯속
Rhizopogon 

 icon03.gif알버섯

원시말뚝버섯과
Protophallaceae 

찐빵버섯속
Kobayasia 

icon04.gif흰찐빵버섯

균계 →진핵균아계 →진균문 →자낭균아문

버섯이름

반균강

주발버섯목
PEZIZALES

주발버섯과
PEZIZACEAE 

주발버섯속Peziza 

 icon03.gif주발버섯

접시버섯과
PYROMENATACEAE 

접시버섯속
Scutellinia 

 icon04.gif접시버섯

꽃접시버섯속
Melastiza 

 icon04.gif빨강꽃접시버섯

들주발버섯속
Aleuria 

 icon04.gif대들주발버섯. icon04.gif들주발버섯

술잔버섯과
SARCOSCYPHACEAE 

술잔버섯속
Sarcoscypha 

 icon04.gif술잔버섯

작은입술잔버섯속
Microstoma 

 icon04.gif털작은입술잔버섯

곰보버섯과
MORCHELLACEAE

곰보버섯속
Morchella 

 icon03.gif곰보버섯

안장버섯과HELVELLACEAE

안장버섯속Helvella 

 icon03.gif긴대안장버섯 icon03.gif안장버섯 icon03.gif주름안장버섯

긴대주발버섯속
Macropodia 

 icon04.gif긴대주발버섯

땅해파리속
Rhizina 

 icon04.gif파상땅해파리

고무버섯목
HELOTIALES 

콩나물버섯과
GEOGLOSSACEAE 

넓적콩나물버섯속
Spathularia 

 icon04.gif털넓적콩나물버섯. icon04.gif넓적콩나물버섯

투구버섯속
Cudonia 

 icon04.gif투구버섯

균핵버섯과
SCLEROTINIACEAE 

균핵버섯속
sclerotinia 

 icon04.gif별빛균핵버섯

두건버섯과
(LEOTIACEAE)

두건버섯속
Leotia

 icon04.gif연두색콩두건버섯. icon04.gif콩두건버섯

황색고무버섯속
Bisporella 

 icon04.gif황색고무버섯

짧은대꽃잎버섯속
Ascocoryne 

 icon04.gif짧은대꽃잎버섯

고무버섯속
Bulgaria 

 icon03.gif고무버섯

살갗버섯과
Dermateaceae 

녹청균속
Chlorociboria 

 icon04.gif녹청균

육좌균목
HYPOCREALES 

육좌균과
Hypocreaceae 

사슴뿔버섯속
Podostroma 

 icon04.gif붉은사슴뿔버섯

알보리수버섯속
Nectria 

 icon04.gif알보리수버섯

핵균강
PYRENO-
MYCETES 

맥각균목
CLAVICIPITALES 

동충하초과
CLAVICIPITACEAE

동충하초속
Cordyceps  

 icon01.gif노린재동충하초. icon01.gif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속
Isaria 

 icon01.gif눈꽃동충하초

콩버섯목
SPHAERIALES 

콩꼬투리버섯과
XYLARIACEAE 

콩꼬투리버섯속
Xylaria 

 icon04.gif젓가락콩꼬투리버섯. icon04.gif콩꼬투리버섯.icon04.gif다형콩꼬투리버섯. icon04.gif실콩꼬투리버섯

콩버섯속
Daldinia 

 icon04.gif콩버섯

균계 →진핵균아계 →점균문 →점균강

아강

버섯이름

원생점균아강
CERATIOMYXOMYCETIDAE 

산호점균목
CERATIOMYXACEAE

산호점균과
Ceratiomyxaceae

산호점균속
ceratiomyxa

 icon04.gif산호점균

진성점균아강
MYXOGASTROMYCETIDAE

자주색솔점균목
STEMONITALES

자주색솔점균과
Stemonitaceae

자주색점균속
Stemonitis

 icon04.gif자주색솔점균

갈적색털점균목
TRICHIALES

갈적색털점균과
Trichiaceae

부들점균속
Arcyria

 icon04.gif부들점균

그물점균속
Hemitrichia

 icon04.gif그물점균

콩점균목
LICEALES 

가로등점균과
Cribrariaceae

가로등점균속
Dictydium

 icon04.gif가로등점균

딸기점균과
Reticulariaceae 

딸기점균속
Tubifera 

 icon04.gif산딸기점균

콩점균속
Lycogala 

 icon04.gif분홍콩점균

망사점균목
PHYSARLES 

망사점균과
Physaraceae 

망사점균속
Physarum 

 icon04.gif황색망사점균

벌레알점균속
Leocarpus 

 icon04.gif벌레알점균

위의 내용은
분류체계는 "한국의 버섯"(박완희 지음)을 따랐으며
내용은 "한국의 버섯" "농촌진흥청 균이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이오인포매틱스센터" 등의 자료를 참조하였습니다.

 

과  명 : 초롱꽃과 

학  명 : Codonopsis lanceolata(S. et Z) Traut

한약명 : 沙蔘, 羊乳


 < 성상 및 이용법 >

더덕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굵은 육질의 덩이뿌리를 갖고 있는데 이를 식용으로 한다. 줄기는 담홍색이며 1~2m가량 자라며 하얀색의 액이 있는데 독특한 향을 갖고 있다.  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는 3~10cm, 너비는 1.5~4cm로 4개의 잎이 호생 한다. 꽃은 8-9월에 피며 종모양으로 5개의 꽃받침이 있고 안쪽은 자갈색의 반점이 있어 아름답다.

  

식품적 가치도 높아 인, 치아민, 리보플라빈, 단백질, 지질, 당류, 철 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 사포닌과 잎에 폴라보노이드가 있어 최근 동물실험 결과 핏속의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함량을 낮추며 혈관확장 및 혈압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예부터 사삼(沙蔘)이라고 하여 5蔘(人蔘, 玄蔘, 蔓蔘, 苦蔘, 沙蔘)중 하나로 여겨질 만큼 한방효과도 뛰어나 해열, 강장, 거담효과가 있고 최근에는 항암효과와 변비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약용을 겸한 건강식품으로 매우 인기가 높은 산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만이 더덕을 사삼(沙蔘)이라고 하며 중구에서는 잔대를 남사삼(南沙蔘), 갯방풍 뿌리를 북사삼(北沙蔘)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잔대를 사삼(沙蔘)이라고 하는 등 나라에 따라 다소 틀리게 불리고 있기도 하다. 한편 중국에서도 더덕의 항암효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상해중의학잡지(上海中醫學雜誌)에서는 폐암에 더덕 30g, 즙채30g,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30g, 만삼(蔓蔘)12g, 백출(白朮)12g, 봉방(蜂房)12g, 복령(茯笭)15g, 생의이인(生의苡仁)15g을 달여서 복용하면 좋다고 하며 중초약방치종류수책(中草藥防治腫廇手冊에 의하면 더덕 30g, 하고초(夏枯草)30g, 해조(海藻)9g, 곤포(昆布)9g, 조각9g, 아신갑9g, 목담피(牧丹皮)6g, 산자고(山慈고)6g, 백개자(白芥子)2.4g을 달여 복용하면 갑상선암에 좋다고 한다. 요리는 주로 구이, 찜, 절임, 무침 등으로 조리하여 이용하나 다양한 가공식품도 개발 또는 시판 중에 있다.

                      <표3-1> 더덕의 일반식품성분

                                                             (100g당)

열량

수분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

회분

치아민

리보플라  민

나이아신

칼슘

Kcal

%

g

g

g

g

g

mg

mg

mg

mg

mg

mg

 84

82.2

2.3

3.5

 4.5

6.4

1.1

121

2.1

0.12

0.22

0.8 

 90


 <재배현황>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더덕은 도라지와 함께 포장에서 재배를 하기 시작한 가장 오래된 산채중의 하나이다. 현재도 전국의 산채재배면적인 4,703ha 중  17%인 844ha 가 재배되고 있는데 이는 재배면적이 가장 많았던 ’91년도의 1,881ha에 비하면 절반밖에 안되는 수준으로 이렇게 면적이 감소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중국 등으로 부터 국내가격보다 싼 더덕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입산 더덕의 품질이 매우 열악하여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관계로 다시 국내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재배기술>

1) 재배적지 및 포장선정

더덕은 뿌리가 곧고 길게 뻗을 수 있어야 되기 때문에 토심이 30~50cm 정도로 깊고 토양습도 유지가 잘되면서도 물 빠짐이 잘되는 토양인 부식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는 모래참흙이 좋다. 이렇지 못한 토양일 경우에는 유기물을 다량으로 시용하거나 배수가 잘되도록 한 다음 재배를 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더덕은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나 광포화점이 70Klux로 햇빛을 좋아 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음지보다는 양지를 좋아하며 발아적온이 15 -20℃로 다른 채소 종자보다 낮은 온도를 좋아하는 등 비교적 서늘한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해발 250m이상이 적지라고 할 수 있다.


2) 종자준비 및 처리

10a당 필요한 종자는 직파인 경우에는 2~3ℓ 이식재배 시에는 33~40㎡(10~13평)정도의 묘판이 필요하고 평당 0.18ℓ를 기준 할 경우 1~2ℓ의 종자가 소요된다. 채종은 10월 중하순에 꼬투리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털어 정선을 하면 된다. 더덕종자는 채종 즉시는 배가 미숙되여 있기 때문에 발아가 되지 않고 120일 이상 되어야 발아율이 높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실제 재배하는 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채종 즉시 파종이 되여도 다음해 봄에 발아가 될 때까지는 토양 내에서 자연히 후숙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종 즉시 가을에 파종할 때에는 별도의 종자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나 종자를 보관하였다가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종자처리를 하여야 만 된다. 


종자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25% 이하의 발아율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저온처리를 할 경우 노지에서 월동한 처리와 같은 수준의 발아율을 보이며 무처리에 비해 매우 높아지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저온처리 되지 않은 종자를 지베렐린 처리 할 경우 무처리에 비해 100ppm이상의 농도에서 2배정도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요약하면 종자를 젖은 채로 20일 정도 저온처리를 하여 파종하거나 파종직전 GA 100ppm에 24시간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려 파종하는 것이 좋다.


                     <표3-3> 종자처리에 따른 더덕 종자의 발아율 비교.

온도별(무처리)

저온처리(2℃) 효과

지베렐린 효과

온도

발아율

기간

발아율

농도

발아율

  15℃

20 

25 

30 

-  

  25.5%

24.3 

11.8 

 2.8 

  -  

   3일

 5     

10     

무 처 리 

노지월동

  62%

94  

93  

 7  

93  

    5ppm

 50

100

500

무처리

 12.8%

21.0

38.3

32.5

19.0



 3) 재배작형

더덕의 재배작형은 직파재배 및 이식재배가 있는데 직파재배는 재배기간이 긴 반면 갈림 뿌리가 생기지 않아 상품가치가 높고, 이식재배는 갈림 뿌리의 발생이 많고 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은 있으나 한정된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경영면에서 유리하며 뿌리의 비대생장이 직파보다 월등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재배작형은 각자의 현실을 감안하여 유리한 재배법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파종 및 이식 방법

포장선정과 종자준비가 되였으면 파종을 하여야 되는데 이는 앞에서 설명한 재배작형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여기서는 육묘이식 재배와 직파재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1) 육묘이식 재배

육묘이식 재배는 묘판에서 1년간 육묘를 한 다음 본포에 정식(이식)하는 방법으로 먼저 묘판을 선정하고 기비로서 40㎡(10a 이식시 소요면적)당 퇴비100kg, 과석4kg, 초목회8kg 정도를 전면에 골고루 시비한 다음 경운, 정지한 후 넓이 90~120cm, 높이 20~30cm의 두둑을 지어 산파하거나 6~10cm의 골을 켜서 조파를 한다. 파종은 종자가 작고 가벼우므로 바람이 없는 날을 골라 뿌리거나 40㎡당 준비된 종자 1~2ℓ에 종자량의 2~3배의 톱밥 또는 가는 모래와 혼합하여 뿌려주는 것이 좋다. 파종이 끝나면 흙체(5~10mm)로 친 고운 흙으로 종자가 보이지 않도록 복토를 한 후 볏짚으로 피복하여 표토의 건조와 굳어짐을 막아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발아를 촉진시킨다. 보통 20일이면 발아가 되는데 발아가 되어 3~5cm자라면 피복한 짚을 걷어주되 바람이 불거나  햇볕이 강할 때는 고사할 염려가 있으므로 흐린 날을 골라 걷어 주도록 한다.


파종은 11월에서 5월까지 가능하나 이른 봄에 하는 것이 좋다. 건전한 묘를 육성하는 것은 이식재배 후 수량에 영향을 주므로 가능한 한 뿌리의  발육을 좋게 하도록 관리하도록 한다.   이식(정식)은 파종한 해 가을 또는 다음해 이른 봄에 캐서 갈라진 뿌리가 없고 너무 적지 않은 것을 골라 정식한다. 종근을 채취할 때는 뿌리가 절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되는데  절단된 종근을 심게 되면 가지뿌리 또는 뿌리가 둥근 것이 생겨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본포는 10a당 퇴비 1,500Kg이상 계분 150Kg, 용성인비 40Kg, 요소와 염화칼리를 각각 10Kg씩 기비로 시용한다. 더덕은 유기물이 수량과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므로 퇴비 시용을 많이 하는 것을 특히 유의해야 하며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뿌리 조직이 연약해져 부폐가 많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덕 재배기술

1. 더덕 재배방법

 

가. 재배의 종류

 

1) 종근생산재배 : 씨앗으로 파종하여 1년간 육묘재배

2) 종근이식재배 : 1년간 육묘된 묘를 이식하여 1∼2년간 재배

3) 직파재배 : 종자로 직파하여 2∼3년간 재배

4) 산간지재배 : 산간지에 종자를 방파하여 4∼5년간 재배

※ 재배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지만 초심자는 종근재배를 직접하는 방법이 안전한 방법이나 재배에 주의하지 않으면 실패하 는 경우가 많다.

 

나. 식재 및 파종시기

 

0 봄식재 및 파종 : 3월중순∼5월초순

0 가을식재 및 파종 : 10월중순∼결빙기까지

1) 봄파종은 꽃서리 30일전이 좋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다.

2) 가급적이면 봄보다 가을식재와 파조이 좋다.

 

다. 우량종자 및 종근선별법

 

1) 우량종자 선별법

o 씨방이 크고 윤택이 나는 것을 채취

o 씨앗이 고르고 크고 색갈이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 나는 것

o 감촉이 부드럽고 전반적으로 윤기가 나는 것

o 씨앗의 무게가 1ℓ에 추파 320g이상, 춘파 280g이상 나가는 것

2) 우량종근 선별법

o 곁가지가 없이 곧아야 하며 기장이 10Cm이상 된 것

o 직경(뇌두부분)이 7mm이상이고 눈(뇌두)이 정확히 붙어있는 것

o 선충피해를 입지 않은 것

 

※ 종근 전체에 상처가 났거나 부러진 종근, 반점이 생긴 종근이나 선충피해를 입은 종근을 심으면 정상적인 발육이 되지않으므로 철저하게 선별하여 심는다.

 

라. 밭갈이 방법

 

경운은 가급적 3회이상 깊게 경운·정지를하여 토질을 부드럽게 한다.

더덕재배이랑 만들기 : 두둑 60-75Cm,두둑높이 30Cm,고랑널비 30Cm

석회는 토양산성을 중화하여 주는 효과가 있어서 사용하여 왔으나 석회는 토양산성에 중화효과가 1년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석회를 사용할 경우 10∼15일 전후 경운후 기비 시용

파종 및 식재 10∼15일전 최종 경운할 때 준비한 밑거름을 고루 뿌리고 깊게 경운·정지한다.

 

마. 더덕 파종

 

1) 직파재배의 파종시기 : 직파재배는 가을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o 가을파종 : 10월하순∼12월초순(결빙전)

o 봄 파 종 : 3월하순∼4월하순

2) 직파재배의 적정토질

대체적으로 종근 생산재배에 알맞는 적정토질과 비슷하나 한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은 종자가 발아 및 발근하여 성장할 때 뿌리의 생장점이 단단한 토질이나 돌에 닿으면 분리가 되어 잔가지가 많아 발생한다. 따라서 직파재배나 종근 생산재배는 토질이 부드럽고 토심이 깊으며 배수가 잘되는 토질이어야 한다.

3) 종자 직파재배의 종자 소요량 : 3∼5ℓ/10a당

4) 종자소독방법 : 물 5ℓ에 지베렐린 1∼2g, 종자소독약 호마이수화제 30g

종합영양제 : 10g(효모)

※ 잘 섞어서 종자를 6∼12시간 담구어 둔다.

5) 직파재배 비닐멀칭

직파재배에서는 잡초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비닐멀칭재배 방법을 연구하여 왔다.

*.비닐멀칭재배시 유의사항

o 가스발생 : 완전발효된 유기질비료 및 퇴비시용후 7∼10일 지난 뒤 파종

o수분공급: 더덕은 습해에 약하면서도 수분공급을 요구하는 작물이다. 비닐멀칭재배시 두둑에 분무호스를 설치하고 수분 부족시 수분을 공급하면 생육이 양호하다.

o 비닐멀칭재배의 종류

- 흑색비닐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어서 사용할 경우 잡초발생은 적으나 지온상승작용을 하기 때문에 비닐위에 흙을 약간 덮어주어 비닐이 토양에 밀착되도록 하고 그위에 짚을 1Cm정도 덮어주고 더덕종자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면 발아에 성공할 수 있다. 종자가 발아된후 지주 세울 때 고랑에 볏짚을 깔아주면 효과적이다.

o 흑백 2중 유공비닐 멀칭재배

흑색과 백색 2중 비닐에 구멍이 뚫린 비닐로서 흑색을 지면쪽으로 멀칭하여 재배한다. 분무호스를 두둑에 설치하면 수분공급에 용이하며 지온상승을 예방하며 잡초발아 억제의 효과가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6) 직파재배 파종방법

준비된 두둑에 비닐을 씌우고 가로·세로 7X7Cm 로 뚫되 구멍직경은 3Cm 정도가 알맞다. 더덕종자를 1구멍에 3∼5개씩 파종하고 잘 발효된 퇴비 또는 톱밥비료와 생토를 1:1로 섞어서 구멍을 덮어 준다. 볏짚을 1Cm두께로 덮어주고 발아될 때 까지 수분을 공급해 준다.

7) 직파재배의 솎음방법

덕은 종자가 친화성이 있어 서로 붙게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 및 성장에도 지장을 주므로 더덕이 4∼5Cm로 자랐을 때 솎음 작업을 한다.

 

바. 재배방법

 

1) 직파 재배법 : 종자를 직파재배하는 방법으로 발아율이 저조하다.

2) 육묘이식재배법 : 파종한후 육묘이식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다음에 기술한다.

o 종근생산재배 : 1년육묘 : 1년육묘

o 종근이식재배 : 종근이식후 1∼2년재배

o 직파재배 : 직파후 2∼3년재배

o 산간지 재배 : 산간지에 씨앗 파종 4∼5년재배

 

사. 육묘이식재배

 

1) 묘판설치

o 배수가 좋고 토심이 깊은 사양토,식질양토를 선택한다.

o 본포 퇴비 112Kg/10a과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 3.7Kg, 초목회 7.5Kg을 뿌리고 경운·정지한다.

o 이랑나비 120Cm, 두둑높이 30Cm정도로하고 가급적 모판흙을 부드럽게하여 뿌리가 잘 뻗을수 있도록 한다.

2) 종자소독

o 채종후 120일이 지난후 2∼5℃에 7일 이상 저온처리 하거나 노천매장한다.

o 지베렐린 수용액 5ppm에 24시간 침지소독한다.

※ 저온처리 효과(2℃) : 3일 62%, 7일 94%, 10일 93%, 노지 93% 발아

3) 파종기

o 봄파종 : 중남부 평야지 3월하순∼4월상순, 고랭지 4월중순

o 가을파종 : 10월하순∼11월하순

o 파종량 : 협잡물이 완전히 제거된 종자 40㎡ 150∼200g을 파종

4) 파 종

o 파종방법

- 산파법과 10Cm간격으로 골을 만들어 파종하는 조파법이 있는데 조파가 관리에 용이하다

- 파종시 종자가 가벼우므로 잔 모래와 1:4로 섞어서 고루게 파종하다.

o 복토 및 피복

- 잘 썩은 퇴비와 모래참흙 1:2(용량비)로 고루 섞어서 체로 상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게 0.5Cm정도로 복토를 해주고 짚이나 건초를 덮어준다.

 

< 사삼육묘시 묘판흙과 파종기별 생육 >

 

모판흙

파종기(월일)

입모수 (개/0.1㎡)

근장(Cm)

근태(Cm)

자근수(개)

근 중(g)

상 토

3. 20

4. 3

4. 24

평균

105

118

89

105

16.5

13.9

14.0

14.8

1.08

0.94

0.88

0.97

1.6

1.7

0.3

1.2

8.9

6.9

5.4

7.1

밭 흙

3.20

4. 3

4.24

평균

93

97

79

90

10.1

10.8

8.5

9.8

1.06

0.82

0.67

0.85

2.1

2.7

1.6

2.2

8.2

5.1 2.9 5.4

5) 종근

o 곁가지가 없고 곧을 것, 기장이 10Cm이상이며 두뇌부 7mm이상

o 눈이 정확히 붙어있고 상처 및 선충피해가 없는 것

6) 시비량

o 기비(10a) : 본포 퇴비 1,500Kg 과 질소, 인산, 칼리 6Kg을 시용한 경우 수량이 많다.(질소비료는 70%를 준다.)

o 추비 : 꽃피기전 7월중하순경에 나머지 30%를 준다.

7) 시비방법 : 밑거름은 전층시비하고 웃거름은 비오기전 맑은날 이랑사이에 살포하여 비가오면 스며들도록하는 방법과 이랑의 옆을파고 시용한후 덮어주는 방법이 있다. 이때 주의할점은 뿌리부분에 너무 가까이 파면 뿌리에 상처를 받아 썩으므로 주의할 것.

 

<더덕 밑거름 기준표> (전국 더덕 경작인 협회 추천량/10a)

 

품 명

규 격

단 위

수 량

비 고

톱밥발효비료 발 효 계 분 유박, 원두박 부식, 촉진제 붕 사 복합비료(17-21-17) 용성인비(용과린) 황 산 가 리 마 그 네 슘 정 제 골 분 맥 반 석 미량원소복합제

25Kg

20

20

 

 

25

25

25

20

 

 

500

Kg

Kg

Kg

Kg

Kg

100-150

20-30

20-30

10

3

3

3

1

2

50

10

3

풍성이표

바이므·후드

 

8) 지주 및 더덕망 설치

 

o 지주는 가능하면 발아후 빨리 세워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o 지주세우는 시기

- 종자파종 40∼50일전후(가을파종 : 5월초순)

- 종근이식 : 이식후 30∼40일사이(가을이식 : 4월중하순)

- 지주높이 : 1.8∼2.0m가 이상적이나 너무 높으면 잎·줄기가 너무 무성하게 자라서 뿌리비대에 영향이 미친다.

- 지주세우는법 : 두둑길이 1.5∼2.0m 간격으로 대나무나 잡목 지주를 세우고 위는 14번 철사로 팽팽하게 메어주며 중간과 밑에는 18번 철사로 연결하여 준다. 철사를 고정시킨후 나이론끈이나 더덕망등으로 씌워서 팽팽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건축에 사용하는 9mm굵기의 철근을 길이 4.5∼5.0m로 절단하여 두둑넓이가 60Cm경우는 폭을 40∼45Cm로 하고 높이를 2m로 +-+ 모양으로 구부려서 두둑에 세우고12번 철사로 묶어서 두둑 끝에 말목을 박아 고정시킨다. 그 다음 18번 철사로 간선을 두르고 그위에 더덕망이나 지주 및 망 설치 요령

 

2. 병충해 방제

 

가. 병해

 

1) 낙엽성 반점병

o 우기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우기가 끝나면 급격하게 진전되며 심할때는 줄기만 남고 잎이 모두 떨어져 버린다.

o 예방위주로 안트라콜 400배액이나 옥시동 1,000배액 뿌려서 방제한다.

2) 흰가루병

o 장마가 끝나고 8월중순 이후에 많이 발생된다.

o 베노밀 수화제, 포리옥신 또는 지오판 수화제 1,000배액을 뿌려 준다.

3) 입고병 : 육묘시 발생 - 종자소독, 다찌가렌 1,000배액 살포

4) 갈반병 : 7월상순∼8월하순 발생(잎이 황변후 검은 반점이 생겨 낙엽

o 포리옥신, 포리동수화제 1,000배액 또는 캡탄수화제 500배액 살포

5) 녹병 : 7월하순∼9월중순 발생(잎 뒷면 노란반점이 급진전후 줄기고사)

o 티디폰(바리톤) 수화제 800∼1,000배액

6) 근부병 : 6월하순∼8월하순(배수불량 및 동해, 충해, 비료피해(농용신 살포)

7) 기근발생

o 뿌리끝이 절단되었을 때 , 신장중인 뿌리가 돌에 닿았을 때

o 뿌리끝이 화학비료에 닿았거나 미숙퇴비의 가스피해가 있을 때.

o 토양수분의 변화가 있을때나 외부 자극의 생리적인 현상.

8) 하고현상 : 원인과 대책은 미확인 됨.

 

나. 충해

 

1) 응애 : 5월상순부터 발생되면 살비제로 구제해야한다.

3. 수확 및 조제

 

가. 수확기

 

1) 본밭에 심은후 2∼3년째 가을에 하는데 생육이 정지된 10월중하순∼11월 상순에 한다.

2) 2년생더덕이면 수확할 때 개당 30∼50g이 되어 식용이나 약용으로서 이상적인 크기가 된다.

<사삼재배 년수와 수량>

 

재배년수

총근장(Cm)

주근장(Cm)

근경(Cm)

분지수(개)

근중(g/개)

수량(Kg/10a)

1년

17.5

9.6

1.9

0.8

23.0

375

2년

15.3

9.1

2.5

1.5

56.4

919

3년

15.3

9.5

3.3

1.6

89.9

1,463

 

3) 수확할 때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캐내고 큰 뿌리와 1년간 더 재배하여 수확한다.

 

나. 조제 및 건조

 

1) 조제 : 약재로 가공할 때 껍질을 벗기는 방법은 망사로된 장갑을 끼고 훑으면 껍질이 약간벗어지고 또 딱딱한 플라스틱 솔로 문지르면 껍질이 벗겨진다.

2) 건조 : 햇볕이 말릴때는 별 다른 문제가 없으나 화력건조시는 너무 고온으로 말리면 색깔이 검게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1. 생육특성 및 결과습성
    가. 생육특성
   
(1) 정아우세성(頂芽優勢性)이 강하여, 한 가지의 끝눈(頂芽)과 그 아래 2∼3번째 눈은 세력이 강한 새로운 가지로 자라지만 아래쪽의 눈은 단과지(短果枝)를 형성하거나 숨은눈(잠아)으로 된다. 따라서, 하나의 자람가지(발육지)의 중앙부위에서 새로운 자람가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자름전정이 필요하다.
(2) 매실나무는 복숭아나 살구나무에서와 같이 지표면에 가까운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세력이 위쪽의 원가지나 덧원가지보다 강해지기 쉽다. 따라서, 원가지를 선정할 때 제1원가지는 원줄기보다 약하고 제3원 가지보다도 약한 가지를 선택하지 않으면 윗쪽의 원가지와 원줄기 연장지는 해를 거듭함에 따라 약하게 되어 수형이 나빠지게 된다. 원가지에 배치시키는 덧원가지도 같은 현상을 나타낸다.
(3) 매실나무는 잎눈이 많고, 숨은눈의 발아 능력도 오래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신초 발생이 많다. 그러나, 성목이 되어도 원줄기와 큰 가지로부터 웃자람가지나 자람가지와 같은 세력이 강한 가지의 발생이 많아 수형을 어지럽히기 쉽다.
(4) 휴면기간이 짧아 꽃피는 시기가 빨라 결실불안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실의 성숙과 수확기가 빠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과다 결실이 되어도 수확 이후에 저장양분을 축적시킬 수 있는 기간이 길어 나무의 세력을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거리 발생이 적다.
     
    나. 결과습성(結果習性)
       매실나무의 꽃눈은 복숭아나무나 살구나무에서와 같이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홑눈(單芽) 또는 겹눈(複芽)으로 형성된다(그림1). 꽃눈의 분화는 7월부터 8월 중순에 이루어져 대부분의 꽃기관이 낙엽 전에 완성되어 휴면에 들어갔다가 다음해 봄에 개화한다. 꽃눈이 분화하여 완전한 꽃이 되는 시기는 1월 중순경이지만 나무의 영양상태에 따라 꽃눈으로 되기도 하고 잎눈으로 되기도 한다. 단과지와 중과지에는 홑꽃눈 또는 겹꽃눈이 많이 붙고 세력이 강한 중과지에는 꽃눈과 잎눈이 함께 붙는다. 세력이 약한 단과지에는 끝눈만 잎눈이 되고 나머지는 꽃눈만이 붙으나 심하면 뾰족한 가시모양의 가지로 된다.
꽃눈이 많이 붙는 단과지나 중과지는 5월 하순에는 신장이 끝나 장과지에 비해 잎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 꽃눈 발달이 좋은 반면 장과지와 웃자람가지는 8월 늦게까지 자라게 되므로 양분의 축적보다는 소비가 많아 꽃눈 발생 수가 적어 결실량도 적게 된다.
     
   
그림 1. 매실나우??결과습성
     
  2. 수형
     매실나무의 기본적인 수형에는 주간형(主幹形)과 개심자연형(開心自然形)이 있으나 주간형은 나무키가 높아 이를 변형한 변칙주간형(變則主幹形)으로 수형을 바꾸기도 한다. 그러나 매실나무는 개장성(開張性)이 있으므로 복숭아처럼 나무키를 낮추는 개심자연형으로 가꾸어 나가는 것이 보통이지만 배상형에 비해 작업효율이 떨어진다(그림 2, 표 1).
     
    가. 개심자연형(開心自然形)
     
   
그림 2. 개심자연형의 수형 구성
     
      개심자연형에서는 3개의 원가지를 형성시키는 것이 기본이고, 그 원가지마다 연차별 계획에 따라 2∼3개의 덧원가지를 형성시킨다. 원가지 수가 많으면 어린 나무일 때에는 빈곳이 없어 수량이 많으나 성목이 되면 수관 내부가 대부분 골격지로 채워져 수량이 낮아지고 최종적으로는 수형을 그르치게 된다.
     
     
표 1. 전정의 목표와 방법
구 분
배상형
개심자연형
수 고(m)
수관면적(㎡)
3.0
56.5
4.5
55.0
1m 이하
1m 이하
1m 이하
1∼2m
1∼2m
1∼2m
2m 이상
2m 이상
2m 이상


수량(㎏)
시간(분)
걸음수(보)
수량(㎏)
시간(분)
걸음수(보)
수량(㎏)
시간(분)
걸음수(보)
수량(㎏)
시간(분)
걸음수(보)
3.5
10
110
64.2
47
508
6.5
8.5
115
84.5
66
782
0
0
0
23.7
21
482
45.7
71.7
665
69.4
92
1147
작업효율(㎏/1시간)
76.8
45.4
    자료 : 松波. 2000. 과실일본 55(2)
주) 품종 : 백가하, 배상형 17년생, 개심자연형 30년생
       
      (1) 1~2년째의 정지
         충실한 1∼2년생 묘목을 심었을 때는 지표면으로부터 60∼70㎝높이에서 잘라 충실한 많은 새가지를 발생시켜 원가지 후보지로 키운다. 그러나, 뿌리의 발달이 빈약하거나 눈이 충실하지 못한 묘목일 때에는 짧게 남기고 잘라 새로 발생된 새가지 중에서 세력이 가장 좋은 하나만을 키우고 나머지는 기부의 잎눈 2∼3개를 남겨두고 짧게 잘라 둔다. 이렇게 남겨진 가지로부터 다음해에 발생된 새가지 중에서 원가지 후보지를 선정하다.
묘목의 생장이 매우 좋은 경우에는 충실한 부위에서 자르고 지주를 세워 각도를 잡아 유인하여 제3원가지 후보지로 이용한다. 제1원가지의 분지(分枝) 높이는 지상 30∼40㎝로 하고, 이로부터 20㎝정도의 간격을 두고 제2, 제3원가지 후보지를 선택한다. 원가지와 원가지 사이가 좁으면 장차 바퀴살가지(車枝)가 되어 찢어지기 쉽다. 원가지를 3개로 할 때는 각각 120도의 방향으로 배치하되 개개 나무의 제1원가지는 과수원 전체로 보아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경사지에서는 제1원가지의 분지 위치를 20㎝이하로 하고, 제1원가지는 경사의 아래쪽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수고를 낮추고 제3원가지를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가지의 분지각도는 가능한 한 40∼50도 이상으로 넓은 가지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제1원가지는 50도 이상, 제2원가지는 45도, 제3원가지는 35∼40도로 하여 각 원가지간의 세력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그림 3, 4).
       
     
그림 3. 개심자연형의 원가지 발생 간격과
분지 각도
그림 4. 개심자연형의
1∼2년째 정지
       
         원가지를 선택할 때 제3원가지는 가장 세력이 강한 가지를 선택하고 제2, 제1원가지의 순으로 굵기가 상당히 차이나는 약한 가지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는 성목이 될수록 아래쪽 원가지의 세력이 위쪽의 것보다 강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원가지는 나무의 중요한 뼈대를 만드는 큰 가지로서 크고 곧게 형성되도록 전정과 유인을 실시하며, 선단은 1/3정도로 약간 강하게 잘라 주되 바깥눈을 두고 잘라준다.
       
      (2) 3~4년째의 정지
        3∼4년째의 정지는 덧원가지(副主枝)를 만드는 정지작업이다. 원가지의 선단부에서는 비교적 힘이 강하고 긴 새로운 가지가 몇 개씩 발생하므로 그중 선단의 가지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의 가지는 기부에서 잘라 내어 경쟁을 막고, 남긴 가지는 1/3정도 짧게 잘라 원가지 연장지로 한다(그림 5).
덧원가지는 한 개의 원가지에 2∼3개를 배치시키는데 제1덧원가지의 발생 위치는 원가지를 약하게 하지 않고 수관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원가지 분지부로부터 1.0∼1.5m이상 떨어진 가지 중에서 선택한다. 제2덧원가지는 제1덧원가지로부터 1.0∼1.5m이상 떨어진 반대 방향의 가지를 사용한다. 덧원가지는 원가지 연장지와 같은 나이의 가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력이 아주 약한 가지를 쓰고 알맞은 가지가 없을 때는 1년 늦게 선정하여 굵기 차이를 둔다(그림 6).
원가지 선단의 새가지는 약간 강하게 전정하여 수관 확대와 아울러 원가지의 골격을 형성해 간다. 한편 원가지의 힘이 2개로 갈라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도록 신장시킨다. 그러므로 덧원가지의 형성은 같은 해에 2개씩을 형성시키기보다는 1년에 하나씩 나무의 세력을 보아가면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5. 개심자연형의 3년째 정지
그림 6. 개심자연형의 4년째 정지
       
      (3) 5년째의 정지
         5년째의 전정도 지난해와 같이 원가지와 덧원가지를 곧게 그리고 강하게 만들기 위하여 선단부를 약간 강하게 잘라준다. 이 때에는 열매가지가 형성되는 곁가지를 형성시켜야 하는데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측면(側面)이나 사면(斜面)에서 발생한 세력이 강하지 않은 가지를 선정하되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세력을 약하게 할 수 있는 가지는 절대로 배치해서는 안된다. 원가지와 덧원가지 등면(背面)에서 나온 가지는 힘이 강하고 밑면(腹面)에서 나온 가지는 너무 힘이 없으므로 세력을 보아 자름 정도를 달리하여 곁가지를 만든다. 배치될 가지는 선단부는 짧게 기부쪽은 길게 하여 선단부로부터 기부쪽으로 긴 삼각형이 되게 배치하므로써 가지가 서로 겹치는 일이 없고 햇빛이 잘 들어오게 한다(그림 7). 수관 내부의 곁가지와 단과지군(短果枝群)은 결실된 다음 말라죽기 때문에 자람가지를 이용하여 일찍 갱신하도록 노력한다.
       
     
그림 7. 원가지 선단부의 전정
     
    나. 주간형(主幹形) 및 변칙주간형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형성 방법은 개심자연형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원가지 수를 4∼5개로 많이 붙이고 원줄기의 끝 부분은 자르지 않고 계속 유지하면서 수세를 안정시키는 수형이다.
     
   
그림 8. 변칙주간형 수형 구성

       주간형이나 변칙주간형(그림 8)은 개심자연형처럼 초기부터 원가지 후보지를 결정하지 않고 원줄기를 높이 키워가면서 여러 개의 후보지를 양성해 두었다가 위쪽의 원가지 후보지 발생 상태를 보아 가면서 어느 정도의 크기에서 원가지 수가 결정되면 원가지가 될 수 없는 불필요한 후보지는 일정한 공간을 남기고 기부로부터 솎아 내고 원가지 수를 5개 정도로 확정짓는 방법이다. 그러나, 주간형은 나무키가 높고 위로 자라기 때문에 웃자람가지의 발생이 적고, 어린 나무 때부터 나무의 세력이 안정되며 곁가지와 열매가지의 수가 많아서 일찍부터 많은 수량을 얻을 수 있으나 나무키가 너무 높기 때문에 관리상 문제점이 있는 결점이 있다.
     
    다. 기타 수형
       본에서 저수고 생력재배를 위하여 덕식수형, Y자형, 사립울타리식, T바-덕식, 수평형등의 새로운 수형도 검토되고 있다.
   
  3. 전정(剪定)
    가. 나무의 나이에 따른 전정목표
      매실나무의 전정은 나무의 나이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데 이를 요약하면 표 2와 같다.
   

 

표 2. 나무 나이별 정지, 전정의 목표와 방법

   

나무나이

전정목표

전정강약

전정방법

어린나무

(4년생까지)

원가지, 덧원가지 배치/수관 확대/열매가지 확보

가지비틀기/유인/솎음전정

젊은나무

(5∼10년생)

수관 확대/수량을 서서히 증가시킴

약간 약하게

자름전정보다 솎음전정 위주/간벌수의 축벌, 간벌 가지비틀기

성목

곁가지의 갱신/수량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

중간

자름전정과 솎음전정을 함께 실시/가지비틀기

노목

곁가지를 젊게 유지/수량 유지

자름전정 위주/큰 곁가지 솎아주기

   
    나. 전정의 순서
    (1) 나무의 상태와 모양을 잘 관찰한 다음 전반적인 전정방침을 세운다.
(2) 골격지의 선단으로부터 기부에 걸쳐 수형을 어지럽히는 웃자람 가지와 지나치게 커진 곁가지 등의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낸다.
(3) 세부적인 전정은 원가지, 덧원가지의 선단으로부터 기부쪽으로 내려가면서 전정을 실시하되, 강하거나 쇠약한 곁가지를 제거하여 곁가지와 열매가지를 배치한다. 그러나, 수형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면 강전정이 되기 쉬우므로 가까이에 가지가 없는 경우에는 약간 강한 가지라도 남기는 것이 좋다.
     
    다.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전정
       원가지와 덧원가지는 상당량의 무게를 갖게 되므로 충분한 각도를 유지시킴은 물론 그 선단부를 1/2∼1/3씩 매년 잘라 굵고 곧게 신장시켜 수관을 확대시키며,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그림 9).
   
그림 9. 덧원가지의 전정 요령
     
    라. 곁가지의 전정
       곁가지는 원가지와 원가지 사이, 덧원가지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덧원가지보다 작은 가지로 열매가지를 붙이는 가지이다. 이와 같이 곁가지가 많아야 결실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그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일조와 통풍이 불량하여 나무 내부의 잔가지가 말라죽고, 꽃눈형성이 나빠지며, 낙과가 심해져 수량이 감소된다.
한편, 세력이 왕성한 곁가지가 있으면 원가지 또는 덧원가지 등과 구별이 어렵고, 수형을 그르치며, 결실부위가 적고 수관 밖으로만 형성되어 나무의 크기에 비해 수량이 매우 적다. 그러므로 원가지 또는 덧원가지 내의 곁가지 중 웃자라 세력이 강한 곁가지는 잘라 없애거나 짧게 잘라 새로운 약한 곁가지로 만들어 간다. 또, 오래된 늙은 곁가지는 길고 늘어진 빈약한 열매가지를 발생시키고 혼잡하기만 하므로 짧게 잘라 원가지와 덧원가지 가까이에 고루 배치되도록 한다. 오래된 곁가지에 발생된 열매가지는 결실이 나쁘고, 낙과가 심하며, 과실 비대도 좋지 않으므로 3∼4년된 곁가지는 제거하여 새로운 곁가지를 만들도록 한다(그림 10).
     
   
그림 10. 곁가지의 전정 요령
     
    마. 열매가지의 형성
       매가지는 단과지, 중과지, 장과지로 구분되는데 이중에서도 단과지 수가 결실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단과지는 길이가 짧은 대신 선단부 눈만이 잎눈으로 자라고 나머지 눈은 모두 꽃눈이며, 결실률이 높고, 과실도 굵다. 반면, 세력이 좋은 중과지와 장과지는 가지의 길이에 비해 꽃눈 수가 적고, 개화가 고르지 않으며, 낙과율이 많고, 과실 비대도 나쁘므로 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단과지 수를 많게 하는 전정방법이 이루어져야 한다(표 3, 4).
단과지는 끝눈을 제외하면 모두가 꽃눈이기 때문에 한번 열매가지로 이용하고 나면 세력이 약해져 꽃눈 형성이 나빠지므로 장과지와 자람가지를 이용하여 계속 새로운 단과지를 형성시켜야 한다. 장과지와 자람가지는 그 선단의 끝눈이 잎눈으로 되어 있는 것은 단과지와 같으나 아래쪽의 눈들은 잎눈과 꽃눈을 함께 갖는 겹눈이기 때문에 선단부를 자르면 그 선단부에서 몇 개의 세력 좋은 자람가지만 나올 뿐 단과지는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그림 11). 따라서, 매실나무의 전정방법은 수량구성 가지, 즉 단과지를 형성시키는 전정이 되어야 하므로 자름전정보다는 솎음전정이 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표 3. 열매가지의 종류와 특성
열매가지 길이
저장양분
개화기
완전화
결실률
생리적 낙과
과실 크기
단과지(15㎝이하)
중과지(15∼30㎝)
장과지(30㎝이상)
많음

적음
빠름, 균일, 짧다
-
늦음, 불균일, 길다
많음
많음
적음
높음
높음
낮음
적음
-
많음

-
적음
     
   
그림 11. 가지의 지름 정도에 따른 가지 발생
     
   
표 4. 열매길이와 과실 크기 및 수확과수
열매가지
길 이
청 축
백 가 하
옥 영
갑주최소
과실크기
(g)
수확과비
(%)
과실크기
(g)
수확과비
(%)
과실크기
(g)
수확과비
(%)
과실크기
(g)
수확과비
(%)
5㎝이하
5~15㎝
15㎝이상
27.1
25.6
24.4
56.9
18.7
24.4
14.7
14.4
14.2
48.9
34.4
16.4
22.7
22.5
22.6
74.3
21.2
4.5
4.2
4.3
5.6
61.1
19.5
19.4
    주) 농업기술대계 과수편(6)
     
    바. 세력이 강한 나무의 전정
       나무의 세력이 강하고 결실이 불량한 큰 나무와 어린 나무는 웃자람 가지와 자람가지의 발생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나무를 강전정을 실시하면 다시 새로운 강한 가지만 발생되고, 열매가지의 발생은 거의 없으므로 큰 가지를 솎아주는 이외의 전정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될 수 있는 한 전정량을 적게 하고 눈 수를 많이 남기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윗부분에 발생된 세력이 강한 큰 가지는 밑부분에서 잘라 없애 수관내부까지 햇빛이 잘 들도록 해주어야 한다.
     
    사. 세력이 약한 나무의 전정
       전정으로 가지가 제거되는 정도에 따라 다음해의 가지 내에 발생되는 꽃눈 수와 불완전화 발생률이 다르게 되는데, 세력이 약한 베니사시 20년생에 대한 전정 정도에 따른 전정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지 10㎝길이에 발생된 꽃눈 수는 전정을 하지 않은 나무에서는 가장 적은 반면 중전정, 강전정, 극강전정을 실시한 나무에서는 높은 꽃눈 발생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결실률도 전정 정도가 강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5).
     
   
표 5. 전정 정도가 꽃눈 발생 및 결실률에 미치는 영향
전정 정도
꽃눈 밀도(개/10㎝) 불완전화율(%)
결실률(%)
극강전정
강 전 정
중 전 정
약 전 정
무 전 정
1.58
1.52
1.62
1.39
0.87
24.8
30.0
22.5
24.3
37.5
64.9
57.6
55.5
56.0
40.5
    자료 : 山本. 2000. 과실일본 55(2) : 40-43.
주 : 1) 품종: 베니사시(紅さし) 20년생, 재식거리 : 8×8m, 수형 : 개심자연형
2) 전정정도는 전정후 남은 모든 가지의 길이의 합
(극강전정 : 250m, 강전정 : 300m, 중전정 : 350m, 약전정 : 400m)
     
       착과수는 남겨진 열매가지의 총길이가 길었던 약전정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지만 약전정에서는 생리적 낙과수가 많은 반면, 중전정과 강전정에서는 착과수는 적었지만 생리적 낙과수가 적어 수확과 수가 많았다. 그러나, 극강전정에서는 착과량, 생리적 낙과수, 수확과 수가 다른 전정 처리구보다 적었다(그림 12).
전정방법별 누적수량은 강전정, 중전정에서는 높았으나 극강전정에서는 낮은 경향이었다. 무전정에서는 수량이 극히 낮을 뿐 아니라 연차간 수량 차이도 컸으며, 약전정에서도 착과가 불안정하여 해거리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전정과 약전정에서의 과실은 착과량이 많으면 소과가, 착과량이 적으면 대과로 되어 연차간 과실무게에 있어서도 불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그림 13).
     
   
그림 12. 전정정도가 생리적 낙과수 및 수확과 수에 미치는 영향
자료 : 山本. 2000. 과실일본 55(2) : 40-43.

그림 13. 전정정도가 누적 수량에 미치는 영향
자료 : 山本. 2000. 과실일본 55(2):40-43.
     
       따라서, 세력이 약한 품종 또는 나무의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다소 강한 전정을 실시하여 꽃눈을 정리함으로써 과다결실을 회피하고, 신초 생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나무의 세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 늙은 나무와 방치한 나무의 전정
       늙은 나무와 전정을 하지 않고 방치하였던 나무는 원가지와 덧원가지의 수가 많고, 곁가지가 크고 길게 늘어져 이들 가지들을 서로 구별하기 어려우며, 햇빛이 수관 내부까지 들어가지 못하여 결과지가 말라죽어 수관 외부에만 결실부위가 집중되므로 나무크기에 비해서 수량이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나무에서는 원가지와 덧원가지를 분명히 구별할 수 있도록 기부에서 솎아 자르고 길게 처진 곁가지는 짧게 잘라 나무 골격을 정리한 후 가급적 많은 새가지를 발생시킨 다음 연차별로 수형을 정리하여 열매가지를 형성시킨다.
     
    자. 웃자람 가지의 처리
       웃자람 가지는 원가지나 덧원가지의 등이나 겨울전정 때 잘라진 굵은 가지 주위에서 발생되는 가지로 그 대부분은 나무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는 불필요한 가지일 뿐 아니라 그대로 방치하면 수형을 어지럽히게 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이러한 웃자람 가지일지라도 빈 결과부위를 채우거나 곁가지의 갱신지 등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림 14. 웃자람가지의 처리-강하게 자른 경우

   웃자람가지를 강하게 자르게 되면 3년째에는 일부 열매가지가 형성되지만 그 수가 적으며, 그 가지가 확대되어 수형을 흩뜨릴 뿐 아니라 형성된 그늘에 의해 그 아래 부분의 단과지들을 말라죽게 한다(그림 14). 따라서, 이 웃자람 가지에 단과지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인과 함께 그 선단을 약하게 잘라야 한다(그림 15).

그림 15. 웃자람가지의 전정-약하게 자른 경우
     
    차. 여름전정
       나무가 과번무한 상태에서는 햇빛이 나무 내부로 잘 들어가지 못해 수관의 내부는 조기에 낙엽지거나 가지가 말라죽어 결과부위가 수관 바깥쪽으로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여름전정은 나무의 내부까지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하거나 순지르기 또는 유인해 줌으로써 수관 내의 모든 잎에서 탄소동화작용(광합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꽃눈분화를 촉진시키고, 저장양분이 많이 축적되게 하는 데 있다.
여름전정은 겨울전정과 달리 전정 정도가 강할수록 나무의 세력이 약해지는 결점이 있으므로 여름전정을 실시할 때에는 항상 나무의 세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여름전정으로 제거할 가지는 나무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는 가지를 위주로 한다. 이런 가지들을 겨울전정 때 자르게 되면 강한 신초가 발생되어 가지간의 세력 균형이 깨지기 쉽지만 여름전정에서는 그런 염려가 적다.
     
     
(1) 시기
     
   낙엽과수에 있어서의 뿌리 생육은 1월 하순∼2월 상순과 9월 상중순의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나는데 9월에 시작되는 두 번째의 뿌리 생육은 지상부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해 줄 수 있는 여름전정을 실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여 저장양분의 낭비를 방지할 뿐 아니라 겨울전정에 의해 많은 가지가 일시에 제거됨으로써 발생되는 지상부와 지하부간의 불균형을 완화시켜주고, 다음해의 웃자람가지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표 6).
     
     
표 6. 여름전정의 매실 수량증대 효과(원예연 나주배연 : 1996)
구분
수령별 수량(㎏/주)
누적수량
(㎏)
3년생
4년생
5년생
6년생
7년생
여름전정
여름전정+겨울전정
겨울전정
1.4
2.1
2.0
15.6
11.1
8.7
31.8
30.0
23.6
39.2
33.7
30.5
33.5
32.1
28.4
121.5
109.0
93.3
     
주) 품종 : 옥영(7년생), 수형 : 개심자연형(4×5m)
       
     
표 7. 여름전정이 매실 고성 품종의 성목 수량에 미치는 영향
구분 수령별 수량(㎏/주)
전정전
1년생
2년생
3년생
4년생
8월 전정
9월 전정
겨울전정
25.1(100)
35.5(100)
42.6(100)
43.7(174)
69.2(195)
54.7(128)
30.7(122)
78.7(222)
75.8(178)
17.5(70)
92.0(259)
76.7(180)
52.1(208)
100.4(283)
79.1(186)
     
주) ( )내의 값은 전정전의 수량 100에 대한 비교치임
       
     
   이와 같이 여름전정을 실시하는 가장 좋은 시기는 새뿌리의 신장이 다시 시작되는 9월 상중순이다(표 7). 실시 시기가 이보다 빠르면 2차지(부초)의 발생이 나타나고, 나무 세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된다. 반대로,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나무의 세력이 떨어지게 하는 데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저장양분 축적이 적어져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2) 주의점
     
   나무의 세력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여름전정 실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되(그림 16)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부위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2차지가 발생되면 다음해부터는 여름전정을 가볍게 하거나 전정시기를 늦추도록 하며, 전정 상처에는 반드시 보호제를 발라주도록 한다.
     
     

매실 주요 병해충은 농약을 사용하여 예방 및 방제하셔야 합니다.

특히 심식나방과 흑성병에 대해 방제를 집중하시는게 좋습니다.

1. 주요 병해

  ㅁ 잎오갈병 : 월동기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 7~10배액(보메 5도)을 사용하여 예방하고,

                            생장기에는 골고루 수화제등을 살포합니다.

  ㅁ 세균성구멍병 : 잎이 고사된 가지나 선단이 마른 가지는 제거, 과원에 방풍림 조성

                                     병원균에 의해 발병하므로 부라마이신 수화제, 방범대 수화제로 방제

  ㅁ 잿빛곰팡이병 : 예방위주로 약제를 살포한다.

                                 에이플 입상수화제, 부티나 액상수화제 등

2. 해충

  ㅁ 심식나방 : 디프록스 수화제나 디디브이피 유제로 방제한다.

  ㅁ 혹진딧물 : 강탄 수화제나 오신 수화제로 방제한다. 세티스 입상수화제도 OK

  ㅁ 깍지벌레 : 진딧물 방제약제인 강탄, 오신으로 동시 방제 가능합니다.

                             발생이 심할때에는 전문약제인 선발대 입상수화제 사용

  ㅁ 점박이응애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지존 액상수화제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ㅁ 잎말이 나방 : 디프록스 수화제나 디디브이피 유제로 방제한다.

                                  발생이 심하면 스튜어드 골드 (액상)이나 송골매 수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약제 사용

  ㅁ 2월 중순경 : 석회유황합제를 사용하여 월동 병해충을 방제합니다.

  ㅁ 4월 상순경 : 흥이나 수화제와 디디브이피 유제를 사용하여 흑성병/나무좀 방제

  ㅁ 4월 중순경 : 에이플 입상수화제와 오신 수화제를 사용하여 흑성병/진딧물 방제

  ㅁ 4월 하순경 : 부라마이신 수화제와 디프록스 수화제를 사용하여 세균성구멍병/잎말이

                                 나방 방제

  ㅁ 5월 하순경 : 포리옥신 수화제와 송골매 사용하여 회성병/순나방 방제

  ㅁ 6월 상순경 : 디디브이피 사용하여 유리나방 방제

  ㅁ 6월 하순경 : 오신 수화제 사용하여 진딧물 및 깍지벌레 방제

  ㅁ 8월 상순경 : 강탄 수화제를 사용하여 깍지벌레, 진딧물, 심식나방류 방제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1. 자두·매실. 표준영농교본-111.
__________. 1990. 특수과수재배. 표준영농교본-70.
吉田雅夫外. 1992. 農業技術大系 果樹編 6(モモ·ウメ·スモモ·アンズ). 農山漁村文化協會.
長谷部秀明. 1980. ウメの品種と栽培. 農山漁村文化協會.

 

 

 

 

 

1 매실 나무의 생육은 어떤 토질과 기후에 알맞나요?

............................................................................................................................................................................

1 개량종 매실은 주로 일본에서 들어왔습니다. 우리나라 남쪽지방을 주산지로 하고 있으며 북쪽지방은 재배가 어렵다고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토종매실의 단점은 씨가 크고 과육이 적어 상품성이 없다고들 말합니다.
그러나 송광설중매는 토종매실로서 최고의 품종을 자부하고 있으며 우리민족처럼 강건하여 극단적인 자갈밭이나 습지가 아니면 잘자라는 매실입니다.

............................................................................................................................................................................

 

2 매실 키우는 방법과 몇년후에 수확이 가능한지요.

............................................................................................................................................................................

2 (씨앗에서부터)

1. 모포장준비

※ 처서(10월23일)전후에 유기질비료(완숙퇴비)를 담뿍(300평 당 75∼100kg) 넣고 몇 차례 경운을 하여 땅힘을 올려둠(마늘밭 파종방법과 동일)

2. 파종

① 상강(11월23일) 전후나 (11월초에도 상관없음) 파종을 하는데 간격은 동서 10cm 남북 20∼30cm를 유지함
② 파종후 3∼4cm정도를 복토를 하여줌
③ 그 위에 갈비(소나무낙엽)또는 볏짚 등을 2∼3cm정도로 썰어 1cm두께로 덮음 (방한,방습,방잡초) 또는 투명비닐 멀칭을 한다.

※ 다음해 3월 중순 ∼4월초순에 새싹이 터져나옴 이때 주의점은 비닐멀칭의 경우 먼저 싹이
    한 두개 터진 것이 확인되면 반드시 멀칭을 벗겨주어야 한다.


3. 육묘
① 관찰은 하되 손대지 말 것, 5월하순에 연한물비료(또는 천혜녹즙)을 엽면살포한다.
② 6월중순부터 8월중순까지 매20일 간격으로 조금씩 복합비료를 시비한다.
③ 묘목 아랫부분에 잔가지가 족생하는데 그대로 방치하더라도 묘목성장에는 지장이 없음
④ 사정을 살펴 진딧물약을 2∼3회 살포해도 무방함(이때 한방살충제를 사용하면 좋음)
⑤ 사정을 살펴 잡초제거를 일찍 제거해주면(2∼3회정도) 7월이후는 울창해져 더 이상 잡초를 제거할 필요가 없음
⑥ 백로(9월7일)전후에는 1.5∼2m까지 자란 묘목의 순을 지상 1m 부위에서 순을 침이식후의 새순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강전지함

4. 정식

① 그 시기는 10월 중순부터 다음해 3월 중순까지가 적기이지만, 가을에 정식한 것이 2∼3개월쯤 성장이 빠름
② 토질은 사과 복숭과 같으나 다소 습한 곳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랄 만큼 체질이 강함
③ 정식하는 간격은 한쪽(가로) 6m 다른쪽(세로)을 3m로 심으면 관리하기 편함
④ 가급적 농약은 피하고 해충을 천적끼리 자동 조정되게 유도하고 제초작업에도 큰 신경을
    안 써도 됨
⑤ 가지치기 요령은 사과나무와 비슷하지만, 키가 다소 웃자라도 무방함. 왜냐하면 송광매는
    비배관리와 열매따기가 손쉽기 때문임
⑥ 정식할 묘목은 60cm∼70cm정도 강전지하고 뿌리는 바깥쪽부터 ⅓을 잘라 심는다.

5. 꽃과 열매
① 정상적으로 비배관리 했을 경우 3년생부터 꽃피기 시작하여 5년생이면 손익분기점을 넘어 섭니다.
② 매실뿐만 아니라 꽃 순 잎 햇가지도 건강식품- 기호품으로 활용될 수 있음
③ 하지 전후 수확한 뒤에는 반드시 산후 미역국 비료(복합비료)를 알맞게 뿌려줘야 나무의
    체력도 강해져 해걸이를 하지 않음.

............................................................................................................................................................................

 

3 비료는 언제 줘야 합니까?

............................................................................................................................................................................

3 시비방법은 여러 형태가 있어 다 말씀드리기는 곤란하며 저희 송광설중매에서는 성목일 경우 일년에 두 차례를 시비하고 있습니다. 우선 겨울철 낙엽이지고 충분히 완숙된 퇴비를 토착 미생물로 발효를 시켜 시비하고 그 위에 낙엽 등을 덮어 줍니다. 이때에 미완숙 퇴비를 시비하면 여러가지로 매실에 좋지 않습니다.( 발효과정에서 가스발생으로 나무의 성장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비량은 1주당 약10kg정도 시비하며 과 시비를 할 경우 꽃눈보다 잎눈이 발달하여 수확량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차 시비는 수확을 마치고 6월말에서 7월초 다음해 눈이 결정되는 시기가 오기 전에 퇴비를 시비하는데 시비량은 1주당 5Kg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토종매실은 질병에 강하므로시비는 환경농법에 의한 완숙퇴비를 잘 써주면 매실나무 자체가
면역성이 길러져 각종 병충해를 거뜬히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매실은 과피를 벗기지 않고
가공하기에 절대 무농약매실을 수확하여 판매하여 전국민이 안심하고 드실 수 있는 과일로 인증받기 위함이니 주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4 지역(위도)에 따른 품종과 고산지(산 비탈)에도 잘 자라나요?

............................................................................................................................................................................

4 아직까지 송광설중매는 종류에 따라 위도에 대한 세분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다만, 토종매실은 우리나라의 기후에 적응이 되어 있으며 재배되어진 사례로 볼 때에 중부지방까지 무난히 심을 수가 있습니다. 송광매원의 기후도 팔공산중턱이기에 기온이 연중 낮은편이며, 고산지(산비탈)입니다.
그러나 아주 잘자라고 있습니다.

............................................................................................................................................................................

 

5 매실나무를 재배하려구 하는데 토양과 심는 방법은 ?

............................................................................................................................................................................

5 매실나무의 토양은 사질양토이면서 물이 잘 빠지는 땅이면 좋습니다. 재식방법은 5평당 1주로 재식하는 것이 바랍직하며 거리는 3m x 6m 1년생 ~ 5년생 권장 6m x 6m 5년생 이상 성목일 때 재식거리입니다. 나무를 심으실 때 숯, 막걸리, 녹즙을 뿌리 주위에 주시면 확착에 도움이 됩니다

............................................................................................................................................................................

 

6 매실나무의 주요 병충해와 방제방법은 ?

............................................................................................................................................................................

6 주요 병해는 잎오갈병, 세균성구멍병, 잿빗곰팡이병, 역병이며, 충해는 심식나방, 혹진딧물, 깍지벌레, 점박이 응애, 잎말이 나방등이 있습니다.
방제방법은 송광설중매 매실특강자료실의 5.나무의 수형 및 주요병충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7 매실나무의 전정은 언제하나요 ?

............................................................................................................................................................................

7 매실나무의 전정은 나무(1년생묘목)를 11월경에 심고 나서 다음해 2월중순경 잎이 나오기 전에 나무의 형태를 계획하여 향후에 키워나갈 나무의 수형에 맞추어 나무높이 40cm ~ 50 cm로 강 전정 합니다. 이때 가지가 나올 눈이 40cm ~ 50cm 사이에 없을 경우에 좀더 높여서 강전정 하시기 바랍니다. 이후 유목기 전정, 겨울 전정, 재식 2년 째 전정은 매실특강자료실의 5.나무의 수형 및 주요병충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싸리산도사
글쓴이 : 권기철 원글보기
메모 :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자연농약입니다.


(1) 식초
식초는 사람의 건강에도 좋은 것이지만 식물의 곰팡이류의 예방과 방제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식초를 물20배로 희석하여 병이 나기 쉬운 시기에 분무기로
뿌려줍니다.

(2)담배 니코친
담배 10~15개를 까서 필터를 제거한후 물1리터에 3시간 정도 담가 둡니다.
이를 가는 천으로 걸러서 비누 5g 녹인 물을 섞어 사용합니다.
5일이 넘으면 효력이 없어지므로 그안에 사용하도록 합니다. 분무기로 뿌리거나
조루로 뿌리면 됩니다. 특히 진디물 방제에 효과가 있습니다.

(3)마늘액
마늘 한통을 까서 잘 찧어 물 1리터에 섞는다. 이를 가는 천으로 걸러서 5배액
으로 희석해서 살포합니다.살충력은 없지만 벌레가 모여들지 않습니다.

(4)마늘+석유
마늘 80g을 잘 찧은 후 그액에다 석유2숟갈(작은숟갈)을 넣어 24시간 담가둡니다.
이액에 물 1리터와 비누 10g을 녹인 물과 잘 혼합하여 천으로 거른후 살포를
할때는 100배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합니다. 해충의 성충,유충,병에도 효과가 있고
특히 굵은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하늘소 같은 해충은 그 구멍에 이액을 넣고
솜으로 구멍을 막아두면 죽습니다.

(5)우유
우유를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맑은 날 오전중에 진딧물이 낀 가지에 살포하면 우유가
건조하면서 막이생겨 진딧물이 질식하여 죽습니다. 우유는 신선한 것일수록 효과가
있으나 오래두어 상한것도 상관없습니다.

(6)고무 테이프
진딧물이나 개각충은 개미에 의하여 나무와 나무사이로 이동하므로 끈끈이 테이프를
주간부에 감아두면 개미나 점박이응애 등이 테이프의 끈끈이에 붙어 올라가지 못합니다.

(7)기계유
기계유는 정원수의 깍지벌레나 응애류에 특효약입니다. 기계유를 비눗물에 3~4%타서
겨울에 깍지벌레가 낀 가지에 뿌리면 효과가 있습니다.


<오성출판사> - 최신 과수재배.中에서 발췌

출처 : Jin/Family
글쓴이 : 진파파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