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다민족 국가인 중국에게 있어 민족간의 단결을 유지하는 것은 국가의 통일과 안정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각 민족간의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각 민족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지리, 정치, 경제, 문화적 관계 외에도 정확한 민족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관건이다.

역사적으로 대한족주의(大漢族主義), 민족협애주의(民族狹隘主義) 및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한족과 소수민족 또는 어떤 소수민족들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민족압박, 민족멸시, 민족장벽이 존재하고 있어서 서로 신뢰하지 못했으며, 심지어는 서로 적대시하면서 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로 각 민족은 유례없는 단결과 통일을 실현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어떤 방법으로 그렇게 많은 민족을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었는가? 한마디로 말하면 정확한 민족정책을 시행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민족정책은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민족평등을 견지하고 민족멸시와 압박을 반대한다.

중국 정부에서는 어느 민족이건 대소에 관계없이 모두 평등해야 한다는 일관된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의거하여 민족평등과 관련된 일련의 정책 법령 조치를 제정하였다. 1951년 중앙인민정부 정무원(中央人民政府政務院)에서는 1949년에 제정된 임시헌법의 효력을 가진 ≪공동강령(共同綱領)≫에 의거하여 ≪소수민족과 관련된 멸시와 모욕적인 성격을 가진 호칭 · 지명 · 비명 · 편액 ·  대련에 대한 처리 지시(對有關具有蔑視和侮辱少數民族性質的稱號·地名·碑名· 扁額·對聯進行處理的指示)≫를 공포하였다. 이 지시에 의거하여 일부의 멸시적인 성격을 가진 민족 명칭과 지명 등을 수정하였다.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 민족 지역 자치 실시 요강(中華人民共和國民族區域自治實施綱要)≫과 ≪흩어져 거주하는 모든 소수민족 출신자가 민족평등 권리를 누릴 것을 보장하는 결정(保障所有散居的少數民族出身者享有民族平等權利的決定)≫을 공포하였다. 후에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공포한 헌법에서는 항상 각 민족의 평등권리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소수민족이 평등한 입장에 서서 국가 업무의 관리에 참가하고 각급 정권 속에서 평등한 권리를 누리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중국의 선거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만들었다. 즉,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지방 각급의 인민대표대회에서는 소수민족 대표자수에 대하여 특별한 고려를 해야 하고, 소수민족 대표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일반적으로 그 민족의 인구가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많아야 하며, 뿐만 아니라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도 거기에 포함시켜 어떠한 소수민족도 모두 자신들의 대표자를 가질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민족 지역자치를 시행한다.

민족 지역자치란 국가의 통일된 지도하에서 소수민족의 집거지역을 기초로 지방자치정부를 설치하여 소수민족이 직접 그 민족 내부의 지방적 사무를 관리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민족 지역자치의 실시에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구체적인 내용이 내포되어 있다.

(A) 각 민족 자치지역의 자치기관은 민족자치를 실행하는 소수민족의 인원을 위주로 구성하며,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다른 민족은 적당한 수의 대표자를 가진다.

(B) 자치기관은 그 지역 소수민족 속에서 통용되는 한 종류 혹은 여러 종류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권한 행사의 도구로 삼는다.

(C) 자치기관이 권한을 행사할 때에는 민족의 특징과 풍속 습관을 충분히 고려한다.

(D) 자치기관은 그 지역 민족의 특징에 의거하여 자치조례와 법률 규정을 제정한다.

(E) 자치기관이 그 민족 자치구의 재정권을 행사할 때에는 다른 동급의 정부보다 많은 권력을 누린다.

중국에서 민족 지역자치를 시행하고 있는 소수민족 집거지역의 인구는 전국 소수민족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현재 전국에는 모두 5개의 소수민족자치구, 30개의 소수민족자치주, 124개의 소수민족자치현이 있다.



셋째, 소수민족 간부를 적극 양성한다.

소수민족 간부를 적극 양성하는 것은 민족 지역자치를 실시하는 관건이다. 중국공산당이 영도한 혁명 과정 중에 이미 많은 소수민족 간부를 양성하였다. 국공내전 시기에 연안(延安)에 창설된 민족학원(民族學院)은 중국의 소수민족 간부를 양성하는 최초의 학교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1950년에 소수민족 간부를 극력 양성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매우 일찍 소수민족 간부양성 시행 방안을 공포하였다. 일반대학과 고등전문학교를 통해서 양성하는 것 외에, 전국 각지에 12개의 민족대학을 별도로 설립하였다. 즉, 중앙민족대학, 서남민족학원, 서북민족학원, 청해민족학원, 운남민족학원, 귀주민족학원, 신강민족학원, 내몽고민족학원, 티벳민족학원, 광동민족학원, 광서민족학원,  중남민족학원이 그것이다. 일부의 성과 자치구에서도 소수민족 간부학교나 혹은 소수민족 간부 훈련반을 개설하고 있다. 개략적인 통계에 의하면, 1978년에 이르러 전국 소수민족 간부는 이미 80여만명으로 1949년에 비해 80배나 증가하였다. 그 중에는 각급 정부에서 영도적인 직무를 맡고 있는 사람도 있고, 경제 · 문화 · 과학 · 교육 · 신문 · 출판 · 의료 · 위생 등 각 부문에서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도 있다. 수년동안 소수민족 간부는 매년 만명 이상씩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티베벳자치구는 현재 70%의 간부가 티벳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낙후된 구제도를 폐지하고 민주개혁을 실행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에는 지리 · 교통 · 문화 등 각 방면의 원인으로 소수민족 지역이 한족 지역보다 훨씬 더 낙후되어 있었다. 많은 지역의 사회제도는 여전히 노예사회, 심지어 원시 반원시 사회에 머물러 있으며 계급적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티벳지역은 원래부터 야만적이고 잔혹한 봉건농노제를 시행하여 사람을 3등 9급으로 나누고 있는데, 농노는 어떠한 인권도 없이 매매 양도 교환 저당될 수 있고, 심지어 눈을 도려내거나 혀를 자르고 손을 자르는 등의 잔혹한 형벌을 받기도 한다. 낙후된 사회제도는 소수민족 지역의 생산력의 발전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국가에서는 소수민족을 위한 민주개혁을 적극적이면서도 신중하게 실시하였다. 사회개혁 과정 중에 낙후되고 야만적인 규제를 폐지하고, 소수민족 지역의 실제 상황에 의거하여 정부에서는 한족 지역의 개혁과는 다른 비교적 완화된 일련의 방침과 정책을 제정하였다.

예를 들면, 광대한 목축지역에서는 목장 주인의 소와 양을 몰수하지 않고 그것을 목축민에게 분배하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목장의 공유화를 실행하였다. 그렇게 한 후에 생산 발전의 기초 위에서 다양한 방식을 운용하여 목장주인과 목축민을 점진적으로 개조하였다. 생산수준이 매우 낮고 원시제도가 잔재하고 있는 소수민족 지역에 대해서는 원조를 아끼지 않고 생산과 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비교적 빠른 속도로 신사회로 넘어가게 하였다. 노예주와 봉건농노주에 대해서는 만약 그들이 개혁을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하면 일률적으로 유상몰수(贖買)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조치를 통하여 중국의 소수민족은 아주 짧은 기간에 급속도의 사회적 발전과 생산력 발전의 길을 열게 되었다.



다섯째, 소수민족이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장려한다.

중국헌법에서는 각 소수민족은 그 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자유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각 민족자치구의 자치기관은 모두 그 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주요 수단으로 삼고 있다. 민족자치구 인민대표대회 대표를 선거할 때에, 그 지역에 거주하는 각 민족의 통용 문자를 사용하는 동시에 그 민족의 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각 민족의 일반 백성들도 그 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소송과 변호를 진행할 권리를 가진다. 소수민족이 집중되어 있거나 잡거(雜居)하고 있는 지역에서 사건의 심리, 판결, 공고 및 기타 문서의 공포는 반드시 그 지역에서 통용되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소수민족은 일상생활 생산노동 통신 및 사회교류 속에서 자신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존중을 받는다. 그 민족의 통용 문자를 가진 소수민족 지역에서는 그 지역의 민족 언어와 문자로써 학업을 진행하도록 배려한다. 일정 조건이 구비된 민족자치구에서는 그 민족의 언어와 문자로써 신문 · 방송 · 출판 등의 사업을 할 수 있다.



여섯째, 소수민족의 풍속 습관을 존중한다.

중국헌법에서는 각 소수민족은 자신들의 풍속 습관을 유지하거나 개혁할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여러가지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예를 들면, 각 민족 명절의 휴가제도를 제정하고, 돼지고기 취식을 금지하고 있는 소수민족에게는 돼지사육을 강요하지 않으며, 이슬람교도가 집중된 지방에는 이슬람교도가 경영하는 식당을 개설하고, 소수민족에게 특별히 필요한 상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각 소수민족의 풍속 습관은 그들 자신의 오랜 사회 역사적 발전 과정 속에서 형성된 것인데, 그 중에서 많은 독특한 풍속 습관은 지금까지도 원래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몽고족의 나담페어(那達慕, Nadam Fair), 위구르족의 투르판절(吐魯番節), 티벳족(藏族)의 망과절(望果節 또는 旺果節), 다이족의 발수절(潑水節), 이족의 화파절(火把節)은 과거의 전통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 소수민족들의 문예 체육 경제 무역 활동 등과 민족단결을 상징하는 성대한 명절이 되었다.



일곱째,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종교는 소수민족들 속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각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및 풍속 습관에 대하여 매우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종교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본 정책은 신앙의 자유 보장이다. 다시 말해서, 종교의 자유는 국민의 민주권리로써, 모든 국민은 종교를 믿을 자유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종교를 믿지 않을 자유도 가지고 있고, 어떠한 종교든지 선택할 자유도 가지고 있으며, 종교를 믿는 국민과 믿지 않는 국민은 정치적으로 모두 평등하다는 것이다.

소수민족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중국 정부에서는 그들의 정당한 종교활동을 간섭하지 않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사원이나 교회 등과 같은 종교활동 장소를 허락하는 동시에 일부 유명한 사원과 교회를 복원·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종교를 믿는 사람과 믿지 않는 사람간의 화목을 도모하고 사회의 정상적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종교활동의 주장은 사원이나 교회 안에서만 하도록 하고, 종교를 믿지 않으려는 사람이 사원이나 교회에 가서 무신론을 선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종교계의 저명 인사에 대해서는 그들의 종교를 존중하는 것 외에도 그들에게 일정한 정치적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민족정책은 소수민족들의 환영과 지지를 받았다. 따라서 중국의 민족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민족 문제가 결코 심하게 부각되지 않고 있으며, 각 민족간의 관계는 비교적 원만하고 통일된 다민족 국가의 기초가 비교적 공고하다. 비록 어떤 지역에서 일부의 사람들이 민족분열을 조장하려고 한 적도 있었지만, 그들의 행위는 민심을 얻지 못하고 모두 실패로 끝났다.

 

자료: http://www.inbora.com/ez2k/ezboard.cgi?db=board3&action=read&dbf=1573&page=68&depth=3

내몽골자치구(몽)---수부 훅호트시

內蒙古自治區(蒙)---首府 呼和浩特市

 

전성총계

全省總計

8맹 4지구급시 17현 51기 13현급시 3자치기

8盟 4地區級市 17縣 51旗 13縣級市 3自治旗

훅호트시

呼和浩特市

타크타현(성관진)托克托縣(城關鎭) 투묵트좌기(챠수치진)土默特左旗(察素齊鎭)

포두시包頭市

고양현(성관진)固陽縣(城關鎭) 투묵트우기(살라치진)土默特右旗(薩拉齊鎭)

오해시烏海市

 

적봉시

赤峰市

녕성현(천의진)寧城縣(天義鎭) 림서현(림서진)林西縣(林西鎭)

커츠심기(금산진)喀刺沁旗(錦山鎭) 파림좌기(림동진)巴林左旗(林東鎭)

오한기(신혜진)敖漢旗(新惠鎭) 파림우기(대판진)巴林右旗(大板鎭)

옹우트기(오단진)翁牛特旗(烏丹鎭) 크슈크등기(경붕진)克什克騰旗(經棚鎭)

아로커르심기(천산진)阿魯科爾沁旗(天山鎭)

울란챠부맹

(집녕시)

烏蘭察布盟

(集寧市)

집녕시集寧市 풍진시豊鎭市 청수하현(성관진)淸水河縣(城關鎭)

흥화현(성관진)興和縣(城關鎭) 무천현(커커이리갱진)武川縣(可可以力更鎭)

탁자현(탁자산진)卓資縣(卓資山鎭) 상도현(성관진)商都縣(城關鎭)

량성현(성관진)凉城縣(城關鎭) 화림겨르현(성관진)和林格爾縣(城關鎭)

화덕현(성관진)化德縣(城關鎭)

챠하르우익전기(토귀우라진)察哈爾右翼前旗(土貴烏拉鎭)

챠하르우익중기(커부르진)察哈爾右翼中旗(科布爾鎭)

챠하르우익후기(배음챠깐진)察哈爾右翼后旗(白音察干鎭)

사자왕기(우란화진)四子王旗(烏蘭花鎭)

다르한무명안련합기(배령묘진)達爾罕茂明安聯合旗(百靈廟鎭)

시림굴러맹

(시림호트시)

錫林郭勒盟

(錫林浩特市)

시림호트시錫林浩特市 이련호트시二連浩特市

다륜현(성관진)多倫縣(城關鎭) 아파가기(신호트진)阿巴嘎旗(新浩特鎭)

서우쵸몰심기(파언우라호트진)西烏珠穆沁旗(巴彦烏拉浩特鎭)

동우쵸몰심기(우리아기태진)東烏珠穆沁旗(烏里雅旗太鎭)

소니트좌기(만두라투진)蘇尼特左旗(滿都拉圖鎭)

소니트우기(새한타라진)蘇尼特右旗(賽漢塔拉鎭)

태부사기(보창진)太仆寺旗(寶昌鎭)

정상백기(챠한모르진)正槍白旗(査汗淖爾鎭)

정란기(궈다호트진)正藍旗(郭達浩特鎭)

상황기(신보리겨진)槍黃旗(新寶力格鎭)

홀륜베르맹

(해랄시)

呼倫貝爾盟

(海拉爾市)

해랄시海拉爾市 만주리시滿州里市 야크스시牙克石市 짜란툰시扎蘭屯市

친빠르호기(파언쿠인진)陳巴爾虎旗(巴彦庫仁鎭)

어르고나좌기(근하진)額爾古納左旗(根河鎭) 아영기(나지진)阿榮旗(那吉鎭)

어르고나우기(라부다림진)額爾古納右旗(拉布達林鎭)

신파르호좌기(아무고랑진)新巴爾虎左旗(阿穆古郞鎭)

신파르호우기(아라탄어멀러진)新巴爾虎右旗(阿拉坦額莫勒鎭)

어룬춘자치기(아리하진)鄂倫春自治旗(阿里河鎭)

머리다와다우르족자치기(니르끼진)莫力達瓦達斡爾族自治旗(尼爾基鎭)

어원크족자치기(파언타해진)鄂溫克族自治旗(巴彦托海鎭)

저리무맹

(통료시)

哲里木盟

(通遼市)

통료시通遼市 훠림굴러시囍林郭勒市

개로시(개로진)開魯市(開魯鎭) 쿠룬기(쿠룬진)庫倫旗(庫倫鎭)

커르심좌익중기(보강진)科爾沁左翼中旗(保康鎭)

커르심좌익후기(감기카진)科爾沁左翼后旗(甘旗卡鎭)

나이만기(대심타라진)奈曼旗(大沁他拉鎭) 짜루트기(로북진)扎魯特旗(魯北鎭)

이크소맹

(동승시)

伊克昭盟

(東勝市)

동승시東勝市 준거르기(사거두진)準格爾旗(沙渴堵鎭)

우심기(다부챠크진)烏審旗(達布察克鎭) 항금기(시니진)杭錦旗(錫尼鎭)

이킨훨러기(아승시련기)伊金囍洛旗(阿勝席連旗)

어타크기(우란진)鄂托克旗(烏蘭鎭) 다라트기(수림조진)達拉特旗(樹林召鎭)

어타크전기(오러조치진)鄂托克前旗(敖勒召其鎭)

파언모르맹

(림하시)

巴彦淖爾盟

(臨河市)

림하시臨河市 오원현(성관진)五原縣(城關鎭)

등구현(파언골러진)磴口縣((巴彦高勒鎭) 항금후기(협패진)杭錦后旗(陜碟鎭)

우라트중기(해류투진)烏拉特中旗(海流圖鎭)

우라트전기(서산취진)烏拉特前旗(西山咀鎭)

우라트후기(쌔우수진)烏拉特后旗(賽烏素鎭)

  

내몽고자치구(內蒙古自治區)  

[일반사항]

1.자치구명: 內蒙古自治區,약칭 몽(蒙)
2.省都: 呼和浩特
3.省長: 烏云其木格
4.위치

내몽고자치구의 북부는 몽골,러시아와 인접하고 동부,남부,서부는 각각 흑룡강성,길림

성,요녕성,하북성,산서성,섬서성,감숙성과 인접하고 있다.지리학적으로 북위 37'30"

∼ 53'20",동경97'10"∼126'02"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5.면적

내몽고자치구의 토지 총 면적은 118.3만㎢이고 이중 경작지면적이  6.11%, 삼림면적이

14.82%,초원면적이 73.26%를 차지한다.

 

6.기후

내몽고자치구의 기후는 전형적인 온대계절풍기후에 속하여 강우량이 적고 더위와 추위

의 차이가 심한 것이 특징이다. 여름이 짧고 일일 온도차가 심하다. 일평균 기온차는


10℃∼16℃이고 연일조시간은 2700시간 이상이며 일조시간이 가장 긴 곳은 3400시간이

상이다.


7.주요도시

내몽고자치구에는 지구급 도시인 시,맹(盟)이 모두 12개있고 현급도시인 기(旗),

현이 모두 101개 있다.세부적으로는 呼和浩特市,包頭市,烏海市,赤峰市,呼倫貝爾

盟,興安盟,哲里木盟,錫林郭勒盟,烏蘭察布盟,伊克昭盟,巴彦요(水+卓)爾盟,阿拉善

盟 등이 있다.


8.인구

내몽고자치구의 총 인구는 2001년말 2,377.49만 명이고 자연성장율이 4.98 천분율이다.



9.민족

내몽고자치구는 다민족이 집거하는 지역으로 현재 모두 49개의 민족이 있다. 총 인구

중 한족이 1832.5만으로 80%를 차지하며 몽골족이 386만명으로 17%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외에는 만족, 회족, 조선족, 다한얼족 등의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다.


10.언어:보통 몽골어를 사용하며 중국어도 병용한다.

11.종교:기독교, 불교, 천주교, 이슬람교, 도교 등 5대 종교가 병존하고 있다.

12.지방자치 정부조직

당서기: 儲波

주석(성장) : 烏云其木格

인민대회 상무위원회 주임 : 劉明祖

정치협상회의 주석 : 王占

區委員會

주요부서:組織部, 宣傳部, 政法委員會, 區紀委, 區監委, 外經貿 委 등

區人大常委會

주요 부서:法制委員會, 財政經濟委員會, 區政建設委員會, 宗敎事務委員會 등.

人民政府

주요 부서:區計劃委員會, 區經濟委員會, 區建設委員會, 區農業委員會, 區科學

技術委員會, 區對外經濟貿易委員會, 區外國投資工作委員會, 區商業

委員會, 區旅行事業管理委員會, 區經濟體制改革委員會, 區政府外事

辦公室, 區證券管理辦公室 등


13.재정

(단위:억元)

-------------------------------------------------------------------------

구 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

총수입   93.24      111.27     131.23     143.69     155.59     167.74(7.8%)

총지출  126.38      142.91     181.76     212.84     261.06     335.26(28.4%)

수 지   -33.14      -31.64     -50.53     -69.15    -105.47    -167.52

-------------------------------------------------------------------------

자료원: 내몽고통계국





[경제]
14.산업구조

2001년 국내총생산액 1,545.49억元에서 1,2,3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5.0%, 39.7%,

35.3%이며 산업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농업

내몽고자치구내에는 광활한 목축구,농업구,임업구가 있다. 동부와 중부의 초원에

서는 소,양,양털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식량은 주로 하투,요하평원지역에

서 생산하고 음산산맥의 동부도 반농반목축지구로 식량이 생산되고 있다.내몽고

에는 약 2억무의 삼림이 있으며 대흥안령의 목재축적량은 전국의 1/6을 차지한다.

특산물로는 버섯,가죽,해바라기,회향,감초,구기자 등이 있다.




-공업과 자원개발

내몽고자치구의 석탄매장량은 전국의 30%를 차지하며 산서에 이어 중국에서 제2

위를 차지한다. 우하이(烏海),동승(東勝),대청산(大靑山등)탄광과 건설중인 훠린

허,준갈,이민하등 대형 노천탄광이 있다.지란타이,야부라이의 천연알칼리저장량

은 전국의 제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야커스는 중국의 중요한 목재생산기지이다.

중공업은 호화호특의 공작기계,발동기와 포두의 철강,광산기계,희토공업, 집녕,통

료지구의 농목축업용 기계 생산등이 대표적이다.축산품가공업을 특색으로 하는  

내몽고자치구의 경공업은 해방후 급속한 발전을 가져와 포두,호화호특,하이라얼 등

지의 피혁공업과 집녕,하이라얼 등지의 육류가공,유제품공업 등은 모두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




15.시장규모 및 특성




-시장규모

2001년 내몽고자치구의 사회소비품 매출액은 537.31억元으로 전년동기대비 11.0% 증가하

였다. 도시와 농촌의 매출액이 각각 324.31억元(전년대비 12.1% 증가), 128.91억元

(전년대비 10.5% 증가)이다. 업종별 유통업 매출액이 349.11억元(전년대비 11.0% 증가),

요식업이 56.54억元(전년대비 17.7% 증가), 기타 영역의 매출액이 131.66억元

(전년대비 8.5% 증가)이다.


-시장특성

2001년 내몽고자치구의 도시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액은 5,536元(전년대비 증가율 7.3%)이며

농촌주민은 1,950元(전년대비 증가율 2%)이다. 소비구조를 보면 식품구매에 1,353元(전년대비

3.8%증가), 의류구매에 561元(7.1%증가), 가정생활용품구매에 289元(13.3%증가), 의료보건에

287元(49.5%증가), 교통과 통신비용이 359元(43.6%증가), 문화오락지출이 488元(5.4%) 이었다.

한편 농촌지역은 식품구매에 723元(6.7%감소), 의류구매에 111元(2.8%증가), 주택소비에 249元

(8.0%증가), 가정생활용품소비에 61元(6.2%감소), 의료보건에 104元(9.5%증가), 교통과 통신에

93元(36.8%증가), 문화오락에 233元(37.1%증가)을 소비하였다. (소비구조통계는 2000년기준임)


16.주요 경제지표


                            2001 주요경제지표

-------------------------------------------------------------------------------------

구 분         단 위     실 적           전년동기대비증가율

-------------------------------------------------------------------------------------

역내총생산액  억元      1,545.49            9.6%

일인당 GDP     元       6,500.51            9.6%

고정자산투자액 억元      496.42           15.3%

소비재소매총액 억元      537.31            11.0%  

외자이용액   억달러       1.87             66.0%

수출액       억달러      11.4              11.6%

수입액       억달러      14.0             -14.8%

재정수입      억元       167.74             7.8%

재정지출      억元       335.26            28.4%

------------------------------------------------------------------------------------

자료원: 내몽고통계국




17.경제동향 및 전망

-경제동향

2002년 공업이 신속히 발전하고 또한 고정자산투자가 신속히 발전하여 GDP증가율이 10%에

도달할 것이며 재정수입과 사회소비재소매총액이 각각 9%, 11%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재정확대정책으로 내몽고자치구에 대한 투자도 증가할 것이고 서부대개발의

본격적인 추진으로 더욱 많은 국내외자본이 내몽고자치구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 농업은 안정성장을 할 것이며 공업은 국유기업의 적자탈피로 더욱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3차산업도 고성장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전망 및 발전계획





가.농목업 및 농촌특구 경제정책


당의 농촌특구 기본정책을 바탕으로 공동경제(集體經濟)를 발전시키며, 농업투자

체제와 자본축적의 합리적인 조절을 목표로 국가와 자치구 각급정부는 주요 대형

수리관개공사 및 대형 농축산품 기지 건설과 농목업 과학기술 확대에 주력 투자

하고,소형 경지 수리관개시설은 주로 농촌 집체 경제조직과 각 농민이 부담하는

것을 기조로 한다.

농산품 가격안정과 식량재해기금 및 식량예치제로를 수립하며,화학비료, 농약,농

기계 등 농업용 공업분야를 발전시킨다.

鄕鎭기업의 투자역량 및 은행의 鄕鎭기업에 대한 대출을 확대시키고 외자이용 鄕

鎭기업을 장려한다.또한 鄕鎭기업의 특정도시로의 집중을 방지하고 중소도시로의

이전을 권장하며 鄕鎭기업에 대한 세금 특혜제도를 실시한다.



나.사회간접자본 구축 발전정책


국가 및 자치구 각급 정부실행 정책외에 각종 연합투자와 주식투자 형식의 도시

공용시설,자연재해 예방 시설공사 등 공익성 기초시설과 에너지, 원자재 등 기

초공업투자를 장려한다.

철도,도로건설은 정책성 융자루트를 통해 건설자금을 구축하며 통신사업 분야와

비국유기업발전을 장려한다.

대형탄전 개발,전력 및 원자재 생산은 주로 국가투자기금을 이용하고 BOT 방식을

도입,외자이용 대형기초 공업과 기간시설을 건설한다.




다.과학기술 진흥 및 인재양성 정책


2005년까지 전사회 연구개발비를 국내총생산액의 1.5%까지 끌어올리며 자치구

정부 재정지출 중 과학기술투입액 증가속도를 재정수입의 중가속도보다 높게 유

지함.

은행은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대출규모를 확대하여 기업의 과학기술 투자를 유도

하고 대중형기업은 集體와 과확기술 협동제체를 구축한다.

민간 과학기술기업의 발전과 하이테크산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인재양성정책을  

제정,과학기술 분야의 부족한 인재를 육성한다.




라.대외경제정책


방직,화공,석탄,농축산업,가전제품의 수출을 촉진하고 농목업,석탄, 가전, 희토,

의류 등의 수출상품 기지건설과 아울러 은행대출,稅收,토지사용 등의 방면에 관

심을 기울인다.

국외와 연합 판매망을 구축하고 연얀지역에 위치한 도시에 대해서는 융통성 있

는 정책을 실시하여 외국기업의 투자영역을 확대,광산개발,건물개조, 관광, 금

융, 보험의 영역등에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도한다.또한 외국기업으로 하여금 국

유기업의 생산권을 취득하게 하여 자치구내 각 기업이 각종형식의 외자를 이용하

게 한다.




마.사회발전정책


자치구 각급정부는 교욱의 투자를 확대하여 자치구 예산중 기본건설 투자액의  

15%를 교육분야에 이용함. 다양한 형식의 사회교욱을 장려하며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교사의 임금을 공무원의 평균수입보다 높게 책정하는 등 교육환경

을 개선한다.




[교역]


18.무역규모

2001년 내몽고자치구는 수출 11.4억 달러,수입 14.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1.6%,

-14.8%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19.주요 수출입품목

-주요 수출품목

주요 수출상품으로는 옥수수,무모융(無毛絨),polyester/viscose plain cloth(滌粘混紡

布),실크넥타이(眞絲領帶),편직스웨터,금 장식품,강괴,알루미늄,무연탄 등이며  

동 제품의 수출금액이 3.27억달러로 전체의 61.2%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입품목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원목,알루미늄,동광사(銅鑛砂),산화알루미늄,염화칼슘,야금설

비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의 수입금액은 2.58억달러로 수입총액의 34.0%를 차지

차지한다.




20.주요 교역대상국

2000년 기준

                    (단위:만달러)

---------------------------------------

국 명 수출액  

---------------------------------------

러시아 14,302

일  본 22,204  

홍  콩  7,573  

미  국  5,273  

이탈리아3,259

---------------------------------------

자료원: 내몽고통계연감 2001






[투자]




21.투자진출환경

-투자환경

내몽고 자치구의 신속한 현대화를 위해 내몽고는 "개방화전략"을 세웠는데 그 내 용은

사상해방,기회포착,자원활용,토지 및 노동력의 가격우세 활용,외국기업의  투자유치,

국내외 자금유입,기술 및 인력양성을 주로하고 있다.

내몽고 자치구는 국내외 기업과 하기항목에 대한 합작을 장려하고 있다.

-산림,토지,사막등의 전면적인 개발

-농림목업자원개발

-생산기지 건설 및 1차산품 가공

-각종방식(BOT방식 포함)의 석탄,전력,교통분야 투자참여

-광산개발과 현 생산업체의 가공능력제고 및 희토생산품,특산품,전자제품,

건자재 등의 판매망 구축

-야생동식물 및 기타 자원을 활용,고부가가치 상품생산

-금융,원자재,상품,과학기술,정보,노동력시장 및 위생,관광,서비스업 분야

-주식참여,임차,도급,기술도입,합작경영

-우대정책

가.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내몽고자치구의 우대정책

1조-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해 우리자치구는 특별히 본 규정을 제정함.



2조-본 규정은 외국의 기업체 및 기타 경제활동 조직 및 자치구내 중외합 자경영기업,

   중외합작경영기업, 외자기업(이하 외상투자기업)과 기타 공익사업분야 모두에 적용됨.



3조-10년이상의 경영계약기간을 지니고 있는 생산성 외상투자기업은 첫 두해의 소득세를 면제하며     3년-5년은 기업소득세의 1/2만을 징수하고 6년째 이르러서부터 국가가 정하고 있는 법률에 의거

   소득세를 징수함. 24%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방재정부서가 반환함.  



4조-투자액이 큰 외상투자기업을 장려함.



. 국가가 장려하고 있는 산업에 속하고 외상투자 US$ 300만 이상, 경영 기간 10년이상,

 재정/세무분야의 허가를 받은 기업은 성시별 세금 특혜정책에 근거하여 우대함.



. 외상투자 US$ 500만이상,경영기간 10년이상,서비스업종의 외상투자 기업은 회계연도상의 혜택을

 받아 소득세를 납부할수 있고 지방재정부서가 50%를 반환함.



5조- 개발구내의 선진기술기업과 생산품 수출기업은 국가가 정한 소득세 율에 따라 소득세를

    납부하는데 15%를 초과할 경우 지방재정부서가 환불함.



6조- 외상투자기업이 소득세 감면등의 혜택을 수출상품 재 생산등에 재투 자하고자 할 경우 기업의

    신청을 받아 세무기관에서 심사하여 기업소득세를 면제함.생산제품을 수출할 경우 해당품목의

    세금을 면제하며(소비품에 해당할 경우 소비세 면제) 외상투자기업 생산품 수출 에 있어서

    소득세 면제 기한 만료 후, 기업수출액이 해당년도 생산액의 70%이상일 경우 소득세를 반감함.



7조- 농,목,임업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경영기간 내 해당규정에 따라 면세혜택을 받으며

    세금감면기간 만료후에는 재정 및 세무관련 부서의 허가를 받아 이후 10년까지 기업소득세의

    30% 감액받을 수 있음.



8조- 외상투자기업은 지방소득세를 면제함.



9조-운수업에 종사하지 않는 외상투자기업은 허가받은 경영기간내에 자동 차 및 선박 면허허가세를

   납부하지 않음.  



10조-외국기업이 에너지,교통 등 기초시설공사에 투자할 경우 아래와 같은 혜택을 받음.



.투자자가 건설-운영-양도(BOT)의 방식으로 건설,운영하는 것을 허가함.



.도로건설의 경우 주변 일정범위내의 확장개발과 관련 토지개발 및 경영을 허가함.



.기업은 경영필요에 의거 자치구 재정/물가조정 부분의 허가를 얻어 가격을 정할 수 있음.



11조-외국기업과 자치구 기업의 합작관계를 개선하여 외국기업이 출자, 구매, 주식참여,

    채무대리이행등의 형식으로 旗縣이상의 인민정부가 허가한 국유기업의 전체 또는 부분생산권을

    위득하는 것을 허가함.



.국가산업정책규정에 부합하는 합작일 경우 우선적으로 자금대출.



.외국기업과 자치구 기업이 합작해서 생산품을 제조할 경우 그 원자재가 정부의 관리품목에 속할 때

국유기업과 동등한 대우를 함.



.합작기업에 대해서는 국가산업정책규정이 제한하고 있는 산업과 생산품을 제외하고는

외상투자비율을 확대할 수 있음.



12조-토지사용 우혜정책을 실시함.



.외상투자기업은 허가받은 건설기간내에는 토지사용비를 면제받음.



.투자자가 기업의 현 부지에 창업했을 경우 경영기간이 10년이상이면 창엽년도 개시 5년이내에는

토지사용비를 면제받을 수 있음.



.경영기간 15년이상의 제품 수출기업,선진기술기업,에너지/교통 등 기초시설건설, 에너지개발,

원자재생산 방면 외상투자기업은 창업 회계년도 투자액이 US$ 50-100만일 경우 토지사용비를 5년간

면제 받으며 US$ 101-300만일 경우는 7년,US$ 301-500만일 경우는 10년,US$ 500만 이상일 경우는

15년의 혜택을 받음.



13조-외상투자기업이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단기 회전자금 및 기타 필요자금은 은행의

    심사 및 허가를 받아 우선 대출받을 수 있으며 외상투자기업은 고정자산 혹은 국가가 규정하고

    있는 기타 재산으로 은행에 담보 인민페 대출을 신청할 수 있음.  



14조-외상투자기업이 공익사업에 참가할 경우 필요로 하는 용수,전력,통신설비 등은 우선 공급함.



15조-상품 수출기업,선진기술기업,에너지/교통 등 기초설비건설 및 원자재생산 기업에 대해서는

    도시기초설비 부설비를 반액 징수함.



16조-외상투자기업이 상품을 운송할 경우 유관운송담당부서는 운송일정을 우선 배정함.



17조-외상투자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국적 노동자(가족포함)는 기업소속 증명에 의거

    자치구내에서의 숙식,교통등 국내인과 동익한 비용을 징수함.



18조-외상투자기업의 임금과 상여금총액은 기업이사회가 국가유관법률에 의거 자체적으로 정하여

    노동관련 부서에 제출하며 직공이 필요할 경우 선발 후 관련부서에 필요한 수속을 함.



19조-외국인기업이 청구한 문건의 처리는 기관 문서접수일 15일 내에 하여 회신하며 외상투자기업의

    등록처리는 10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



20조-과거 유관 규정과 상술 규정이 불일치할 경우 본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본 규정은 내몽고

    자치구 인민정부 대외 개방 사무실의 해석에 따름.



21조-본 규정은 공포일부터 유효.



나.내몽고 자치구 국내외 자금유치 장려 규정

1조-대외 경제개방과 횡적기업연합,자치구의 대외경제 발전을 위해 자치구 黨委,

   인민정부의《대외개방과 횡적기업연합에 대한 견해》에 기초 본 규정을 제정함.



2조-본 규정의 포괄범위: 중개를 통해 자치구내로 국내외 자금,물자,기술,설비,상표를 도입한

   국내인(당정부기관 현직 縣,處급이상 간부 및 외국기업 투자관련 업무 담당 간부 제외) 및

   화교,홍콩,대만,외국인 및 행정, 기업 등 조직(이하 통칭 중개인).



3조-국내외 투자자금의 도래후 1개월 이내애 중개인에게 1회성 장려금 부여함.



.국내외 자금 및 물자를 무상증여 받은 중개인에게는 자금 총액의 10%의 장려금.



.국내외 무이자 대출을 반년이상의 기한으로 받았을 경우 총 금액의 3-5% 장려금.



.국내은행(인민은행 기준) 이자율보다 저리로 사용기간 반년이상의 자금 을 유치하였을 경우 총

금액의 1-2% 장려금.



.국내외 자금을 국내은행 이자율과 동일하게 반년이상의 기한으로 유치하였을 때 최고 자금의

0.5%까지 장려금 부여;은행 이자율보다 1포인트 낮고 사용기한 1년 이상-1% 장려금; 국내

은행이자보다 2포인트 낮고 사용기간 1년이상-최고 금액의 1.5%까지 장려금; 은행이자보다 3포인트

낮고 사용기한 1년 이상일때-최고 금액의 2%까지 장려금;국내은행보다 높은 이윤율로 반년이상 기한

외자유치-총금액의 0.3-0.5% 장려금.  



.국내외 자금으로 연합기업을 창립할 경우 투자 총액의 1-3% 장려금;에너지 교통,농목업 개발,수출

및 공익사업 목적 직접 투자 자금 유치인 에게는 상술 장려금 보다 20%높은 장려금 지급  



4조-신기술,유명상표 도입자에게는 기술 수준 및 상품 지명도,경제효익 정황에 의거 1회성 장려금을

   지급함.



.선진 기술도입-새로운 이율이 15%이상일 경우 관련 항목 이윤창출의1-1.5%장려금



.국내 선진 수준의 기술 및 자치구 미보유 기술 도입- 최고 관련부분 창출 이윤의 2%까지 장려금.

.세계수준의 기술 및 국가 미보유 기술 도입-최고 관련부분 창출이윤의

 3%까지 장려금.



5조-외국인 투자액이 US$ 100만이상이고 국내 유입자금이 1000萬元이상인 중개인에게는 상술 유관

   장려금외에 기업 소재 旗縣이상 인민정부 발급 장려증서 수여.



6조-유치 외자가 상당한 공헌을 했을 경우 당 기관 縣,處급 이상 지도자는《국가 공무원 임시조례 》

   제 6장 27조,28조,39조 규정에 수익기업 소재지 정부에 1회성 장려금을 지급함.



7조-장려금 지급 루트는 다음과 같음.



.중외합자,합자경영기업과 보상무역 관련부분은 충국측 기업이 장려금 지급; 외상 독자경영 기업 및

공익 사업 관련 부분은 기업 소재지 당정부가 지급;가공,설비 관련 부분은 기업이 획득한 가공비

중에서 장려금 지급;주거 및 시설 임차 부분의 장려금을 임차료 중에서 지급.



8조-장려금 지급 방법-중외합자,합작경영기업,외상투자경영기업은 중국측 기업이 보고한 외국

   실제투자 증명서에 의거 대외개방주관부서의 심사를 득한 후 중개인에게 장려금을 지급하며 기타

   항목은 관련부서 증빙서류에 의거 대외 개방 주관부서의 심사를 득한 후 지급함.



9조-본 규정은 공포일로부터 유효하며 과거 공포한 유관 규정과 부합하지 않을 때에는 본 규정에

   따라 집행함.



10조-본 규정은 내몽고 자치구 인민정부 대외개방사무실의 해석을 따름.




22.투자관련기관


내몽고자치구대외경제무역청 (연락처;696-8506)

내몽고대외경제합작판공실 (연락처;696-1653)

호화호특대외경제발전국(연락처;628-5974)




23.투자유치실적




외자기업 투자액

(단위:만달러)

------------------------------------------------------------------------------


          1997           1998        1999           2000    

구 분 ------------------------------------------------------------------------

        건수 계약금액 건수 계약금액 건수 계약금액  건수 계약금액

------------------------------------------------------------------------------

합 계     85   10,427   55    7,549   68   19,344    95    25,798

캐나다    3     444      3    2,639   2     847       5     438

미 국     19    1,109   14    2,628   7    2,370     24    13,227

홍 콩     25    6,297    8     747    18   9,343     22     2,947

대 만     14     35      6     195    11   2,228      4      56

일 본     11     500     5     171    5     80        9      58

한 국      1     300     3     136    6     70        9      252

-------------------------------------------------------------------------------

자료원: 2001 대외경제무역연감






[비즈니스 참고사항]




24.사회간접자본

-교통

내몽고자치구의 철도건설은 급속한 발전을 가져와 현재는 19갈래의 철도간선과  

12갈래의 지선 및 5갈래의 지방철도가 구축되어 운영거리가 6932㎞에 이르고 있

다.2000년 철도화물운송량은 9,648만톤에 달하였고 여객운송량은 3,378만명에  

달하였다.

도로건설도 역시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는바 각 기,현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변경

및 시내와 동떨어진 목축구까지도 도로를 구축하였을 뿐만아니라 몽골국과 러시

아변경성시와 직통하는 여객운송로선도 개설되어 있다.2000년 도로 전체 길이는

67,346㎞에 달하였고 화물운송량은 34,979만톤,여객운송량은 20,061만명을 기록

하였다.

공항 거대한 발전을 가져왔는바 해방전의 포두,하이라얼의 두 개 소형비행장밖에  

없던 것이 현재는 호화호특에서 북경,상해,광주,심양,서안,낙양,하이라얼 등 도시

와의 18개 노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국제선도 운항되고 있다. 공항의 여객운송량

은 110만명에 달하였고 화물운송량도 2만톤에 달하였다.




25.임금수준

내몽고자치구 종업원의 연평균임금은 6,974元이며, 이중 국유기업의 평균임금은 7,261元이고

집체기업은 4,826元, 기타 기업은 6,947元이다. (동 통계수치는 2000년기준 임)




26.경제특구

내몽고자치구에는 포두희토하이데크산업개발구,만주리변경경제합작구,만주리중러

호시무역구,얼렌호터경제합작구등 국가급경제개발구가 있을뿐만아니라 호화호특루

이(如意)경제기술개발구,훅호트금천경제개발구,흥안맹알산경제개발구,통료경제기

술개발구,츠훵(赤峰)평장경제개발실험구,츠훵경제기술개발구,츠훵홍산종합개발실

험구,림하경제기술개발구등 각 지역별 경제기술개발구가 있다.

-포두하이데크산업개발구

포두하이데크산업개발구는 1990년9월에 설립되었으며 1992년 11월에 국가급하이

데크산업개발구로 승급되었다.산업구내에는 희토공능재료 및 기재,신소재 및 제

품,마이크로전자,정보공정 및 기계전자일체화,신 에너지와 에너지절약재료개발등

분야별로 구역을 나누었다.동 개발구는 이미 0.9㎢의 면적을 개발하였고 1.5억元

의 투자를 진행하였다.

-만주리변경경제합작구

만주리변경경제합작구는 1992년3월에 설립되었으며 이미 1.56㎢를 개발하고 완벽

한 인프라와 서비스를 갖추었다.




-만주리중러호시무역구(互市貿易區)

만주리중러호시무역구는 1992년 4월에 설립되었으며 처음으로 국무원의 허가를  

얻은 호시무역구이다.동 무역구는 만주리시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서는 각

각 만주리시와 러시아에 인접하고 있다.철도,도로가 이곳을 통하여 러시아와 연

결되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무역구내에는 자유무역구,국제금융구,보세창고,생

활구,면세가공구등 구역으로 나누어져있다.

-얼랜호터변경경제합작구

얼랜호터변경경제합작구는 얼랜호터 시중심에서 1㎞,중몽국경선과 2.5㎞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1996년부터 합작구내에서 중몽호시무역을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27.유통구조

-주요 백화점

이 름     주 소      전 화

百靈商廈 新城西街 628-0278

華聯商場 石羊橋東路 596-2820

新世紀廣場 新城西街 628-8391

天元商廈 中山西路 651-9928




28.편의시설

-호텔

호 텔 명 급별    주 소                 전 화 / 팩 스  1일숙박료

內蒙古飯店 3 呼和浩特市烏蘭察布西路 696-4233/696-1479  280

昭君大酒店 3 呼和浩特市新華大街11號 696-5080/696-8825  280


-식당

식 당 명     주 소    전 화

瑞達斯餐廳 新城東街 495-3644

天府園餐廳 回民果園西路 396-5223

http://www.chinasai.com/link/read.cgi?board=RegionalNeimengu&nnew=2&y_number=1

 
中国北方宣敎地消息
 
11月10日,两位苗族少女在雷山县街头庆新年巡游队伍中表演《拍手舞》。
点击此处查看全部新闻图片
 
11月10日,穿着新年盛装的苗族妇女在街头巡游。
    当日是贵州省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苗族群众的新年第一天。
以每年秋季收获完毕的农历十月为新年开始的当地苗族群众以歌舞、
斗牛等活动欢庆一年中隆重的节日。
   新华社记者 杨俊江 摄
 
11월 10일은 구이정우성 챈둥남 묘족 둥족 자치주의 묘족들은 새해의 첫날을 맞이하여
매년 가을 수확이 마무리 되는 음력 10월을 본 민족들의 새해 첫날로 간주하고
여러 가지 무용과 운동항목으로 이날을 즐겁게 보내고 있다.
11월 15일은 묘족 역법의 설날로서 수만 명의 묘족동포들이 구저우성 챈둥난 묘족 둥족자치주의
 네이산핸 단쟝진의 축제 장소에서 묘족 새해 맞이 축제에 참가하였다.

묘족의 역법에는 1년을 냉열 두개 계절로 나누는데 이 2개 계절이 교체하는 시기가 바로 음력 10월이고
추운 계절의 시작이기도 하기에 묘족들은 이날을 새해의 첫 시작으로 간주하고 있다. 묘족들의 이 축제는
9일간 지속되게 되는데 현재 전 세계의 1,200만 묘족동포들 중 근 50%가 구우저우성에 살고 있으며,
 네이산샌은 구이저우 묘족문화의 중심구역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그림:新华网]

중국,귀주성,미아오 주(묘족)

http://china.oftoday.com

중국에 사는 미전도 종족/소수민족

그로마
꽃 메오
나시

은골록
다우르
라다키
라시
롬 집시


마헤이
만차오란
만주
말루
멘파
몰라오
몽 - 남서부 후이슈이
몽 - 루오포헤
몽 - 서부 마샨
몽 - 중부 마샨
몽 - 총간지안
부리그
부리야트 (북부 몽골)
북부 메오
빠이
뺘오 미엔
뿌누
뿌랑
뿌이
삐요
산쑤
살라르

서부 라와
서부 만주
술룽
슈이

아디
아투엔처
암도
야오
어웬크
옹뻬
위 미엔
위구르
윈난성의 샨
융-춘
이 - 꾸이조우
이 - 중부
일본인
쟈룽
중국계 눙(한족 눙)
중국계 몽골
중국계 샨
중국계 타직
중부 티벳인
지누
지아마오
쩨쿠
쭈앙
초니
치앙
치엔치앙

카도
카자흐
칼미크-오이라트
칼카 몽골


켈라오
코푸

키르기즈
타이 눙
타직



투지아

퉁샹
파낭
파옹간
팔라웅
푸미
하니
한족 (하이난)
한족 (하카)
한족 (후난)
황색 위구르
후이
흑 타이

Link

     

     

    중국소수민족정보

    1. Ai-Cham People 아이춤족
    "사흘간 태양이 없었고, 사흘간 평지를 볼 수 없었고, 사람들은 동전 몇 닢이 없어 애태우고 있었다."  아이춤족 어머니가 자신들에 대해 기술한 기사를 아들에게 읽어주고 있다.  이것을 듣던 아이가 물었다.  "그게 무슨 뜻이죠  중국 사람들이 우리를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더군요."  "너는 아주 어릴 때부터 우리들과 함께 논과 밭에 나가 일을 했지.  땅에 돌과 바위가 너무 많아서 이것들을 걸러 내지 않으면 벼를 재배할 수 없거든.  땅이 척박하고, 비가 내려 곡식을 쓸어 버리기 때문에 항상 우리의 수확은 부족하단다.  이 때문에 우리는 가난할 수밖에 없지.  중국 사람들은 우리의 가난한 모습을 그런 식으로 글로 기록한 것이다."  귀조우성 남부에 13개의 마을에서 약 2,300 명의 아이춤족이 살고 있다.  이들은 여러 신들을 섬기는데 대개는 자연과 연관이 있는 신들이다.  이들은 악령을 믿으며 조상신을 섬긴다.  이들 역시 미전도종족이며 그리스도의 구원에 대해 들은 바도 아는바도 없다.  이들 언어로 만들어진 성경도 복음음반자료도 없다.

    2. Ainu People 아이누족
    일본에도 아이누족이 있지만, 중국에 거주하는 아이누족과는 아무 상관 없이 이름만 같은 뿐이다.  중국의 아이누족은 카시가르시 근처에 살고 있다.  카시가르시는 중국 변방의 고립된 도시이다.  과거 낙타 이외에 별다른 여행수단이 없던 시절에는 베이징에서 카시가르까지 가려면 2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했다.  카시가르는 대체로 이슬람지역이다.  그러나 아이누족은 주변의 위구르족을 포함한 이슬람계 이웃들과 별다른 교류를 하지 않고 철저히 고립된 채 지내고 있다.  그 이유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아이누족의 전체 규모는 6,500 명 가량이고, 대체로 6개 현에 흩어져 살고 있으나 위구르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13세기 경, 기독교가 중국에서 토착화되어 생긴 일종의 변형 기독교 종교인 네스토리안교회가 성행할 당시 카시가르에도 주교가 머무르고 있을 정도로 카시가르는 네스토리안교회가 성행했던 도시였다.  즉 중앙아시아와 중국 사이의 네스토리안교회 교류의 연결점이 카시가르였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순니 이슬람 색채가 완연하며 네스토리안교는 흔적도 찾기 힘들다.  또 지역적 고립 때문에 기독교 복음도 제대로 전해진 적이 없다.  아이누족의 96%는 복음을 들어본 적 조차 없다.  현재까지 확인된 신자도 없다.  다만 최근 위구르어로 제작되는 복음방송이 라디오로 방송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주변이 온통 이슬람 천지이다보니 방송을 통해 마음에 어떤 감동이 일더라도 이들이 신앙의 결단을 내리려면 주춤거릴 수 밖에 없다.

    3. Akto Turkan 악토투르칸족
    칼을 빼든 악토투르칸족 남성이 요리가 된 양머리를 능숙하게 잘라내 저녁 식사 손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손님은 만족하고 감사한 듯 고개를 끄덕였다.  그는 이미 양의 꼬리의 지방부위와 어깨 부위를 대접받았는데 이는 악토투르칸족 사이에서는 최고의 극진한 대접으로 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는 더 깊은 예의를 표하기 위해 손님과 함께 온 부인들과 아이들에게도 고기를 나누어주었다.  악토투르칸족의 수는 거의 2천 명에 달하며 서부 신짱성의 오지의 산악의 두 마을에 나뉘어 살고 있다.  이들은 원래 키르기즈족 계열이지만 언어는 투르킥위구르언어를 구사한다.  이들은 매우 능수능란한 목자들이며, 평화롭고 우호적인 품성을 지닌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이 살고 있는 좁은 지역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그 하나는 수시로 발생하는 지진이며, 또 하나는 동부 투르키스탄 사람들의 공격이다.  동부투르키스탄 테러그룹은 신짱을 중국에서 분리하여 독립국을 건설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최근들어서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진압으로 활동이 뜸하기는 하다.  악토투르칸족은 순니 이슬람 신자들이지만 이들의 이슬람 신앙에는 조상숭배와 샤머니즘, 마술 등의 토속 신앙의 요소가 섞여 있다.  이 지역은 분쟁지역인데다가 지진 다발지역이기 때문에 중국의 기독교인들 가운데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이들을 방문한 사람들은 거의 없다.  게다가 그들은 이슬람교가 아닌 다른 종교로 개종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

    4. Ake People 아케르족
    H당신은 몇 대 조상까지 이름을 알고 있는가  아케족은 20대 조상까지 조상의 이름과 그들의 행적을 기억하고 있다.  놀라운 것은 이들에게 문자가 없으며 이들은 조상의 이름과 행적을 몽땅 외워 구전으로 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현재 아케르족의 수는 약 1천 명 가량이다.  아케르족은 중국에서도 다민족이 함께 사는 것으로 유명한 윤난성에 살고 있다.  윤난성은 지리적으로 라오스와 미얀마 사이에 끼어 있는 좁은 지대이다.  이들은 규모가 워낙 적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이들을 별개의 종족으로 취급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케르족은 자신들이 과거에는 문자를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이 문자를 나무 껍질을 벗기고 찍어서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자기록 방식은 농경정착생활을 할 때는 사용 가능했으나 사용하던 땅이 별로 비옥하지 않아 자주 이동하게 되면서 문자를 잃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들은 스스로는 특별하게 믿는 종교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조상을 섬기고 자연 속에 깃든 영들을 위로하려고 애를 쓴다.  그들은 이러한 영들이 자신들의 삶을 지배한다고 생각한다.  이들 가운데 대부분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고, 아직까지 그리스도를 영접한 사람도 없다.

    5. Amdo People 암도족
    그들은 터덜터덜 걸어가면서 회전기도장치(티벳불교도 등이 기도하는데 사용하는 둥근 원통형 상자)를 돌리고, 묵주도 주무르며 카르마신이 그들이 열반과 해탈에 이르도록 인도해 주시기를 빌고 있었다.  그들은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린 후 다시 가슴으로 손을 모았다.  그리고는 땅에 엎드렸다.  그들은 그들의 신을 향해 이렇게 어려운 의식을 치르고 있었다.  이들은 오직 그리스도만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루어주실 수 있는 전능자임을 알지 못한다.  이들 암도족은 대개 불교를 믿는다.  81만 명의 암도족은 크게 보면 티벳인의 한 분파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은 큉가이성, 간수성, 시추안성 등에 흩어져 산다.  이들 가운데 98%는 예수의 이름을 들어본 적 조차 없다.  이들은 오랜 세월동안 무거운 무기를 들고 말을 타고 전쟁을 해 온 호전적인 기마종족이다.  이 때문에 이들은 매우 척박한 산지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주변 종족들은 이들의 호전성 때문에 감히 이들이 살고 있는 곳에 들어갈 생각을 못했다.  암도족은 선교사들이 그들의 마을에 들어오면 죽여버리거나 내쫓았다.

    6. Angku People 앙쿠족
    이와 잇몸을 검게 물들이고, 비틀런트를 씹는 것은 앙쿠족 여성 사이의 유행이다.  비틀런트는 아시아에서 나는 열매로 약한 마약성분이 들어 있다.  앙쿠족 어린 남자 아이들은 일정기간 동안 동자승으로 불교 사원에서 지낸다.  전통적으로 모든 남자아이는 어린 나이에 집을 떠나 12살까지 사원에서 생활하다가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앙쿠족이 자기 수행, 가르침, 토론 등을 통해 불교의 이치를 깨닿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마을마다 불교 사원이 있다.  약 7천 명 가량의 앙쿠족은 윤난성 남부에 살고 있다.  이들은 규모가 작기 때문에 중국정부는 이들을 독립된 종족으로 분류하기 �고 불랑족의 한 분파로 본다.  앙쿠족과 불랑족은 모두 불교의 한 분파인 데라바다불교를 믿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언어는 다르다.  앙쿠어는 몬크메르어에서 갈라져 나온 언어로 추정되며 불랑어도 몬크메르어 계통이기는 하지만, 양 언어 사이에는 전혀 소통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불랑어는 와족이나 등족 언어와 비슷한 면이 있다.  중국 뿐 아니라 라오스와 미얀마, 태국 등에도 앙쿠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앙쿠족은 워낙 수가 작기 때문에 선교기관들의 관심권에서도 벗어나 있다.  앙쿠족 사회에는 교회가 전혀 없으며, 이들 언어로 만들어진 전도용 자료도 전혀 없다.

    7. Ani People 아니족
    "아주 오랜 옛날, 마르코폴로라는 유럽인이 우리 조상을 찾아왔다.  마르코폴로는 아니족 사람들이 매우 친절하여 나그네가 있으면 기꺼이 자신의 집에 재워주는 풍습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니족 아버지가 아들에게 옛날의 자기 조상의 이야기를 해 주고 있다.  "아니족 사람들은 자신의 집에서 하룻밤을 유하는 나그네에게 '우리 집 안에 있는 것은 모두 당신의 것이라고 생각하시오.  심지어 내 아내나 딸이나 내 집안에 있는 모든 생명체들도 다 마찬가지요.'라고 말한다.  집주인 가장 좋은 자기의 자리를 나그네에게 내 주는 대신에 자신은 집 밖의 벌판에서 하룻밤을 지냈단다.  그리고 나그네가 집을 떠날때까지 집안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그러자 소년의 얼굴에는 당황의 빛이 역력했다.  이를 눈치챈 아버지는 이야기의 방향을 좀 돌렸다.  "중국 정부는 우리를 별도의 종족으로 취급하지 않는다는구나.  우리와 또 다른 네 종족을 합쳐서 이족으로 묶어 구분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한 우리말이 있으니 3천 명이나 되는 우리 아니족과 다른 종족은 같을 수가 없어."  아니족은 세상을 창조한 창조주가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 창조주가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은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들은 또 조상을 숭배하며, 질병은 영들의 장난이라고 믿는다.

    8. Ao Biao People 아오비아오족
    "우리는 판후의 후손이다.  판후는 용과 비슷하게 생긴 전설의 동물이지."  아오비아오족 젊은이가 산 너머에 사는 강한 이웃 종족을 만나자 이렇게 자랑했다.  아오비아오족은 이 이웃종족과 전통적으로 라이벌 의식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사이이다.  "우리는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산 토박이들이고, 이 광활한 산과 땅을 모두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자 이야기를 듣고 있던 또 다른 젊은이가 말참견 했다.  "봐라.  모든 집들이 돌과 나무로 지어져 있지.  대나무 집은 없잖아 "  1만 2천 명 가량의 아오비아오족은 광시성 중부의 대(大)야오산이라고 불리는 산지에 살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 사는 아오비아오족은 하나도 없다.  외지로 나가거나 도시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사람이 전혀 없다는 말이다.  그들은 중국 내의 규모가 극히 미미한 극소수종족 가운데 하나이며, 도교를 숭상한다.  그런데 이들에게 전해내려 오는 전설들 가운데는 아주 오래 전에 지구를 뒤덮었다는 대홍수에 대한 이야기와 마치 바발탑 사건을 연상시키는 종족의 대이산의 이야기가 있다.  이들은 약 70년 전 선교사들을 통해 복음을 접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 전혀 복음을 듣지 못하다가 불과 몇년 전에 다시 중국인 선교사를 통해 복음을 접하게 되었다.  지금 이들 가운데는 15명 가량의 그리스도인이 있다.

    9. Azhe People 아제족
    음력 10월 14일이다.  마을 사람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신성한 산에 오르고 있다.  마을의 무당은 소 한 마리와 닭 두 마리를 도살하여 제물로 바쳐 산신을 달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이 자신들의 삶을 바꿀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윤난성에 살고 있는 아제족이다.  중국 정부는 이들을 이족의 하부 종족의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아제족은 이 사실을 부인한다.  다른 종족이나 이족의 다른 분파와 절대 결혼하지 않고 그들끼리만 결혼하기 때문에 그들은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다른 종족들과 철저하게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아제족의 종교문화는 기본적으로 다신교문화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섬기는 헛된 신들을 위해 자주 제사를 지내고 특별하게 기념해야 할 날을 만들어 놓았다.  20세기 초 프랑스의 카톨릭 선교사들이 이들을 상대로 활동한 적이 있고, 그 영향 때문에 아제족 사이에는 단 한 개밖에 안되지만 카톨릭 모임이 존재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아제족 사람들은 복음을 전혀 모른다.  세대를 지나가면서 외부의 영향과도 단절되어 있어 복음을 전하기도 쉽지 않다.  이들의 언어로 만들어진 복음음반도 이미 제작되었지만, 성경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

    10. Aoka People 아오크와족
    "빨리 난로 위의 주전자를 치워라.  겉이 벌써 시꺼멓게 타 버렸다."  아오크와족 여인이 딸에게 급히 채근하고 있다.  아오크와족은 후난성과 광씨성에 사는 미아오족의 하부종족이다.  이들은 반드시 난로가 집안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난로 안에 그들의 삶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중요한 영이 깃들여져 있다고 믿어 난로의 영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조심한다.  밤중에 난로 위에 주전자나 팬을 올려 놓아도 안되고, 난로 위에 무언가를 태워도 안된다.  아오크와족은 스스로를 미아오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하며 그 규모는 20만 명 가량이다.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언어가 있기 때문에 미야오족과는 차이가 있다고 간주한다.  19세기 말부터 긴 역사를 따라 중국 대륙을 휩쓴 수많은 전쟁을 자꾸 피해다니다보니 지금 그들은 중국에서도 가장 오지에 살고 있다.  아오크와족의 75%는 복음을 들어본 적이 없고, 이들 대부분은 문맹이다.  또 이들의 언어는 문자가 없는 구음언어이다.  그들은 오래 동안 정령 숭배자로서 살아왔다.  게다가 중국 한족의 영향으로 조상 숭배의 문화도 있다.  조상대대로부터 구전하여 내려오는 설화 가운데는 하늘과 땅 사이에 놓인 사다리가 있었으나 그 사다리가 부러져 그 이후로는 누구도 하늘에 올라갈 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11. Baima People 바이마족(1)
    이수씨안은 자신의 양가죽 모자에 붙은 수탉 깃털 장식을 자랑하고 싶어서 잘 보이도록 오른 쪽으로 틀어 놓았다.  그리고 그 옆에는 물고기뼈로 만든 목걸이를 놓아 두었다.  그리고 남동생의 손을 잡고 숙부의 장�레 참석하기 위해 길을 따라 내려갔다.  오늘은 수씨안 뿐 아니라 화이트 호스 계곡에 사는 1만 4천 명 모두에게 슬픈 날이다.  그러나 수씨안은 은근히 기분이 좋은 편이다.  숙부를 추모한다는 이유이기는 하지만 모처럼 멋진 드레스를 입었기 때문이다.  "츈타, 너 수탉 봤어  수탉은 행운을 가져다 주는 동물이야.  수백 년 전에 수탉이 우는 바람에 사람들이 깨어나서 침입자들을 피할 수 있었다.  수탉 한 마리가 모든 사람을 구한 것이지.  그래서 우리가 수탉신을 섬기는 거야.  우리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처럼 불교를 믿지 않아.  수탉 말고도 우리는 섬겨야 할 신들이 많아.  그러나 가장 위대한 신은 백마신이지."  수씨안은 여섯 살 난 남동생에게 말했다.

    12. Baima People 바이마족(2)
    노인은 지팡이를 소년을 향해 흔들며 말했다.  "수탉을 혼자 있게 내 버려둬!  수탉은 우리에게는 신이야.  그 수탉은 몇 년째 우리 마을 사람들을 보호해 주시고, 재앙을 경고해 주시는 신이시란 말이야."  그러자 소년은 급히 수탉으로부터 멀리 달아났다.  약 1만 4천 명 가량의 바이마족은 시추안성과 간수성의 접경 지대의 바이마계곡의 14 개 마을에 흩어져 할고 있다.  바이마란 하얀 말이라는 뜻이다.  바이마족은 디족의 후소니다.  중국정부는 바이마족을 티벳족의 일부로 여긴다.  그러나 이들은 그들만의 언어와 복식이 있고, 그들만의 독특한 전통 문화가 있다.  그리고 티벳불교에 전혀 관심이 없다.  이들의 종교는 정령숭배와 샤머니즘이 혼합된 모습이다.  사람이 죽으면 그들은 무덤 꼭대기에 색색의 깃발을 세운다.  그들은 이 깃발이 죽은자를 천국으로 이끈다고 믿는다.    바이마족은 복음을 거의 접한 적이 없다.  그들의 문화적, 언어적, 지리적 고립 때문에 그들은 다른 바깥세계는 물론 복음으로부터도 고립되어 있다.

    13. Baishi Miao People 바이시메오우족
    리안은 조급한 표정으로 친구에게 말했다.  "마을 사람들이 장터에서 곧 돌아올꺼야.  그들이 돌아오기 전에 빨리 이 책을 봐야해."  이들은 9살난 아이들이다.  이들은 버드나무를 타고 살금살금 기어내려와 수씨의 집 문앞에 다달았다.  그리고 책이 보관되어 있는 목재 테이블로 움직였다.  "여기 있다.  수 아저씨의 아버지가 옛날에 큰 도시에 가서 사온 책이라고 했어.  수 아저씨 말로는 이 책에 영원히 사는 법이 적혀 있다고 했어!"  리안이 낮은 목소리로 말했다.  그들은 경건한 마음으로 책을 펼쳤다.  "이거 중국어잖아.  어떻게 영원히 사는 법을 알아낸다지 "  소년들의 목소리는 이내 실망의 빛이 역력했다.  이는 1만 3천 명의 바이시 메오우족이 공통적으로 겪는 난관이다.  이들은 중국어를 말하지도 읽지도 못한다.  그들은 그들 고유의 언어 이외에는 알지 못한다.  이들의 언어로 번역된 성경이나 예수 영화도 없고, 이들을 위해 일하는 선교사들도 없으며 알려진 기독교인도 없다.  그나마 그들을 위하여 세계 곳곳의 성도들이 기도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가망이 없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들을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보내셨다는 사실을 그들이 알 게 될 날은 언제 올 것인가

    14. Bei People 바이족
    붉고 푸른 색의 소매 없는 자켓을 입고, 머리는 푸른색과 흰색으로 꾸민 두 명의 바이족 여성이 리짱의 어느 시장에 분주한 모습으로 서 있다.  길을 건너서는 또 다른 바이족 여성 4 명이 돌이 가득 든 바구니를 줄로 묶어 힘들 게 끌고 있다.  이처럼 열심히 일하는 여성의 모습은 2만 3천 명 규모의 바이족 여성들의 일상적인 모습이다.  이들 바이족의 영문표기는 Bei이다.  그들은 또 다른 바이족인 Bai족과 자신들을 철저하게 구별하며, 언어도 그들만의 고유한 언어를 구사한다.  이들은 가족지향적이며, 일부일처제의 결혼풍습을 가지고 있으며, 남성 중심의 사회이다.  그러나 요즘 바이족 젊은이들은 한족의 정통 중국문화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들은 조상대대로 내려오는 문화적 전통과 신앙을 고수하기 보다는 중국어인 만다린어에 관심이 더 많다.  종교적으로 바이족의 종교는 정령숭배와 다신교, 조상숭배, 불교 등의 잡다한 요소가 뒤섞여 있다.  같은 리짱 지역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는 낙씨족 가운데 소수의 신자들이 있지만, 이들은 아직 바이족 이웃들을 전도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아직 바이족 언어로 번역된 성경이나 복음음반자료들은 없다.

    15. Beidalao People 바이다라오우족
    씬이는 아기가 처음으로 말을 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면서 미소를 지었다.  아이가 처음으로 말한 단어는 "니 하오마"라는 만다린어의 인사말이다.  아마도 같은 동네에 사는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나 동족이 하는 말을 주워 들은 모양이다.  그러나 그들 종족인 바이다라오우족은 만다린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중국의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바이다라오우족 아이들은 집에서는 자신들의 종족언어를 사용하고 밖에서는 중국 전체나 그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용어를 사용한다.  1만 9300 명 가량의 바이다라오우족은 광씨성 북부의 구릉지대와 초지에 거주한다.  중국 정부는 이들을 공식적으로는 야오족의 일부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들은 야오족과는 혈통적으로나 언어적으로 확연하게 구분된다.  바이다라오우족은 정령숭배자이며, 조상숭배자이며, 다신교적 종교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들 사이에 기독교인은 전혀 없다.  아마 예수의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전체의 7% 정도밖에 안될 것이다.  그 이유는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 인근에 뚜렷한 기독교인 공동체가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성경도 없고, 예수 영화도 없고, 그들의 언어로 된 복음음반도 없다.  이들에게 관심을 품고 있는 선교사나 선교단체도 없다.

    16. Beidongnuo People 중국의 바이동누오족
    "이걸 어떻게 발음해야 합니까  바이... 동... 누오...맞습니까 "  중국 관리의 질문에 기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1949년에 이들을 방문했던 선교사들도 이들에 대한 글을 남겼고, 1982년의 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귀조우성 남부의 두 개마을에 244명이 살고 있다고 하는군요.  그러나 그 센서스 이후 센서스를 책임지고 있는 당국은 이 종족에 대한 추적을 전혀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들은 만다린어를 전혀 하지 못합니다.  불과 200 명이 조금 넘는 규모이지만 자신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지요.  워낙 오지에 살고 있어서 그들을 찾아가 만났다는 사람들이 거의 없습니다.  극소수이지만 그들을 만난 사람들은 그들을 "긴소매종족"이라고 부릅니다.  그들은 조상신과 다양한 신들을 섬깁니다.  그러자 관리는 고개를 저으며 기자의 말을 반박했다.  마치 정부가 무관심한 것처럼 말하는데 그건 아니고, 그들을 괴롭히고 싶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7. Biao-Jiao Mien People 비아우제오우메엔족
    농부가 테이블을 쿵 하고 내리쳤고 테이블 위의 차가 흘러내렸다.  "너는 절대로 그 여자 아이하고 결혼해서는 안돼.  그 아이는 우리 비아우제오우메엔족이 아니잖니!"  비아우제오우메엔족은 광시성 북동부 산악 지대의 계곡의 강둑을 따라 20 - 50 가구씩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으며, 규모는 약 5만 명 정도이다.  인근의 후난성에도 일부가 살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가난한 농부들이다.  일부는 농토를 버리고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기도 했다.  비아우제오우메엔족은 다신교적인 정령숭배자이다.  또 도교를 숭상한다.  도교는 중국의 토착종교이자 철학으로 기원전 604년 경에 출현했다.  도교는 눈에 보이지 않은 영적인 힘이 삶과 운명을 결정한다고 믿는다.  이들 가운데 알려진 기독교인은 없다.  이들의 언어로 번역된 성경이나 예수 영화, 복음음반, 복음방송 등이 전무하다.  선교사들이 이들을 찾아가 본 적도 없다고 한다.

    18. Boyu Tibetan People 보유 티벳족
    티벳어로 "주그"(Zhug)란 용을 의미한다.  주그는 보유 티벳족들이 섬기는 중요한 우상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들은 불교신자들인 동시에 다신교인들이고, 정령숭배자이다.  그들은 주그를 천둥 번개와 폭우를 쏟아내는 폭군이라고 믿는다.  그런가 하면 보유 티벳족은 리안지신도 믿는다.  리안지는 꽃들의 신이다.  그들은 꽃의신 리안지가 보유족을 불쌍하고 가련하게 굽어 볼 때 하늘에서 내려와 농사를 도와 풍작을 이루어 준다고 믿는다.  그래서 보유족은 해마다 추수를 하면 리안지에 감사하는축제를 연다.  약 3천 명 가량의 보유족이 간수성의 가난한 지역에 큰 마을을 이루고 산다.  이들은 9800 피트의 고산지대에 살고 있다.  워낙 오지이고 교통수단 마저 변변히 없기 때문에 이들에게 다가가는 것은 굉장히 힘들다.  이 때문에 그들은 오랜 기간 동안 고립된 채 살아왔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그들은 원래 티벳에서 살다가 수 백 년 전에 간수성으로 이주해 왔고, 지금까지 복장과 언어 등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사회에서 활동하는 기독 사역자들은 거의 없다.  또 이들의 언어로 된 기독교 자료나 성경도 전혀 없다.

    19. Boluzi People 볼루치족
    우리가 속한 종족이 한 세대 혹은 두 세대 안에 소멸될위기에 처해 있다고 치자.  또 우리가 살고 있는 나라의 정부가 우리 종족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고 치자.  정부는커녕 우리 종족에 속한 사람들조차도 자기 자신을 다른 종족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있고, 우리의 오랜 문화적 유산조차 잃어 버렸다고 치자.  중국에는 이런 종족이 실제로 존재한다.  중국 북부의 시추안성의 씨아오 헤쉬 지역에 살고 있는 볼루치족이 그들이다.  소멸위기에 처한 이들은 자기 자신들을 티벳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볼루치족 자신들조차 이렇게 생각하다보니 외부에서 볼루치족의 존재를 알 까닭이 없다.  볼루치족 사람들 스스로 자신들을 티벳족의 일원이라고 생각한다는 이야기는 앞으로 한 두 세대 안에 볼루치족이 소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960년 경만해도 볼루치족은 말을 타고 다니며 인근 지역을 약탈하는 호전성으로 요명한 종족이었다.  그 때에 비하면 지금의 볼루치족은 상당히 순해졌다고도  볼 수 있다.  지금 이들은 곡물을 경작하여 수확하거나 가축을 기르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를 티벳족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정작 티벳인들의 종교라고 할 수 있는 티벳불교는 이들에게 거의 침투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볼루치족의 인구는 1천에서 2천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이들 가운데 기독교 신자가 있다는 보고는 들어오지 않고 있다.

    20. Bouyei People 부이족(1)
    "당신은 이 모든 꽃보다도 아름답고, 당신을 향한 나의 사랑은 후앙구오슈 폭포 보다 더 높습니다.  커다란 폭포 소리는 당신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나의 노래입니다."  대부분의 부이족 젊은이들이 그러하듯이 지금 이 청년은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에게 구애의 노래를 부르며 청혼을 하고 있다.  260 만 명의 부이족들이 귀조우성 전역에 흩어져 살고 있다.  그러나 특히 이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은 수많은 산들과 강들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지역이다.  후앙구오슈 폭포라는 전설 속의 폭포도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있다고 전하여 지고 있다.  부이족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살아가지만 이 모든 아름다움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여러 영들을 섬기는 제사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데부분의 부이족 사람들은 미신에 민감하여 영계로부터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이들의 99.9%는 복음을 들어본 바가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들이 외지인들에게 호의적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호의적이면서도 외지의 문물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많다.  기독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1.Bouyei People 부이족(2)
    부이족이 살고 있는 귀조우성의 오지는 한 해 동안 햇빛이 드는 날이 한달도 되지 않는다.  그러나 기후가 온화하고, 토지는 비옥한 편이다.  부이족은 중국에서도 가장 가난한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이다.  귀조우성의 산악지대는 무척 아름답다.  그러나 산악의 험준함은 복음 전파에 있어서는 커다란 장벽이다.  이들이 사는 마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도보 이외에는 별다른 교통수단이 없다.  기근과 가난 등으로 인해 이들 가운데 라디오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가 전체의 6 %에 불과하다.  이는 중국의 각 종족 가운데 최저의 수치이다.  당연히 이들의 언어로 방송되는 복음방송도 없다.  부이어 성경번역 작업은 일부분만 진행되었다.  이들의 99%는 불교신자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령숭배자들이다.  이들은 악한 영을 쫓아내거나 비유를 맞추는 수많은 의식을 일년 내내 행한다.  다만 한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이들이 복음에 대해 격한 저항감은 없다는 것이다.

    22. Bunu people 부누족
    "큰 홍수가 나서 세상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물에 빠져 죽었네"  부누족 소년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는 부누족의 전통적인 수확을 감사하는 의미로 팡후 왕에게 드리는 제사에서 노래를 하고 있는 것이다.  부누족은 온 세상을 판후 왕이 창조했다고 믿고 있다.  이처럼 부누족은 창조주의 존재를 믿는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한때 대홍수로 인해 전인류가 멸망했다는 전설도 전승되어 내려온다.  그러나 온 인류의 구주되시는 분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수세기 동안 부누족은 남쪽으로 계속 이주를 해 지금의 장소에 정착했다.  그들은 오랜 세월동안 중국인들과 주앙족 등으로부터 살고 있는 땅을 빼앗기고 남쪽으로 남쪽으로 거처를 옮긴 것이다.  그들의 역사를 살펴 보면 이러한 외족들로부터의 침입으로 인해 종족 전체가 소멸될 위기까지 내몰린 적도 있었다.  중국 정부가 1982년에 행한 인구센서스 결과에 의하면 광씨성과 윤난성 등에 약 43만 9천 명의 부누족이 살고 있다.  이들 가운데 30만 명은 자신의 종족 언어보다도 주앙어를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누족의 언어는 몽족언어 계열의 방언이다.  43만 9천이라고 하면 중국이라는 거대 국가 안에서 보면 큰 종족 규모도 아니지만 소멸 단계에 들어선 극소수종족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그러나 이들 사회에 교회는 단 한 곳도 없다.  다만 열 댓 명 가량의 신자들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23. Buyang People 부양족
    핑은 제단에 복초이수프가 담긴 그릇을 놓으려다가 발을 헛디뎠다.  국물이 제단 위에 모셔진 조상의 영정에 튀었다.  황급히 일어난 핑은 어쨌든 제단에 국물을 바치고 내려와 제사가 진행되는 방 밖으로 뛰쳐 나갔다.  그는 마음이 암담했다.  조상께서는 그의 부주의함으로 인해 그와 가족들에게 벌을 내리실지도 모른다.  이 사실을 아내에게 말하면 아내도 낙담할 것이다.  그는 자신의 죄를 씻기 위해 가까운 사원을 찾아가서 제사용 가짜 종이돈을 사와서 제단 앞에서 태워야 한다.  이 종이돈을 많이 태우면 조상이 그를 용서해줄지도 모른다.  물론 종이돈은 무지하게 비싸다.  핑은 윤난성에 사는 3,500 명 가량의 부양족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들은 반드시 조상의 영혼을 정성껏 돌봐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조상이 저세상에서 배고프지 않도록 식사 때마다 음식을 제단에 바치고, 궁핍하지 않도록 제단 앞에서 돈을 태운다.  Operation China는 "조상숭배 풍습은 부양족이 벗어날 수 없는 영적인 결박이다.  조상숭배를 반해하는 어떤 사회적, 종교적 도전도 용납하지 않는다.  부양족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24. Buryat People 부리야트족
    타오는 그들이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느꼈다.  타오의 형들과 친구들이 리앙을 납치해서 타오의 텐트로 데리고 오고 있다.  말하자면 그 텐트는 신방인 셈이다.  부리야트족은 부모에 의해 정해진대로 결혼하기도 하지만, 서로 좋아하는 남녀가 있으면 이런 식으로 결혼한다.  그러니까 말이 납치지 사실은 리앙도 납치에 동의를 하고 납치 당해 준 것이다.  그러나 드물기는 하지만 전혀 신부의 동의 없이 납치해서 신부로 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들 사회에서는 남자 아이가 태어나도 남자 아이의 이름을 본명으로 지어주고, 별도로 여자 아이의 이름도 지어준다.  여자아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 이유는 아이들을 꾀어 잡으로 악한 영을 그렇게 해서 헷갈리게 해야 잡혀가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들은 부리야트족이다.  원래 이들은 시베리아에도 거주하지만 일부는 몽골 근처 중국 땅에 거주한다.  중국의 부리야트족은 7만 8천 명 가량이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티벳 불교신자이며, 달라이라마의 가르침에 깊이 빠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특별한 종교를 믿지 않는다.  그 이유는 70년 넘게 중국공산당 정부로부터 종교를 버릴 것을 강요 당했기 때문이다.

    25. Central Luoluopo People 중부 루오루오포족
    거의 100 년 쯤 전에 프랑스의 카톨릭 선교사가 윤낭성의 중부 루오루오포족을 위해서 성경의 탕자의 비유를 이들의 언어로 번역한 적이 있었다.  그가 왜 성경의 하고 많은 이야기 가운데 이 비유를 번역했는지는 알 수 없다.  오늘날 중부 루오루오포족 신자들 가운데 교회에 출석하는 사람의 수는 극소수이다.  37만 3천 명의 중부 루오루오포족들 대부분은 여러 전통신을 함께 섬기지만 복음은 거의 알지 못한다.  복음음반선교회는 이들을 위해 1998년에 몇몇 복음음반을 제작했었다.  이 것이 계기가 되어 좀더 많은 중부루오루오포족 사람들이 참 하나님 아버지께 돌아오고 그리스도의 복음에 반응했다.  루로루오포족은 그들의 전설 속에 나오는 호랑이 신을 믿으며 해마다 열리는 호랑이 축제는 가장 중요한 행사이다.  루오루오포라는 말도 "호랑이-용 족"이라는 의미이다.  이들은 이(Yi)족의 하부 그룹으로 축제를 좋아하는 종족이다.  이들이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축제 가운데 하나가 열린길 축제이다. 이는 매년 2월에 열리는데 이 때가 되면 가장 좋은 옷을 입고, 독신자들은 배우자를  찾기 위해 열심을 내는 기간이다.  결국 이 축제는 성적으로는 매우 난잡한  축제가 된다.

    26. Changshu Miao People 충슈메오우족
    '충슈'란 '긴 빗'이라는 의미의 중국어이다.  1만 8천 명 규모의 충슈족이 자신들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 수 없지만 외부인들은 어떤 이유에서 인지 그들을 충슈메오우족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들의 의복은 독특하다.  수평의 벨트를 두르고 복잡한 자수를 놓은 옷을 입고 다닌다.  또 여성의 머리에는 대나무 빗을 장식하고 다니는데 그 길이는 18인치에 이른다.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다른 종족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그리 멀지 않다.  이들은 몽슈아드어의 방언을 구사하는데 이 언어는 서부 미아오족의 언어의 한 방언이다.  충슈메오우족은 다른 종족들과 거리적으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저하게 종족 내에서만 결혼한다.  그들은 매년 축제를 벌이는데 이 축제는 새롭고 멋진 옷과 은제 보석장신구의 전시장이다.  충슈메오우족은 정령들과 조상을 숭배하는 종족이다.  이들은 미신에 민감하고 집집마다 조상을 모시는 제단을 두고 있다.  현재가지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로는 이들 가운데 기독교인은 전혀 없다.

    27. Chrame people 크라메족
    노인은 꾸물거리는 구더기를 잠깐 보더니 입에 털어 넣고 삼켰다.  손님이 버리려고 하던 이 구더기를 버리기 전에 손에 넣은 것은 행운이다.  이 노인은 이러한 추한 행동 하기 때문에 동족인 크라메족으로부터도 무시 당한다.  마찬가지로 크라메족 역시 그들이 속한 나라인 중국으로부터 철저하게 무시 당한다.  현재 크라메족의 수는 약 3만 9천 명이다.  이들은 중국이 만주를 점령한 17세기부터 중국에 편입되어 무시와 괄시를 당하고 있다.  그전만해도 그들은 그들의 언어와 그들의 전통과 그들의 나라가 있었다. 크라메족은 철저한 불교신자들이다.  과거 그들이 그들만의 나라를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나라를 다스리는 왕은 불교 성직자가 겸직했었다.  1950년대 초, 공산정권이 중국에 들어서면서 크라메족의 왕도 공산군에 의해 납치 당했고, 왕이자 성직자가 살던 불교사원은 파괴 당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이들을 독립된 소수종족으로 인정하지 않고, 티벳족의 일부로 간주하고 잇다.  그러나 이들은 티벳족의 언어를 한 마디도 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크라메족의 존재조차 모른다.  중국에 관심 있는 선교기관들 조차도 크라메족의 존재를 모른다.

    28. Daizhan People 다이잔족
    그녀는 어머니로부터 그 이야기를 들었다.  이제 그 이야기를 자신의 어린 아이에게 해 주려고 한다.  "오래 전, 우리의 조상은 아주 젊고 사랑스러운 여자와 결혼 했다.  그 여자는 임신했다.  쌍둥이를 임신했는데 이 쌍둥이들이 세상에 나오기 전부터 엄마의 뱃속에서 싸웠어.  태어나고 나서도 두 형제는 늘 싸웠다."  다이잔족들은 자신들이 거칠고 성급한 이유를 설명할 때 곧잘 이 종족설화를 인용한다.  1만 1600 명 가량의 다이잔족은 윤난성에 살고 있다.  40세 이상의 성인들 가운데는 자신들의 전통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중국어를 사용한다. 그들 대부분은 정령숭배자들이다.  영혼이 병들어 육신을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은 항상 팔에 붉은 띠 같은 것을 감고 다닌다.  다이잔족 가운데는 기독교인이 한 명도 없다.

    29. Dajishan Qiang people 다지샨퀴앙족
    "그들의 역사는 상당히 길다."  역사의 기록을 봐도 그들은 4천 년 전부터 등장한다.  아주 오래 전부터 그들은 62개의 각기 다른 하부 그룹으로 분화했다.  그들의 제단에는 특별히 세워 놓은 우상이 없다.  그러나 그들은 집집마다 높은 벽에 다섯 개의 하얀 돌을 우상 대신 세워 놓았다.  오늘날, 자지샨퀴앙족은 퀴앙족의 11개 하부 그룹 가운데 하나로 분류되며 그 수는 1만 명 가량이다.  자지샨퀴앙족은 남부 퀴앙족의 다섯 하부 종족 가운데 하나이다.  그들의 언어는 매우 독특해서 퀴앙족 그룹의 다른 하부종족과도 언어 소통이 불가능하다.  스코틀란드의 선교사인 토마스 토랜스는 중국내지선교회 소속으로 1895 - 1901 년부터 퀴앙족을 위해 일했다.  그 후에는 미국성서공회 소속 선교사들이 1930년대까지 이들을 위해 일했다.  그 결과 상당한 신자를 얻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 신자들은 다지샨퀴앙족 출신도 있었고, 다른 퀴앙족 그룹 소속도 있었다.  그 중 다지샨퀴앙인들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현재는 다지샨퀴앙족 가운데 87%는 복음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한다.  그들의 언어로 된 성경과 복음음반, 예수영화, 기독라디오방송도 없다.

    30. Dan Han People 단한족
    "왜 리창네 식구들은 배에서 떠나질 못하는걸까 "  젊은 중국인 소년은 새로 사귄 친구가 자기의 집에 놀러오기를 바랬다.  그 새친구인 리창은 배에서 생활하는 수상족이어서 절대로 뭍으로 나오려고 하지 않는다.  아버지가 설명해 주었다.  "리창은 단족이야.  단족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이런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물 위에서는 그들은 진정 용과 같다.  그러나 뭍에서는 불쌍한 지렁이에 불과하다.'  물은 단족에게 생명과 같아.  그들은 틴 하우 라는 신을 섬겨.  틴 하우는 어부의 신이지.  또 바다의 용과 물고기의 영혼들에게도 제사를 드린다.  그러니 창리를 보고 싶으면, 그 아이가 우리 집으로 놀러오기를 기다리지 말고, 네가 선물을 사가지고 그 아이네 배로 찾아가야 한다."  남부 중국 해안을 따라서 약 430만 명의 단족이 살고 있다.  홍콩에도 5만 명 가량 살고, 베트남에도 1,500 명 정도 살고 있다.  최근에 상당수가 말레이시아와 태국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들은 광동어의 방언을 구사한다.  추측에 의하면, 단족 가운데 약 1만 5천 명 가량의 기독교인이 있다고 한다.  이들은 상당히 복음에 긍정적이기 때문에, 광동어를 사용하는 중국인들이 내국 선교를 통해 공략하기 적절하다.

    31. Western Daur People 서부 다오우르족
    "와!  저 불공 날아 가는 것 좀 봐라.  정말 멋지다.  하센!"  신짱성에 살고 있는 다오우르족 사람인 하센은 지금 추운 겨울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친구들과 필드하키와 비슷한 베이쿠오 경기를 하고 있다.  서부 다오우르족 숫자는 4,600 명 가량이며, 타쳉시 인근에 살고 있다.  그들과 친척 격이라고 할 수 있는 다오우르족은 몽골 근처에 살며 12만 명 가량이다.  대부분의 다우르족은 다우르어나 위구르어, 카자흐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교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에게는 필드하키의 일종인 베이쿠오 경기를 창안해 낸 종족으로 유명하다.  베이쿠오 경기는 낮보다는 밤에 하는 것이 훨씬 재미 있다.  그들은 자작나무로 만든 공을 사용하며 공의 안쪽을 깎아 낸 후 소나무 수지를 채운다.  이러한 공을 1야드 정도 크기의 나무 막대로 치면 공에 빛이 난다.  그래서 마치 하늘에 불덩어리가 날아 다니는 듯한 장면이 연출되는 것이다.  다오우르족은 특히 예의 바르고 노인들을 공경하는 종족이다.  이들의 종교는 샤머니즘과 정령숭배, 그리고 조상 숭배 등이 섞인 종교이다.  많은 사람들은 병이 들면 샤먼을 찾아갔다.  죽으면 그들의 영혼은 지하의 신인 이르무 칸에게로 돌아간다고 믿는다.  그들은 이루무 칸이 영혼들을 판단하여 환생시키기도 하고, 영원한 지옥불에 머물게 하기도 한다고 믿는다.  중국 정부의 여러 가지 제한조치 등으로 인해 기독교인들이 다오우르족을 찾아가기가 쉽지는 않다.

    32. Digao People 중국의 디가오족
    디가오족 일가가 거칠고 히스테릭하게 웃고 있다.  아버지는 가족들에게 자신이 어려서 늘 접해 왔고 믿어왔던 미신에 대해서 설명해 주고 있다.  "마을 입구에는 새나 태양, 달의 모양이 새겨져 있고, 그 위에는 나무로 만든 독수리 상이 있었다.  반대쪽 입구에는 염소의 뿔과 닭의 깃털을 놓아 두었어.  그래야만 마을에 행운이 깃든다고 믿었다."  그러나 8살난 아들 찬이 말했다.  "그러다가 어느날 새가 없어지면 정령들이 "새가 없다!  우리는 마을 사람들을 불행에 빠뜨릴 것이다.'라고 말씀하신다고 생각했다지요 "  어린 아들이 이렇게 말하자 그들의 웃음소리는 더욱 커졌다.  윤난성에 살고 있는 2만 3천 명 가량의 디가오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전통을 급속히 잃어 버리고 중국인(한족)에 동화되어 가고 있다.  대부분의 한족 중국인들 처럼 많은 이들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동화되어 무신론에 빠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한쪽으로는 조상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쓰고 있다.  이들 가운데 기독교 신자는 하나도 없고, 십자가에 이르는 좁은 길을 안내해줄 자료도 그들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지 않다.  그들의 삶에 예수가 자리할 틈은 아직 없어 보인다.

    33. Dong People 퉁족
    둥둥둥.  북소리가 높은 곳에서부터 울려 나왔다.  이는 퉁족 마을 사람들 전원이 한 곳으로 모여야 한다는 신호이다.  이제 그들은 함께 노래하며 북 축제를 즐기게 될 것이다.  모두 모였다.  사람들이 모두 모였다는 거은 그들이 모시는 모든 신들도 모였다는 뜻이기도 하다.  퉁족은 사람들의 몸 속 어딘가에 각기 다른 영들이 깃들여 있다고 믿는다.  그들은 모든 만물에 영혼이 깃들여 있다고 믿는다.  모든 바위와 나무에도 정령들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1년 내내 수많은 신들을 만족시키느라고 허덕인다.  이 모든 영혼들을 위로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여는 가장 중요한 축제가 바로 북축제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 북축제를 통해서 많은 신들을 즐겁게 하면서도 그들의 영혼을 구원하여 주실 수 있는 유일한 신을 빼놓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퉁족은 악령에 대한 두려움에 항상 짓눌려 있는 종족이다.  오지 예수님만이 그들의 영혼을 굴레에서 해방시킬 수 있다.  퉁족의 규모는 260 만 명이지만 그들 가운데 기독교인은 3천 명에 불과하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들이 복음에 대해 별다른 거부감이 없는 것은 물론 상당한 종교적 호기심이 있다는 것이다.  퉁족에게 적절하게 훈련되고 준비된 선교팀이 들어간다면 상당한 영적 추수가 가능하다.  아쉬운 점은 그들 가운데 존재하는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너무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어 어디에도 번듯한 규모의 퉁족 교회를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34. Dongnu People 둥누족
    "왜 우리가 지금까지 둥누족에 대해서 몰랐지  광시성에 20만 명이나 사는데도 지금까지 우리의 선교사역대상 종족 명단에서 빠져 있었다는 말이야!"  아시아선교회 담당자들은 이렇게 큰 규모의 종족이 아직까지 전혀 선교적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스스로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이에 함께 사역하는 언어 전문가가 대꾸했다.  중국 정부가 1982년에 인구조사를 하면서 둥누족을 부누족이나 또 다른 몇몇 종족의 일부로 간주해서 독립된 종족으로 인정하지 않았어요.  게다가 부누족은 각기 다른 대여섯 개의 종족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말이지요.  둥누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잃어 버렸고, 다른 종족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어요.  일부는 만다린어를 읽고 쓰기도 하지요."  둥누족은 주변의 다른 종족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섞이고 있고, 그들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그들은 언어는 잃어 버렸지만, 그들만의 독특한 전통의식들은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여성든 아이를 집에서 좀 떨어진 오두막으로 데려간다.  그리고 태반은 숲속에 버린다.  둥누족은 그렇게 해야 숲 속에 있는 조상의 영혼들이 그들을 기억하고 도움을 준다고 믿는다.  그들의 종교적 양태는 정령숭배와 도교, 그리고 조상숭배가 혼재한 형태이다.  이들 둥누족은 중국에서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가장 규모가 큰 종족 가운데 하나이다.

    35. Doupo People 도우포족
    도우포족은 수세기 동안 동부나수족 아래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1950년에 공산정권이 들어서면서 노예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는 그들은 노예상황에서 벗어났다고 해서 그리 나아진 것도 없다.  그들은 오랜 노예생활로 인해 자존감이 매우 낮다.  1965년에 현재 그들이 거하는 윤난성의 거주지로 이주하기 전에는 심한 착취와 이민족의 강도와 약탈 등에 시달려야 했다.  도우포족은 데포(Depo)족과 혈연적으로 가까운 종족이다.  데포족도 같은 윤난성에 산다.  데포족 가운데는 약 2만 2천 명 가량의 기독교인들이 있다.  그러나 도우포족 사이에는 알려진 기독교인이 전혀 없다.  성경도 없고, 복음음반도 그들의 언어로 녹음되지 않았다.  그들 가운데 복음의 메시지를 들어본 사람은 극소수이다.  대부분의 도우포족 젊은이들은 무신론에 젖어 있으며, 50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조상이나 정령들을 숭배한다.

    36. Duoluo People 두오루오족
    퉁! 대나무 막대기가 진흙을 두드리느 소리가 났다.  우오루오족 어머니는 아들의 관을 쓰다듬으며 울고 있다.  이들의 장례 의식에서는 한 남자가 피리를 불면 또 다른 사람은 검무를 추며 공포스러운 소리를 낸다.  그리고 또 다른 사람들이 그 주변을 춤을 추며 돌며 노래한다.  엄마는 도저히 관을 떠날 수 없다.  맏아들을 잃은 엄마의 고통은 어느 것에도 비할 바가 아니다.  잠시 후에 샤먼이 장례의 절차를 진행시키면서 짐승을 잡아 제물로 드릴 것이다.  두오루오족은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조상ㄷ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귀조우성과 광시성에 살았던 라오족과 만나게 된다.  이들의 수는 약 1,200 명 가량이고 현재는 그들의 언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  대개는 겔라오족 언어의 방언을 사용한다.  산악지대에 살고 있는 두오루오족은 정령숭배와 조상숭배의식을 행한다.  그들은 규모도 작고 언어도 잃어가고 있지만, 문화적 전통은 잘 계승하고 있다.  두오루오족 가운데 도시나 읍내에 나와 사는 사람들은 대개 종교에 무관심하다.  극소수의 두오루오족 만이 카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를 접했으나 그 역시 19세기와 20세기의 일이다.  예수 영화, 복음음반, 기독교라디오 방송 등 그들의 언어로 제작된 기독교 교육 체계는 전혀 없다.

    37. E People 에르족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사함을 받았으니 이는 그가 모든 지혜와 총명으로 우리에게 넘치게 하사"(엡 1 : 7 - 8 )  에르족 사람들은 이처럼 강력한 메시지를 아직 들어본 적이 없다.  광씨성에 살고 있는 3만 명의 에르족을 에르어를 사용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들 외에도 중국에서 에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5만 명이 더 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두 개의 자치현의 19개의 마을에 흩어져 살며 에르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있다.  이들의 방언은 다양한 반면, 에르족은 다언어 종족이기도 하다.  즉 자신들의 언어와 광동어를 함께 사용한다.  에르족의 거주지는 매우 아름다운 언덕과 바위 들이 펼쳐진 초지이다.  광시성 북중부는 수많은 소수종족들이 함께 섞여서 살아가는 지역이다.  이들은 서로 문화와 언어에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다.  대개의 에르족은 정령숭배자들이며, 조상숭배자들이다.  그러면서도 그들의 종교의식에는 중국의 전통종교적인 요소도 섞여 있다.  에르족 가운데 알려진 기독교인은 없다.  1927년에 사망할 당시까지 이들을 위해 활동한 바 있는 선교사이자 의사인 휫필드 귀네스는 이들을 "주일도, 성경도, 기도도, 찬송도 없는 종족"이라고 말했는데 그 상황은 10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똑같다.

    38. Eastern Hmu People 동부흐무족
    "유 윙, 너무 빠르지 않게.  천천히.... 그물을 꼭 잡아!  잘했다!  그걸 이제 보트에 넣어라.  잘했다, 내 아들.  도롱뇽이 꽤 크구나.  못해도 40 파운드는 되겠군!"  아들이 처음으로 혼자의 능력으로 도롱뇽을 잡는 것을 보는 흐무족 아버지의 마음은 흐뭇했다.  도롱뇽은 흐무족의 주요한 수입원 가운데 하나이다.  귀조우성의 동쪽 귀퉁이에는 약 45만 명 가량의 흐무족이 살고 있다.  흐무족은 악령을 숭배하는 영적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종족이다.  이들의 조상 대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시문학을 분석해 보면 이들에게 하늘의 왕인 방발과 그의 아들인 지에네가 하늘과 땅을 창조했다는 창조신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진정한 창조자인 하나님과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메시지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다.  이들에게 카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들이 접근하기 시작한 것은 1977년부터이다.  그러나 성경의 부족과 공산주의의 통치로 인한 사역공백으로 인해 이들은 아직도 미전도종족으로 남아 있다.  오늘날 흐무족 가운데는 극소수의 카톨릭 신자가 있을 뿐이다.  성경과 복음음반 분야에서 아직 이들의 언어로 번역된 자료들은 나오지 않고 있다.  또 이들을 위해 일하는 선교사도 아직 없다보니 아직 기독교를 받아들일 여건 자체가 조성되지 않고 있다.

    39. Enipu People 우니푸족
    "나는 그사람들(이(Yi)족)을 사랑합니다.  그 사람들은 훌륭한 사람들 입니다.  내가 그들을 사랑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그들이 이유 없이 무시 당하기 때문이예요.  그들이 편견의 늪에서 빠져 나가도록 돕고 싶습니다."  이 글은 프랑스 출신 카톨릭 선교사인 페레 파울 비아의 글이다.  그는 중국의 주류 종족인 한족이 소수의 이족들을 존중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우니푸족은 남 중국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는 120개에 달하는 이족의 하위종족 가운데 하나이다.  다른 많은 이족 계열의 하위그룹들과 마찬가지로 우니푸족도 종족의 기원과 가계에 대한 분명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대대로 구전으로만 전해내려오는 족보는 있다.  그들은 구전을 통해 그 복잡한 족보를 외우고 있는 것이다.  우니푸족의 가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이다.  가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등을 벽에 대고 문을 바라보고 앉는 것이 습관이다.  그들은 복잡한 미신을 섬긴다. 워낙 교통이 외진 산악지대에 거주하다보니 기독교인은 전무하다.

    40. Enshi Miao People 엔셰메오우족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신의 가계의 뿌리를 기억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대대로 구전으로 전달하여 끝까지 보존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성공적으로 구전족보가 전승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서서히 잊혀져 가기 시작하고 있다.  시추안성에서 한족들과 섞여 살기 시작하면서 동화현상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많은 이들은 이제 자신들의 언어보다는 만다린어에 익숙하다.  메오우어의 원형은 300 년쯤 전에 이미 소멸현상이 시작되었다.  이제 52만 명의 메오우족 가운데 전통의상과 문화와 언어를 지키고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제 한족과 메오우족 사이의 차이는 정부 당국에서 관리하는 신상정보 상의 종족구분항목에서만 찾아질 뿐이다.  그런데 최근 엔셰메오우족 사이에서 다시 자신들의 문화의 뿌리를 재발견해 내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엔셰메오우족은 종교에 관심이 없다.  다만 혹자들은 조상숭배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사망자의 무덤을 준비하면서 조상들에게 기도를 드린다.  그러나 다행히 최근 선교사들이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일정부분 성과를 보았다. 엔셰메오우족의 17 % 정도가 복음을 듣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1% 미만 만이 기독교인이다.

    41. Ersu People 에르수족
    I에르수족은 중국 남부의 713 마일 길이의 다두강을 따라 살고 있는 종족이다.  중국정부는 2만 8천 명의 에르수어 구사자들을 티벳인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원래 아주 오래 전에는 유목생활을 하며 소왕국을 이루며 살았다.  그러나 그들은 외부 세계로부터 지배를 받게 되고 지금의 거주지 쪽으로 강제 이주를 당했다.  에르수언어 구사자들은 거주 지역에 따라 약 세 가지의 방언을 구사하다.  그리고 같은 에르수어라고 하지만 방언들은 서로 크게 다르다.  에르수족은 그들만의 상형문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 상형문자는 제대로 한자에 대한 세세한 안목이 없는 사람은 한자와 쉽게 구별하기가 어렵다.  문화적으로 에르수족은 티벳인과 비슷하다.  티벳인들처럼 에르수족은 불교와 샤머니즘이 섞인 종교 문화를 가지고 있다.  다른 불교도들처럼, 그들 역시 환생을 믿는다.  때문에 그들은 다음 생애는 전생에 쌓은 덕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믿는다.  다시 말하면 이전 생애에서 악하게 살면, 다음 생에에 동물로 태어난다고 믿는다.  에르수족 사회에는 아직까지 교회가 전혀 없으며,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노력도 별로 없다.  또 이들 사회에는 확인된 기독교인도 없고, 이들의 언어로 번역된 성경이나, 복음음반이나 예수영화도 없다.

    42. Galao People 구라오족
    "오늘은 소들이 왜 일을 안하지요 "  구라오족 소년이 할아버지에게 물었다.  할아버지는 대답했다.  "우리에게 내려오는 전설이 있다.  몇 백년 전, 우리는 산속에 요새를 만들고 살았던 적이 있다.  그 때 다른 종족의 침략을 받았다.  그런데 위험에 빠진 우리쪽 대장의 황소가 대장의 소매를 잡아 채, 산의 다른 쪽 끝에 있는 동굴로 집어 넣었다.  덕분에 그 대장은 적군의 위협에서 안전하게 살아날 수 있었단다.  그 때부터 우리는 매년 음력 10월 1일을 황소왕(Ox King)의 날로 정하고 축제를 한단다.  우리가 사는 이 귀조우성에 사는 모든 구라오족은 이날이 되면 황소왕께 우리의 황소를 보호해 달라고 빌면서 하루 동안 일을 하지 않고 축제를 벌인다.  오늘이 그날이란다."  약 5만 3천 명의 구라오족은 리아오족의 후예이다.  리아오족부터 합치면 이들은 2천 년 동안 귀조우성에서 살았다.  이들의 문화는 오랜 세월을 두고 중국의 주류종족인 한족의 문화에 동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조상들로부터 물려 받은 전통과 문화도 강력하게 남아 있다.  이들은 조상숭배와 정령숭배, 잡다한 귀신들을 숭배하는 다신교의 종교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가운데 그들의 언어인 구라오어를 구사하는 사람은 약2만 5천 명에 불과하다.

    43. Gao People 고우족(1)
    "아가야, 그것을 입에 넣으면 안돼!"  여인은 아이의 입에서 한 움큼의 풀들을 빼냈다.  아이의 여섯 살난 형은 이 장면을 바라보며 경이스러운 듯한 표정을 짓고 있다.  조금 후 두 아이는 집으로 돌아갔다.  아이의 형은 자신이 본 장면을 엄마에게 이야기했다.  "그 아줌마가 하는 이야기를 하나도 알아들을 수 없었어."  엄마가 빙그레 웃으며 설명했다.  "그 아줌마는 우리의 말을 몰라서 그래.  우리는 고우족이야.  그런데 고우족이면서도 우리 고우족의 말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어."  고우족은 갈라오족의 하부종족이다.  고우족 가운데 그들의 언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2천 명에 불과하다.  이들의 언어는 언어학적으로 타이방언에 속하는데 타이어와 그렇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우족은 중국의 공식언어인 만다린어를 구사한다.

    44. Gao People 고우족(2)
    한 사람이 여섯 내지 일곱 가지의 이름으로 불려지는 일이 실제로 있다.  고우들이 그렇다.  그들은 잘해야 3천 명 정도 됨직한 규모가 적은 종족으로 귀조우성에 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타이어족에 속한다.  그러나 거의 모든 고우족은 자신들의 언어와 함께 만다린어를 구사한다.  이들은 이웃 종족들 특히 한족의 종교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조상을 섬길 뿐 아니라, 물, 숲, 논과 마을 곳곳에 있다는 다양한 신들을 모시기에 여념이 없다.  반면 고우족 젊은이들은 무신론자들이며, 웬만한 종교의 포교나 선교에는 흔들리지 않는다.  다만 한족이 살고 있는 지역에 함께 사는 고우족 가운데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인들이 극소수나마 존재한다.  아마도 그 비중은 1% 미만일 것이다.  대부분의 선교기관들의 관점에서 볼 때, 고우족은 소멸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파단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고우족은 선교활동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45. Gaiji People 가이지족
    슁이 아주 능숙한 솜씨로 장작을 패는 동안 안은 조용히 그것을 바라보고 있다.  이곳은 윤난성의 깊은 산악지대이다.  지금은 안의 결혼식 기간이다.  슁은 자신이 팬 장작을 안의 등에 지워줄 것이고, 그리고 그 등짐을 진 채로 가족들이 사는 집으로 걸어갈 것이다.  그리고 슁의 부모들을 만나고, 안은 그 집에 머무르며 며칠동안 집안을 위해 일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이들 커플은 안의 집으로 가서 슁은 안의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고나서 그 집의 물 양동이를 들어 가득 채울 것이다.  그리고 나서 물을 쏟지 않고 조심스럽게 안의 부모에게 바치면 부모는 그들의 결혼을 허락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슁의 부모가 사는 집으로 돌아가게 되면 결혼은 사실상 끝난다.  가이지족의 전통문화는 결혼 풍습과 전통 춤 약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소멸되었다.  소수의 노인들만이 그들의 언어를 기억하고 있고, 역사도 잊혀져가고 있다.  이렇게 자신의 문화를 쉽게 잊는다는 것은 그만큼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크다는 이야기도되고 그만큼 복음을 전하기가 쉽다는 말도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이에는 복음이 아직 들어가지 않았다.

    46. Ga Mong People 가몽족
    중부 귀조우성의 특유의 음울하고 쌀쌀한 날씨 속에서 팅씨는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슬픈 표정으로 쓴 웃음을 지었다.  그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던 음식들을 퍼서 주발에 담고, 컵에는 뜨거운 차를 담았다.  그리고 이것들을 제단에 올려 놓았다.  그는 이승에 계신 할아버지가 이 음식들을 맛나게 드시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제단 앞에서 보이지는 않이잠 이 음식을 드시고 계실 할아버지께 절하면서 후손들을 돌아보시고, 풍요를 주시기를 빌었다.  가몽족은 대대로 조상의 영혼을 노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워 왔다.  특히 할아버지의 영혼은 잘모셔야 한다.  그래서 해마다 팅은 이러한 제사를 여러 차례 드린다.  팅은 5만 4천 명 가량의 가몽족의 일원이다.  이들의 역사는 960년부터 1279년 사이에 존재했던 송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들은 그들만의 언어가 있고, 그들만의 문화가 이다.  이들의 종교는 기본적으로 조상숭배 종교이다.  그러면서도 다신교적 정령숭배 문화를 가지고 있다.  1997년까지 중국정부는 그들을 메오우족의 일원으로 분류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셰족의 일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가몽족은 이러한 분류의 변화에 크게 반발하고 이다.  이들 가운데 복음을 들어본 사람들은 극소수이다.


    47. Gese People 게세족
    아주 오랜 옛날 이족 사회에 역병이 돌자 게세족 사람들은 치료의 왕이 나타나 치료를 해 주기를 바라며 숫자를 헤아리기 시작했다.  "하나, 둘, 셋 .......... 아흔 일곱, 아흔 여덟, 아흔 아홉"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병은 그치지 않았다.  그러자 게세족 지도자가 물을 마시기 시작했다.  99개의 샘에서 나온 99모금의 물을 마셨다.  그래도 소용이 없었다.  만연한 질병으로 인해 그들의 인구는 1812년의 8백 만에서 1903년에는 3백 만으로 줄어들었다.  이같은 인구의 급감을 계기로 그들은 치료의 신을 섬기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윤난성의 소수종족들 가운데 상당수를 통털어 이(Yi)족으로 분류하지만 사실 이족 사이에는 수많은 하위분파가 있다.  게세족은 중국 남서부의 외진 곳에 고립되어 살아가고 있으며, 인근의 거대종족인 이족이나 윤난족, 게수족, 게포족 등과 전혀 다르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이족과 거의 교류가 없이 지내왔다.  그들 사이에는 알려진 기독교인도 없으며, 1998년에 처음으로 이들의 언어로 된 복음음반자료가 나왔다.

    48. Ghao-Xong People 고우숑족
    강하고 험상굿게 생긴 고유숑족 남자의 얼굴에도 두려움이 가득 들어났다.  "누군가가 나를 저주하고 있는 거야."  그는 침상 위에서 뒤척이면서 중얼거렸다.  몸이 아프다는 것은 누군가가 자신을 저주하고 있는 것이다.  열이 오르면서 그는 자기 주변에 형형색색의 정첼르 알 수 없는 영들이 춤을 추고 돌며, 죽음을 노래하고 있는 것을 들었다.  그의 부인은 급히 샤먼을 부르게 위해 마을고 사람을 보냈다.  샤먼이 오자, 그는 뭔가 뜻을 알수 없는 주문을 우물거리며 외우다가 남자의 부인에게 닭 세 마리를 제물로 내 놓을 것을 명령했다.  고우숑족은 후난성에 살고 있으며, 그 규모는 100 만 명에 이른다.  그들은 몸이 아프면, 누군가의 저주를 받았거나 신에 대한 제물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르 가운데 기독교인은 1%에 불과하다.  대개는 조상신을 섬긴다.  몇세기 쯤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메오우족의 하부 종족인 이들은 전사들이었다.  지금은 험준한 산비탈에서 텃밭을 일구며 살아간다.  그들은 대나무로 만든 3층집을 짓는다.  그리고 지상의 공간은 기둥만 남기고는 텅빈채로 만들어 그 곳에서 가축을 키운다.  그리고 맨 위층에는 곡물을 저장한다.  그리고 주거는 2층을 사용한다.  그들은 대개 축제 등을 통해 같은 종족 내의 다른 씨족들 가운데 배우자를 골라 결혼한다.

    49. Golog people 골로그족
    미국의 권투 영웅 무하마드 알리를 일컬어 흔히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고 말하곤 한다.  그만큼 알리는 탁월한 파이터 임을 비유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골로그족을 가리켜 "과거 속에서 살아가는 종족" 이라는 말을 한다.  약 12만 8천 명의 골로그족은 중국 북부의 오지에 살고 있다.  중국 정부 조차 워낙 오지에 있는 이들을 찾아갈 생각도 지배할 생각도 없다.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중국에 속해 있지만, 전혀 중국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그들끼리의 자치를 하며, 그들만의 불교 전통을 지키며 살아 간다.  혹독한 겨울로 인해 이들은 1년에 목욕을 한번밖에 하지 않는다.  또 야크 가족으로 만든 옷을 입으며, 야크 가죽은 매우 귀한 것이기 때문에 한번 입으면 너덜거릴때가지 버리지 않는다.  골로그족의 야크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다.  혹한기가 오면 많은 가축이 추위를 이기지 못하고 동사한다.  이 때문에 경제 사정은 매우 나쁘다.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려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실제적인 경제적 도움도 함께 모색해야 할 것이다.  비록 오지에 살고 있지만, 이들의 마음은 상당히 열려 있어 복음에 대한 저항감도 별로 없다.  이들의 마음이 문제가 아니라 찾아가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 더 문제이다.

    50. Guanyingqiao Jiarong People 구아잉기아오 지아롱족
    길도 거의 없고, 교회도 없고, 신자도 없는 그런 오지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시추안성 북서부에 살고 있는 구아잉기아오 지아롱족의 삶의 환경은 절말 그러하다.  그들이 사는 곳으로 연결된 길도 없다.  대부부의 주민들은 서구 유럽인들과 기독교인들을 만나 본 적 조차 없다.  이들은 각기 다른 8가지 방언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들이 이해하도록 복음을 전하는 일이 만만치 않다.  시추안성의 대부분의 미전도 종족이 그렇듯, 이들도 티벳의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불행하게도, 이는 그들이 티벳불교와 샤머니즘에 푹 빠져 있다는 말이 된다.  이들은 다신교적 종교 문화가 있어 여러 신을 섬긴다.  예를 들자면, 산신을 두려워한다.  그들은 산신이 크고 깊은 산속에 살고 있으며, 그들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주관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영적 무지는 누군가가 복음을 들고 이들을 찾아가지 않는한 깨질 수 없는 미신이다.

    중국의 소수민족 현황과 정책

    서상민 / 고려대 정외과 박사수료

    1. 중국 소수민족의 현황

    1. 인구와 분포

    중국의 소수민족은 그 수에 있어서나 정치, 경제, 문화,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족 이외의 소수 여타 민족집단을 지칭한다.1) 현재 중국에서는 漢族과 55개의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전체인구에서 한족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92%이며, 소수민족은 약 8%에 해당한다. 하지만 소수민족의 정치적 대표는 인구의 비중을 넘어서, 제9기 전인대 소수민족의 대표는 약 428명으로 전체 전인대 대표총수의 14.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에서의 소수민족에 대한 확인 작업은 “科學依據―民族依願”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두 가지의 기준에 의거하여 소수민족으로 분류하고 있다. 즉 어느 특정한 민족이 (1)공동언어, (2)공동지역 (3)공동경제생활, 그리고 (4) 공동문화를 가진 공동체라는 민족형성의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가, 둘째로는 개개의 민족들이 독자적인 민족단위로 존재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현재는 위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55개의 소수민족만이 확인되어 있는 상태이며(民族分類의 公式性), 이는 중국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민족을 총망라하는 것은 아니다. 위의 원칙에 따른 분류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민족의 수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민족분류의 可變性). 중국 소수민족의 인구는 1953년에 3,353만 명, 1964년에 4,000만 명, 1982년에 6,724만 명, 1990년의 네 번째 인구조사에서는 9,120만 명으로 나타났으며, 1997년말 현재 약 90,567,944명에 이른다. 소수민족별 분포지와 인구는 <표1>에 나타나 있다. 각 소수민족의 인구수의 차이는 매우 커서 1997년 말까지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은 장족으로 그 수는 1,555만여 명이고,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은 뤄바족으로 2,322여 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를 100만 이상의 인구를 갖은 대규모 소수민족, 10만이상 100만 이하의 중규모 소수민족, 10만이하 1만이상의 소규모 소수민족, 1만이하의 희소 소수민족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규모의 소수민족으로는 장족, 회족, 위글족, 카자흐족, 다이족, 이족, 묘족, 만족, 장족, 몽고족, 투쟈족, 부이족, 조선족, 둥족, 요족, 바이족, 하니족 등 18개 민족이 있으며, 둘째, 중규모의 소수민족은 이족, 리수족, 여족, 와족, 수이족, 라후족, 둥샹족, 나시족, 시버족, 토족, 거로족, 키르기스족, 다월족, 챵족, 징퍼족 등 15개 민족이 존재한다. 셋째, 소규모 소수민족은 무로족, 싸라족, 모난족, 부랑족, 다지크족, 푸미족, 누족, 아창족, 에벵크족, 지눠족, 우즈베크족, 러시아족, 보안족, 징족, 더앙족, 위구족 등 15개 민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희소 소수민족이라고 할 수 있는 민족으로는 고산족, 다다르족, 두룽족, 오르죤족, 먼바족, 허저족, 뤄바족 등 7개 민족이 있다.2)

     

    <표1> 중국 소수 민족 인구 현황(1997년 말)

    민 족

    분 포

    인 구(명)

    壯族(zhuang)

    광서, 운남, 광동

    15,555,820

    滿族(man)

    요녕, 하북, 흑룡강, 길림, 내몽고, 북경

    9,846,776

    回族(hui)

    영하, 감숙, 하남, 신강, 청해, 운남, 하북, 산동, 안휘, 요녕, 북경, 내몽고, 천진, 흑룡강, 섬서, 귀주, 길림, 강소, 사천

    8,612,001

    苗族(miao)

    귀주, 호남, 운남, 광서, 중경, 호북, 사천

    7,383,622

    維吾爾族(uygur)

    신강

    7,207,024

    彛族(yi)

    운남, 사천, 귀주

    6,578,524

    土家族(tujia)

    호남, 호북, 중경, 귀주

    5,725,049

    蒙古族(mongolian)

    내몽고, 요녕, 길림, 하북, 흑룡강, 신강

    4,802,407

    藏族(tibetan)

    서장, 사천, 청해, 감숙, 운남

    4,593,072

    布依族(bouyei)

    귀주

    2,548,294

    동족(dong)

    귀주, 호남, 광서

    2,508,624

    瑤族(yao)

    광서, 호남, 운남, 광동

    2,137,033

    朝鮮族(korean)

    길림, 흑룡강, 요녕

    1,923,361

    白族(bai)

    운남, 귀주, 호남

    1,598,052

    哈尼族(hani)

    운남

    1,254,800

    黎族(li)

    해남

    1,112,498

    哈薩克族(kazak)

    신강

    1,110,758

    태족(dai)

    운남

    1,025,402

    여족(she)

    복건, 절강, 강서, 광동

    634,700

    율속족(lisu)

    운남, 사천

    574,589

    흘료족(gelao)

    귀주

    438,191

    拉祜族(lahu)

    운남

    411,545

    東鄕族(dongxiang)

    감숙, 신강

    373,669

    와족(va)

    운남

    351,980

    水族(shui)

    귀주, 광서

    347,116

    納西族(naxi)

    운남

    277,750

    羌族(qiang)

    사천

    198,303

    土族(tu)

    청해, 감숙

    192,568

    錫伯族(xibe)

    요녕, 신강

    172,932

    마료族(mulao)

    광서

    160,648

    柯爾克孜族(kirgiz))

    신강

    143,537

    達幹爾族(daur)

    내몽고, 흑룡강

    121,463

    景頗族(jingpo)

    운남

    119,276

    撒拉族(salar)

    청해

    87,546

    布郞族(blang)

    운남

    82,398

    毛南族(maonan)

    광서

    72,370

    塔吉克族(tajik)

    신강

    33,223

    普米族(primi)

    운남

    29,721

    阿昌族(achang)

    운남

    27,718

    怒族(nu)

    운남

    27,190

    鄂溫克族(ewenki)

    내몽고

    26,379

    京族(jing)

    광서

    18,749

    基諾族(jino)

    운남

    18,022

    德昻族(deang)

    운남

    15,461

    烏孜別克族(uzbek)

    신강

    14,763

    俄羅斯族(russian)

    신강, 흑룡강

    13,500

    裕固族(yugur)

    감숙

    12,993

    保安族(baoan)

    감숙

    11,683

    門巴族(monba)

    서장

    7,498

    鄂倫春族(oroqen)

    흑룡강, 내몽고

    7,004

    獨龍族(derung)

    운남

    5,825

    塔塔爾族(tatar)

    신강

    5,064

    赫哲族(hezhen)

    흑룡강

    4,254

    高山族(gaoshan)

    대만, 복건

    2,877

    珞巴族(lhoba)

    서장

    2,322

    總計


    90,567,944

    출처: 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監}, (北京: 中國統計出版社, 1998).

     

    2. 중국 소수민족의 특징

    1. 높아지는 인구증가율

    1964년 인구조사에서는 소수민족 인구가 전체인구 6억 9,122만 104명의 5.78%이던 것이 18년 후인 1982년에는 전체의 6.7%, 1990년 이후부터는 8.04%로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같은 기간 소수민족의 인구 증가율은 전국의 인구증가율 및 한족의 인구증가율과 비교할 때 약 5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소수민족 인구의 이 같은 신장에는 자연증가의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 소수민족 정책의 암흑기라고 불렸던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중국이 새로운 민족평등 정책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하면서 그 동안 자기의 민족성을 감추고 지내오던 많은 사람들이 다시 원래의 자기 민족성을 회복한 데 주요한 원인이 있다.

    또한 일부에는 아직도 早婚과 일부다처제가 남아 있어 이 또한 소수민족 인구의 증가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소수민족의 출산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과 경제 발전, 의료 서비스의 향상 등도 소수민족의 인구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1가구 1자녀”원칙을 소수민족에게는 적용하지 않는 중국 정부의 예외적 출산정책을 들 수 있다. 출산율이 철저히 억제되고 있는 漢族에 비하여 더 많은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중국 정부의 배려가 소수민족 인구를 증가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2. 소수민족의 지역 분포 특징

    1) 분포지역이 넓고 점유면적이 광대

    중국의 소수민족은 비록 인구가 전국의 8.04%에 불과하지만, 분포지구가 상당히 넓어서 전국 총면적의 63.7%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다. 인구밀도는 한족거주지보다 훨씬 낮다. 다섯 개의 소수민족 자치구 외에 절대다수의 성(省), 시(市)에도 소수민족 자치구와 자치현이 있으며, 주로 내몽고, 신장, 티베트, 광시, 닝샤(寧夏)지구 및 헤이룽장, 지린, 랴오닝, 간쑤, 칭하이, 쓰촨, 윈난, 구이저우, 광둥, 허난, 허베이, 후베이, 푸젠, 타이완, 하이안 등의 성에 분포해 있다.

    2) 大雜居와 小聚居

    중국의 소수민족 분포는 大雜居과 小聚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체민족인 한족과 함께 널리 흩어져 뒤섞여 살고 있다. 예를 들면 回族은 전국의 2,369개 市, 縣 가운데 93.7%에 달하는 市, 縣 즉 2,310개의 시, 현에 분포되어 있으며, 만주족은 2,092개의 시, 현에, 몽골족은 1,863개의 시, 현에 분포되어 살고 있다.

    또한 일정한 지역에 특정민족이 집중적으로 거주해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어떤 곳은 비교적 크고 또 어떤 곳은 좀 작으며, 어떤 민족은 몇 개의 취거지구를 가지고 있어 각개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가 하면, 일부분만이 취거하고 나머지는 기타 민족 사이에서 나누어져 거주하는 민족도 있어 일종의 대잡거, 소취거와 각개 민족이 뒤섞인 거주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3)자원과 광물 풍부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대부분이 고원, 산맥, 평원, 삼림지대로 지역이 광대하고 광산 매장량이 풍부하며, 목축업이 발달하고 농작물의 종류가 다양하다. 내몽고와 냉샤는 중국 곡류작물의 중요한 산지이며, 신장은 중국 면화의 중요한 산지이다. 광시는 사탕수수의 중요한 산지이고, 티베트에선 쌀보리가 풍부하게 생산되며, 윈난과 하이난에선 각양각색의 열대 과일이 생산된다. 소수민족 지구의 삼림 복개면적은 4,500만 헥타르로 전국 삼림 복개면적의 37%를 차지한다. 내몽고, 신장, 티베트, 칭하이, 간쑤의 중국 5대 천연 목축지는 모두 소수민족 지구에 있다.

    4) 변경에 가깝고 인구가 희소, 경제와 문화가 비교적 낙후

    소수민족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의 대부분은 중국의 변경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주변의 국가와 서로 인접해 있어 국방과 인접국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이 광대하고 위치가 궁벽하여 인구밀도가 낮고 교통이 불편하여 개발이 비교적 늦어져 경제와 문화 등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3. 민족 언어문자와 종교신앙

    중국 소수민족들은 약 60여 종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어떤 민족은 거주지가 다름에 따라 두 가지 혹은 몇 가지 언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 60여 종의 언어는 5개 어계, 10개 어족, 16개 어지로 나뉘어진다. 여러 소수민족의 언어 속에 한어의 명사를 많이 받아들인 것이 하나의 특징으로 되며 한 개의 족이 다른 민족의 언어까지 능숙하게 구사하고 있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중국 소수민족 중에 역사적으로 종교를 믿는 사람이 아주 많다. 그래서 종교가 여러 민족의 사회·경제제도 및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광범위하고 막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 소수민족의 종교 중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고 영향력이 큰 종교는 이슬람교와 불교이고 그 외에 기독교와 도교·샤만교·천주교·기독교 신자도 있다. 이슬람교는 회·이글·카라르 등 10개 민족이 신봉하고 있다. 불교 특히 라마교는 티베트족·몽고족 등의 민족이 많이 믿고 있는데 그 신자가 수백만명에 달한다. 기독교 신자는 450만명, 천주교 신자는 350만 명에 이른다. 중국 소수민족은 국가의 종교신앙자유정책에 근거하여 자기의 신앙에 따라 어느 종교나 다 믿을 수 있다.

    소수민족지구에는 발전 정도가 불균등한, 전술한 바와 같은 사회경제제도에 적응되는 복잡한 정치제도가 존재하고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후 소수민족지역에서는 민주개혁과 사회주의 개조를 거치고 생산을 발전시킴으로서 원래 처해 있던 상이한 사회경제 형태와 정치제도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사회주의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2.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중국은 ‘단 하나의 중국(只有一個中國)’정책을 국가의 최우선 정책으로 삼고 있다.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은 민족 분열을 우려하여 소수민족 우대 정책을 사용하여 민족 분열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다.

    1. 하나의 중국 정책

    1949년 중국은 ‘단 하나의 중국(只有一個中國)’이라는 통일 정책을 시행하였다. 중국은 정권의 안정과 영토의 안정을 꾀하기 위하여 국내적으로는 분열의 소지가 많은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종교적·민족적 문제로 달라이라마를 중심으로 티벳을 중국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행동을 용인하지 않았다. 국토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경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소수민족이 독립을 주장하고 나온다면 정권은 물론이고 영토도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중국은 소수민족 정책에 자본과 국력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소수민족의 평등을 견지하고 민족 멸시와 압박을 반대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1982년에 제정한 헌법 제4조에 “중화 인민공화국의 각 민족은 일률로 평등하다.” “그 어떤 민족에 대한 기시와 압박도 금지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규정은 중국의 원칙적 입장과 근본정책이 민족 압박 제도를 폐지하고 민족 평등과 민족 단결의 정책을 실시하는 것이라는 점을 선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민족 평등과 민족 단결 원칙은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총 원칙’이라 할 수 있으며 ‘총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지금 중국에서 실시하는 민족 구역 자치 정책은 중국 민족 문제 해결의 기본 정책으로 중국의 민족 평등과 민족 단결의 징표라고 할 수 있다.

    2. 소수민족 정책의 변화 과정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은 계속하여 변화하여 왔다. 중국 공산당의 창당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소수민족 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어 정권을 장악하기까지의 시기로 이른바 민족 분리 정책의 시기로써 중국 공산당은 중국 대륙에서 정권 장악의 목표가 있었으므로 소수민족의 反漢·反國民黨 민족적 감정을 이용하여 궁극적으로 국민당 정권을 고립화시키는 정책에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중국 공산당은 구체적으로 민족 자치권의 보장 등을 원칙으로 삼아서 ‘중화연방공화국’ 정치체제의 수립을 추구하였다. 1922년 7월 제2차 전국 대표회의에서 ‘몽고, 티벳, 신강에 자치를 실시하여 민주자치연방을 실시한다’고 선언하였는데 제6차 전국대표회의에서 소수민족의 분리, 연방의 권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연방의 구호는 1936년 이후 사라졌다. 이것은 1936년 이후 모택동 사상이 당내에서 지도적 지위를 차지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이때부터 중국은 소련의 교조적 민족 이론과 민족 정책에서 탈피하여 중국적인 정책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중국 공산당의 대약진 정책이 실시되기까지의 시기로써 민족구역의 자치 정책을 강조하던 때이다. 중국으로서는 ‘신민주주의 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노선에 따라 민족의 분리는 허용되지 않고 민족의 자치만이 허용되었다. 이 시기에 통일 전선의 원칙 하에 소수민족 엘리트를 자치구의 정치 지도자로 영입하였고 소수민족의 관습과 전통을 묵인하였다. 세 번째 시기로는 1959년 티벳의 폭동4)에서 문화대혁명 직전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 민족 정책의 기본 논리는 ‘민족문제의 본질은 계급 문제’라는 원칙이었으며 민족과 민족 지역에 대해 대대적인 통일 정책을 실시하고자 했다. 반란민족에 대해 무력으로 진압하는 한편, 행정 단위를 개별 민족지역으로 확대 정리하였다. 그리고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중국의 민족문제가 실질적인 계급문제라고 인식하였다. 문화대혁명 10년 동안의 민족정책은 ‘민족 자치제의 폐지’로 요약할 수 있다. 4인방 등의 주도하에 ‘지방 민족주의의 청산’이라는 명목으로 민족문화·습관, 민족 문화, 민족 언어, 문자와 민족학원 등을 폐지하였고 모든 소수민족지구를 하나의 기준 아래 표준화시키고 동질화시키면서 민족차이를 부정하고 강압적인 민족동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개혁개방이 추진되고 ‘4인방’의 축출 이후에는 민족자치제의 회복기라 할 수 있다. 사회주의시기로 민족정책 목표가 민족간의 평등, 단결, 상호협조에 있음을 내세우고 모든 민족정책은 사회주의 현대화의 건설을 위하여 공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족정책의 주된 목표와 형식을 민족구역 자치의 확대와 발전에 맞추고 있다.5) 특히 등소평이 실권을 장악한 이후 실용주의파는 정책목표의 최우선 순위를 경제 개발에 두고 소수민족지역의 자치권 보장이라는 유화적인 정책을 실행하고 있으며, 정치뿐 아니라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도 다원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경제적 측면을 예로 들면, 소수민족지역에도 漢族처럼 자유 시장과 邊境貿易을 장려하고 있다.6)

    실용적이고 점진적인 사회주의 건설을 강조하는 노선으로 변화하면서 한족 위주의 급진적 강압적인 동화정책으로부터 각 민족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인정하는 다원주의적 측면에서 점진적 융합정책으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3. 민족구역자치제도

    1. 민족구역자치법의 내용

    중국은 정권의 안정과 영토의 안정을 위하여 소수민족을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국은 소수민족 나름대로 문화와 풍습 등을 보존하고 교육으로 동화시키기 위하여 자치제를 실시하고 있다. 민족 구역 자치제도는 중요한 정치제도의 하나로써 각 소수민족이 취거지에서 구역자치를 실시하며 자치기관을 설립하고 자치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구역자치는 마르크스의 민족문제 이론의 기본 원리와 중국의 실체를 결합한 것으로 중국 민족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 정책으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후 전국적으로 실시하였다. 1952년 중앙인민정부는 “중화 인민공화국 민족 구역 자치 실시 강요”를 제정 반포하고 민족 구역 자치제를 전국으로 일반화시켰으며, 1984년 5월 31일에 제6차 전국인민대표자회의 제2차 회의는 ‘중국인민공화국 민족구역자치법’을 통과·공포하고 그 해 10월 1일부터 실행하기로 하여 소수민족 자치 지방이 정치·경제·문화 등 여러 면에서 향유할 수 있는 자치 권리와 의무를 체계적으로 규정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각 민족은 자치 지역의 자치 기관은 민족 자치를 실행하는 소수민족의 인원을 위주로 구성하여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다른 민족은 적당한 대표자를 갖는다. 둘째, 자치 기관은 그 지역의 소수민족 속에서 통용되는 한 종류 혹은 여러 종류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별도의 권한을 갖는다. 셋째, 자치 권한을 행사할 때는 민족의 특징과 풍속 습관을 충분히 고려한다. 넷째, 자치 기관은 권한을 행사할 때는 그 지역 민족의 특징에 의거하여 자치 조례와 법률, 규정을 제정한다. 다섯째, 자치기관은 민족 자치구의 재정권을 행사할 때는 다른 동급의 정부보다 많은 권력을 지닌다.” 등이다. 이러한 민족구역자치법에 근거한 정책은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세부적인 분야에서의 소수민족정책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개혁개방과 경제발전이 가속화되면서 보존이냐? 개발이냐?를 둘러싸고 논쟁과, 소수민족의 다양성을 무시한 획일화된 발전정책의 입안 등으로 내부의 논의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개별 정책

    1) 문화, 종교, 언어 정책

    소수민족 자치 정책에서 문화면 정책을 알아보면 중국은 ‘소수민족이 자기의 언어 문자를 사용하고 발전시킬 자유가 있다’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1951년 정무원은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는 문자를 만들어 주고 문자를 완비하지 못한 민족에게는 점차 문자를 충실히 하도록 도와준다’고 결정하여 1956년부터 다이족, 징퍼족, 라후족을 도와 문자를 개진시키고 위글족, 다다르족의 문자를 개혁하였으며 장족, 부이족, 이족, 묘족, 나시족, 리수족, 하니족, 와족, 둥족 등 10여 개 민족에 14개의 라틴화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소수민족의 문자는 민족 자치 지방에서 제1문자로 쓰일 수 있으며 민족 언어도 자유롭고 광범위하게 상용한다.

    한편, 소수민족 언어 문자의 일꾼과 연구자의 대량 육성도 촉진되었다. 여러 민족대학과 일부 소수민족 지역의 대학교에는 ‘소수민족언어문학학부’가 설치되어 있고 소수민족 ‘언어문자연구소’도 설립되었다.

    또한 각 소수민족의 풍속·관습을 존중하고 각 민족이 자기의 풍속·습관을 보존하거나 개혁할 자유를 가진다는 정책도 중요하다. 종교·신앙의 자유 정책도 실시하는데 종교를 신앙할 자유와 그렇지 않을 자유와 여러 가지 종교를 가질 자유를 주고 있다. 종교·신앙은 개인의 일로써 법률의 보호를 받는다. 중국에는 지금 중국불교협회·중국도교협회·중국이슬람교협회·중국천주교애국회·중국기독교협회 등 8개의 전국적 종교단체가 활동 중이다. 정부는 종교·신앙의 자유를 주는 동시에 종교와 정치·사법과의 분리원칙, 종교와 교육과의 분리원칙을 지킬 것을 요구한다. 이들 종교 중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은 회족, 위글족, 카자흐족, 다다르족, 우즈베크족 등 10개 민족이 있으며 라마교나 불교를 믿는 소수민족은 장족, 몽고족, 토족, 다이족, 부랑족, 덕앙족 등이 있다.

    2) 교육정책

    소수민족 간부의 양성

    중국의 소수민족 간부 양성의 시기는 4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기는 1949년부터 1953년까지로 지방 정권을 적극 건립하기 위해 각 區 정권기관의 지도 효율을 강화시키고 부분적으로는 원래의 간부를 활용하여 새로운 간부를 양성하였다. 간부의 양성·훈련은 주로 정치간부에 역점을 두었고 부차적으로는 전문간부와 기술 간부를 양성하였다.

    둘째 시기는 사회주의 혁명시기로 1955년부터 1966년 문화대혁명 직전까지의 시기인데 사회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건설에 매진한 시기로 중국의 사회경제 제도를 개혁시키고 개인소유제를 소멸시켜 집단소유제와 전면소유제로 개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수민족지역에 자본주의 사상이 팽배하다고 생각하여 소수민족지역이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에 역행한다고 판단해 민족간부에게 계급 교육을 시행하여 철저한 사상교육으로 공산주의화시켰다.

    셋째 시기는 1966년부터 1978년까지의 시기로 소수민족간부가 권력투쟁의 상황에서 지방민족주의를 호소하다가 대숙청을 당한 시기이다.

    마지막 시기는 1978년 ‘중국 공산당 제11기 제3중전회’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시기이다. 소수민족 간부 양성에 대한 정책은 ‘4개 현대화 건설에 필요한 공산주의로 각성된 소수민족 정치간부와 전문기술을 양성하여 소수민족지구의 사회주의 현대화에 봉사하도록 해야 한다’ 는 원칙 아래 교육하고 있다.

    간부양성기관

    중국의 소수민족간부는 크게 정치간부와 전문간부로 나누어지는데 정치간부는 주로 각 지역에 설립된 민족학원이나 당권간부학원 또는 간부훈련반에서 양성되며 전문기술간부는 각급 학교 또는 ‘상설직업훈련반’에서 양성한다. 소수민족간부 훈련의 연원은 江西 소비에트정권이 붕괴된 후 시작된 長征科程에 참여한 苗族, 彛族 , 壯族 청년들과 延安時期에 참여한 滿族, 回族, 朝鮮族, 蒙古族 청년들 중 우수한 자들을 선발하여 <中央黨校>에 보내어 훈련시킨 것으로 시작된다.

    그 후 1941년 9월 중국 공산당은 延安에 <陜甘寧邊區民族學園(延安民族學園)>을 설립하고 소수민족간부를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정부는 중국공산당에 대한 소수민족지역의 지지획득과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정책 관철을 위해 소수민족간부를 양성함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므로 延安民族學院은 중국에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기까지 많은 소수민족 간부를 양성하여 소수민족 지역에서 정치 활동에 종사케 한다는 통일전선 전략의 차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들 소수민족과의 연합전략전술은 공산 정권의 수립에 적지 않은 힘이 되었다.

    1949년 수립된 중국공산당 정권은 1950년 11월 24일 政務院 제16차 정무회의에서 「少數民族幹部養成施行方案」과 「中央民族學院 建設準備 施行方案」을 의결하여 소수민족간부의 대대적 양성에 관한 방침과 학제와 양성기관 등에 관한 제도화를 이루었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소수민족 간부 양성방침을 보면, ‘정치학교과 정치훈련반을 개설하여 보통의 정치 간부를 필요한 전문간부와 기술간부의 양성을 보조로 한다.’고 하고 있으며, 둘째 훈련기구로는 북경에 중앙민족학원을 설립하는 것 외에 西北, 西南, 中南部 각지에 중앙민족학원분교를 한 곳씩 개설하여 필요시 증설할 수 있다. 소수민족 관련 각 성(省)에 민족간부학교를 설립하며 관련 구(區)나 현(縣)에 임시적인 ‘소수민족간부훈련반’을 설치한다. 또한 관련 각급 정부는 계획성 있게 점진적으로 소수민족 소학교, 중고등학교를 설립하거나 정리하여야 한다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교과과정은 ‘각 민족학원은 장기반과 단기반을 둔다. 장기반은 2-3년의 기간으로 지식 분자와 상당수의 자민족 언어와 한족 언어에 능통한 간부를 양성하며 단기반은 區級 및 營連級 이상의 간부를 훈련한다’는 기본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방침과 제도로 1951년 6월 북경에 정식으로 중앙민족학원이 설립되자 중앙정부는 「中央民族學院設立比準施行方案」에서 중앙민족학원의 주요 임무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먼저 “국내의 각 소수민족이 구역자치를 실행하고 정치, 경제, 문화 건설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고급 및 중급의 간부를 양성한다. 둘째 중국의 소수민족문제와 각 소수민족의 언어문자, 역사문화, 사회경제를 연구하고 소수민족의 우수한 역사 문화를 소개하고 발육한다. 셋째 소수민족과 관련된 출판물의 편집과 번역작업을 조작하고 지도한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중앙민족학원은 그 설립 초기 실제의 필요에 따라 먼저 군정간부 훈련반과 본과의 政治系와 語文系를 두었는데 단기의 정치훈련을 위주로 하는 군정간부 훈련반은 4-6개월 동안 각 민족 중 縣級의 과장과 區長이상의 각종 업무 요원과 군대의 營級이상의 간부 또는 縣 이상 범위의 『愛國民主人士』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과의 정치계는 2년의 기간으로 각 민족의 ‘革命骨幹’을 양성하였는데 그 모집 대상은 단기반의 훈련을 거친 후 재학습을 지원하는 자, 혁명 투쟁 참가 경력이 2년 이상인 자, 중학 졸업 이상 또는 그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은 각 민족의 청년이었다. 비록 중앙 민족학원은 설립 초기 중앙 민족사무위원회의 지휘 감독을 받았으나 후에 교육부의 지위와 중앙민족사무위원회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이와 같은 중앙 정부의 ‘소수민족간부양성계획’에 따라 1990년 현재 민족학원은 전국적으로 모두 12개 소가 설립되어 있으며 대학원생은 51명, 졸업생은 7,429명, 재학생은 2만 2,095명, 졸업 예정자는 7,081명의 규모로 성장하여 소수민족 지역의 민족 사무에 종사하는 민족간부를 양성하고 있다. 중앙민족학원과 지방민족학원은 원칙상 동일한 것이나 중앙민족학원은 주로 중급 이상의 현직 간부 훈련과 교양이 비교적 높은 문화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고, 지방 민족학원은 지방의 기층간부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위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두 기관 모두 그 목적은 소수민족 간부에 대한 정치사상 교육을 실시하고 공산주의로 각성된 소수민족 정치 간부를 양성하며, 동시에 민족학원이 양성할 필요가 있는 紅과 專을 겸비한 전문간부와 기술간부를 양성하는데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소수민족 간부의 양성을 비롯한 민족 사무에 필요하거나 민족 사무에 종사하기를 지원하는 한족 간부를 양성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렇듯 중국은 소수민족에게 교육을 통해 중국 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바로 동질성 추구를 위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대부분 교육의 수준이 낮고 문명이 낙후된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중국은 각 민족의 문화를 존중하지만 무지하고 분열할 가능성이 있는 소수민족에게 교육을 통해 중국 문화를 보급하는 것이다. 중국의 소수민족 자치 정책 중에서 교육정책을 살펴보자.

    세부정책

    국가는 소수민족 교육 경비를 증가하고 숙식비를 국가가 부담하는 소수민족 중학교와 소학교를 늘려 교통이 불편한 곳에 분산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소수민족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였다. 소수민족의 수험생을 대학에서 받아들이고 있는데 북경대학·청화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소수민족예과(預科)혹은 민족반(民族班)을 설치하여 대학교 입학 점수선에 접근한 소수민족(특히 인구가 적고 발전이 뒤떨어진 소수민족) 수험생을 뽑아 1년 동안 보습시키고 직접 관계된 대학교로 보낸다. 1980년부터 1989년까지 국가는 소수민족예과생을 총 4만 명 모집하였다.

    또한 소수민족지구에다 기숙제 중·소학교를 설치함으로써 목축지구와 먼 국경지구 청소년들의 입학에 편리를 도모하였다. 목축지구, 산간지구와 가난한 지구의 기숙제 중·소학교 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조합금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내지로부터 대량의 교사를 뽑아 먼 변강의 소수민족 지구에 파견함으로써 소수민족 교육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리고 중앙민족대학과 서남·서북·중남·동북·광동·광서·귀주·운남·호북 등 13개의 민족대학을 설립하고 소수민족의 지식인과 일꾼을 육성하였다. 전국 민족자치지방에는 86개 대학교가 설립되어 있는데 1989년 전국의 소수민족 대학생수는 131,599명으로 전국 대학생 총수의 6% 이상을 차지한다. 1989년 소수민족보통학생수는 283만 5,400명이고 소학생수는 1,052만 1천 명이다.

    3. 대표권의 보장 정책

    중국은 소수민족의 평등한 권리를 위해서 특히 참정권을 부여하였는데 1953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선거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전국 인구의 14분의 1을 차지하는 소수민족이 인민대표면에서 7분의 1의 비율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1979년 새로 제정한 ‘중화인민공화국 전국 인민대표회의와 지방각급인민대표회의 선거법’에는 ‘인구가 특히 적은 민족도 적어도 한 명의 대표는 있도록 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였다. 제6차 전국인민대표자회의 대표는 도시의 경우 약 11만 명 중 1명이, 농촌의 경우 약 88만 중 1명이 당선되었지만 소수민족은 모두 자기들의 대표를 가지게 되었고 그 중에는 인구가 겨우 2천 명이 좀 넘는 낙파족, 고산족, 400여 명의 두룽족, 허저족도 포함되었다. 제7차 전인대(1988년)에서 445명의 소수민족 대표가 당선되었다. 그들은 전국인민대표 총수(2,978)의 14.94%이며 당시 전국 인구에서 소수민족 인구가 차지한 비율 약 8%의 거의 2배가 되는 것이다.

    <표2> 5개 자치구 인민 대표회의 대표수(1983년 선거자료)


    全區대표총수

    구역자치실행민족

    백분율

    기타소수민족

    백분율

    한족

    백분율

    內蒙古

    801

    305

    38.1%

    84

    10.5%

    12

    51.4%

    新疆

    665

    276

    41.5%

    147

    22.1%

    242

    36.4%

    廣西

    984

    347

    35.3%

    97

    9.9%

    540

    54.9%

    寧夏

    470

    171

    37.1%

    14

    3.9%

    285

    60%

    西藏

    528

    413

    78.3%

    19

    3.6%

    96

    18.1%

    <표3> 4개 자치구 인민대표상무위원회 민족구성


    총수

    주임/부주임수

    주체민족위원수

    비율

    기타민족위원수

    비율

    한족위원수

    비율

    內蒙古

    49

    12

    16

    32.7

    6

    12.2

    27

    55.1

    新疆

    49

    14

    29

    59.1

    29

    59.1

    20

    40.4

    廣西

    57

    11

    11

    19.2

    13

    22.4

    33

    57.5

    寧夏

    41

    9

    15

    36.2

    1

    2.2

    25

    61.0

    4. 소수민족 우대 정책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민족은 만주족, 몽고족, 회족, 壯族, 藏族 등을 들 수 있는데 대부분의 소수민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중국 문화에 동화되어 한족화(漢族化) 또는 중국화(中國化)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중국은 한족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민족과의 동화를 통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소수민족은 중국의 일부이고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정체성을 유지할 자격이 있다.

    이러한 역사성과 영토 통일, 그리고 정권 안정이라는 목적 하에 소수민족에게 많은 우대 정책을 펴고 있다.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발전을 위해서 국가의 지원과 소수민족의 자력갱생을 결합시키는 방침으로 국가에서 재정, 인력 등 도움을 주는 것이다. 1986년에는 소수민족 각종 보조비가 90억 원을 초과하였다. 개혁 개방의 정책을 실시한 이래 국가는 원활한 정책을 취하여 소수민족의 경제를 발전시켰는데 예를 들면, 서장에 대하여 1980년∼1990년 사이 농업 목축업세와 수매 업무를 면제하였다. 또한 국내의 성·시(省·市)와 소수민족 지역간의 상호 지원과 경제 기술 합작을 조직하고 지지하며 외자 도입에서도 연계를 맺어주고 있다.

    문화 교육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우대 정책도 제정 시행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후 민족 압박 제도가 제거되고 생산이 발전되고 생활이 개선되었으며 국가는 소수민족의 경제, 문화 그리고 의료 보건 사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그리하여 인구의 하강 추세가 중지되었고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한족에게 1자녀 갖기로 제한하고 있는 인구 정책도 소수민족은 적용하지 않고 있다. 소수민족에게는 2자녀까지 낳을 수 있는 혜택을 주고 있다. 또한 소수민족 고유의 풍속, 풍습과 언어 문자는 물론 여러 민족의 사회 경제 제도 및 생활 습관과 밀접히 연관되어 영향력이 큰 종교도 허용하고 있다.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주로 변방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의 영토와 외교상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국 당국은 소수민족에 대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는 등 여러 가지 특혜를 베풀고 있다.

    <표4> 소수민족자치구역 국민소유제 단위 기본건설투자 총액

     

    (단위:억원)

    시기(연도)

    기본 건설투자총액

    시기(연도)

    기본 건설투자총액

    1950∼1989년 총계

    1,534,46

    '6차 5개년'계획 기간

    344.73

    회복시기

    5.60

    1981

    37.89

    '1차 5개년'시기

    40.78

    1982

    48.62

    '2차 5개년'시기

    119.93

    1983

    62.65

    1963∼1965년

    45.06

    1984

    80.87

    '3차 5개년'시기

    90.05

    1985

    114.70

    '4차 5개년'시기

    152.12

    '7차 5개년'계획기간


    '5차 5개년'시기

    237.58

    1986

    111.68

    1978

    53.04

    1987

    115.36

    1979

    54.10

    1988

    138.05

    1980

    56.81

    1989

    133.52

    3. 중국 민족문제의 딜레마

    1978년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실시로 인한 상품경제의 발전은 소수민족인들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쳤다. 각 민족간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각 민족간의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게 되었으며, 자급자족경제의 자연경제와 반자연경제가 파괴됨에 따라 상품경제에 맞지 않던 낡은 전통과 사상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사상과 가치관이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여러 민족들이 광범위한 경제, 문화교류를 하는데 새로운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혁개방과 경제건설에 따라 소수민족의 지위와 역할은 점차적으로 중시되었고, 민족간의 평등호조와 단결합작은 이미 큰 추세로 발전하게 되어 민족문제를 해결하는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개혁개방시기에서도 민족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즉 새로운 형태의 민족문제라고 할 수 있다.

    金炳鎬씨의 논의에 따르면, 첫째 개혁정책의 불완전성과 민족사업의 침체성으로 인해 소수민족의 우대정책이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소수민족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즉 중국정부가 추진하려고 했던 ‘민족무역 3항우대’ 정책은 이미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앙정부에서 민족자치구에 민족보조금을 매년 10%씩 증가시킨다는 정책 또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갈등, 발전지역과 저발전지역 간의 갈등).

    둘째, 삼림과 목장 등의 분쟁으로 인한 민족사이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중국정부가 농촌에서 연합생산, 責任都給制를 실시하여 토지를 家庭農戶들에게 나누어주어 사용하게 한 이후 토지와 삼림은 각 農戶와 농민들의 이익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문제가 됨에 따라 여러 민족들이 삼림, 토지, 水原 등을 둘러싸고 자주 분쟁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민족이익을 둘러싼 갈등)

    셋째로는 민주정치체제가 아직 정비되지 않아 소수민족권리에 대한 보장제도가 완전하지 못한 실정이라고 한다. 즉 소수민족의 언어, 문자, 풍속, 관습, 종교신앙에 대한 존중이 여전히 부족하여 민족간의 모순과 불만을 야기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문예작품이나 宣傳性 보도에서 소수민족의 역사, 풍속 등에 대하여 합당하지 못한 왜곡된 묘사를 함으로써 소수민족인민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있다고 한다.(민족권리를 둘러싼 갈등)7)

    따라서 향후 중국은 다음과 같은 불안정한 민족관계를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겠다.8) 첫째, 민족평등이 진일보한 반면 민족간의 사실상의 불평등은 지속되고 있다. 민족평등이라는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회주의 경제건설이 심화됨에 따라 민족평등은 발전하게 될 것이지만 상이한 지역, 상이한 민족의 민족평등 실시의 정도차이로 인해 여러 민족간의 경제, 문화상의 불평등은 지속될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향후 10년간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민족단결의 큰 추세와 민족주의(민족분열주의을 포함하여) 사상의 성장이 병존하고 있다. 개혁개방은 여러 민족, 여러 지역간의 경제상의 연합과 협조 및 공동의 발전을 증진시킬 것이고 문화상 서로 교류, 흡수하고 서로 이해의 폭을 넓혀나가고 정치상의 평등과 여러 민족들 사이의 상호존중은 국가의 응집력을 증대시킬 것이지만, 반면에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일부 민족지역(티벳 등)에서는 민족주의와 민족분열주의 사상이 고양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셋째, 민족간의 상호 협력 및 발전과 민족간의(경제영역) 경쟁 증대가 병존하게 된다. 그동안 민족협력을 통하여 한족지역은 물론 소수민족지역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과학기술 등 여러 방면에서 큰 발전이 이루어졌고, 한족지역이 발전되고 서북, 서남 민족지역의 건설이 지속되는 가운데 민족간의 협조 또한 더욱 발전하고 있으나, 상품경제의 원리상 지역간의 경쟁은 필연적으로 유발되고, 경제영역에서의 민족간 경쟁은 피할 수 없을 정도로 증대되고 있다.

    넷째, 민족간 공동발전 추세와 민족간 발전 차이가 확대되는 추세가 병존하고 있다. 개혁개방으로 인해 각 민족들은 국가의 고무와 지원 속에서 크게 발전하였으나, 민족 자체의 발전조건과 발전과정에서의 일부 차이로 인하여 불균등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차이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다.

    다섯째, 민족간의 교류증가와 민족의식과 민족적 응집력이 확대되는 현상이 병존한다. 개혁개방과 상품경제의 발전 그리고 교통과 통신 등의 발달에 따라 민족간 교류의 수요와 기회는 증가되었고 민족간의 공동성 또한 발전하였지만 민족들의 각 민족의식도 보편적으로 강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민족적 개성의 발전을 요구하는 의식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김병호 교수의 논지와 같이 중국에서의 소수민족정책은 ‘보존과 개발’ 그리고 ‘다양성과 동화’ 등의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 중국정부는 과도한 동화정책을 피하면서 소수민족의 다양성을 어느정도 인정하고 존속시키려고 하지만, 경제발전에 따른 소수민족의 시장화의 경향은 휠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장화는 다양성을 확보하기보다는 한족중심의 경제에 흡수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을 것이다.

    1) 따라서 中國民族이라는 단일개념 속에는 중국의 주체민족인 한족과 중국 내에 존재하는 각 소수민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을 의미함. 반면 中華民族이라고 할 때는 사회주의 체제 중국의 영토 내에 존재하고 있는 한족과 소수민족뿐 아니라 과거 中國彊域 내에 살아왔던 모든 민족집단까지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조정남, 『중국의 민족문제』(교양사, 1988), 35쪽.

    2) 왕순홍, 『중국의 어제와 오늘』(평민사, 1998), 78∼79쪽.

    4) 중국은 티벳과 1951년 5월에 “티벳인민은 민족구역자치를 실시할 권리를 갖는다.”, “티벳의 현행 정치제도는 물론 달라이라마의 고유한 지위 내지는 직권에 대하여 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각급 관원은 지금까지 대로 그 직책을 유지해도 좋다.” 등 민족자치를 내용으로 하는 4개조의 합의서에 조인하였다. 그러나 1955년 3월 중국 국무원은 이러한 협의에 더해 티벳자치구 준비위원회의 설립을 선포하고 티벳의 정-교 개혁을 시도함에 따라, 1959년 이에 반대하여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였다. 조정남, 앞의 책, 89쪽.

    5) 金大洸, 『中國의 小數民族 政策의 變化科程에 관한 硏究』(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3), 28∼32쪽.

    6) 등소평 시대의 민족정책의 이론적 전제에 대해서는 조정남, 앞의 책, 82-87쪽 참조.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민족문제와 계급문제를 구별하고, 둘째 민족정책을 농민정책으로 보며, 셋째 민족정책은 사회주의 혁명의 일부분이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문제의 일부분으로 간주, 넷째로는 ‘사회주의 민족’을 위한 민족대단결을 강조하면서 民族融合을 내용으로하는 사회주의 중국민족의 형성을 지향하며, 다섯째로는 민족단결을 위한 정책들은 하나의 과도기적 정책으로 간주 사회발전의 단계에 따라 민족정책 또한 필연적으로 발전하게 된다는 점 등이다.

    7) 김병호, 『중국의 민족문제와 조선족』(학고방, 1997), 37-38쪽.

    8) 위의 책, 45-49쪽 참조.

    <민족연구 제6호>

    + Recent posts